• 제목/요약/키워드: 볏짚

검색결과 732건 처리시간 0.025초

볏짚 트레이를 이용한 양송이 버섯의 포장에 관한 연구 (Mushroom(Agaricus bisporus) Pre-packaging by the Rice Straw Pulp Tray)

  • 안병국;박노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53-357
    • /
    • 1995
  • 볏짚펄프를 이용하여 트레이를 시험제조한 다음, 양송이 버섯의 소매용 간이포장에 적용하여 저장 중 버섯의 품질변화를 관찰하고, 그 대조구로서 발포폴리스틸렌 트레이의 경우와 비교분석함으로써 볏짚 포장트레이의 실용화 가능성을 평가하고 개선해야 할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볏짚 트레이는 볏짚펄프를 제조한 후 이를 발포폴리스틸렌 트레이와 유사한 형상을 갖도록 감압탈수성형하고, 일차 성형된 트레이를 열판건조하여 제조하였다. $4^{\circ}C$에서는 볏짚 트레이나 발포폴리스틸렌 트레이 모두 양송이 버섯의 중량감소가 5% 미만을 유지하였고, 저장 후 7일이 경과하여도 두 트레이에 포장된 버섯 모두 76 이상의 L값을 유지함으로써 색도면에서 비교적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였으며, $25^{\circ}C$에서는 전반적으로 볏짚 트레이에 포장한 양송이 버섯이 색도면에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갓의 개열을 조사한 결과, $4^{\circ}C$에서는 두 트레이 간에 거의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25^{\circ}C$에서는 볏짚 트레이의 경우가 버섯의 개열이 다소 높게 진행되었다. 저장기간 중 버섯의 경도에 있어서는 전반적으로 두 트레이 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볏짚 트레이의 경우 $4^{\circ}C,\;25^{\circ}C$에서 저장 후 1일 경과시부터 트레이 자체의 중량이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볏짚 트레이는 환경친화적 포장재로서 저온의 저장조건 하에서 버섯의 소매포장용 트레이로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eal-Time PCR 기법을 이용한 반추위 섬유소분해 박테리아의 부착과 조사료 분해에 관한 연구 (Study on Roughage Degradation and Adhesion of Rumen Fibrolytic Bacteria by Real-Time PCR)

  • 성하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0-67
    • /
    • 2014
  • 본 연구는 조사료의 반추위 발효가 진행됨에 따른 볏짚표면에 부착된 섬유소 분해 박테리아의 군집변화와 섬유소 소화율을 비교 관측하기 위하여 볏짚의 in situ 반추 발효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부착 박테리아의 군집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RT-PCR 기법을 이용하여 F. succinogenes. R. albus와 R. flavefaciens의 군집을 모니터링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in situ 볏짚 발효를 0. 2, 4, 8, 12, 24시간 실시하였을 때 반추위내 볏짚의 in situ 분해는 발효 시간이 진행됨에 따라 가속화되어 발효 8~12시간 사이에 최고 분해 속도를 나타내었으나, F. succinogenes, R. flavefaciens과 R. albus는 모두 발효 0~1시간 사이에 볏짚 표면에 부착이 80% 이상 완료되어 이후 발효가 계속 진행되는 동안 일정 수준의 군락을 유지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반추위내 유입된 조사료의 표면에 초기 부착과정을 관찰하기 위하여 0, 5, 10, 30 및 60분 간격으로 볏짚의 in situ 샘플을 채취하여 조사하였을 때 F. succinogenes, R. flavefaciens 및 R. albus의 군락 모두 볏짚이 반추위 유입 후 5분 내에 상당량의 수가 부착함을 발견하였다. 또한 조사료의 반추위 발효 용이성에 따른 섬유소 분해 박테리아의 부착 정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0, 2, 4 및 8% NaOH를 처리한 볏짚을 12 및 24시간 in situ 배양 볏짚의 소화율과 부착 박테리아의 군집 변화를 관측하였을 때, 볏짚의 NaOH 처리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in situ 소화율이 증가하였으며, 동시에 부착된 박테리아 군집의 증가 경향이 F. succinogenes, R. flavefaciens 및 R. albus의 3균주 모두 배양 12시간에 나타났으나 배양 24시간에서는 각기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반추위내 섬유소 발효과정에서 섬유소 분해 박테리아의 부착은 조사료의 반추위 유입 초기에 반드시 이루어지고, 발효 시간이 진행됨에 따라 조사료 표면에 안정된 군락을 형성하며, 섬유소 분해가 가속화된다는 사실을 보여 주었다.

볏짚부초가 토양(土壤)의 이화학성(理化學性) 및 인삼(人蔘)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traw Mulching on Soil Characteristics and Growth of Ginseng Plant)

  • 박훈;목성균;이종화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2-37
    • /
    • 1985
  • 볏짚부초의 인삼(人蔘) 근부(根部) 및 지상부생육(地上部生育)에 대(對)한 효과(效果)와 토양(土壤)의 물리(物理) 및 화학성(化學性)에 주는 영향(影響)은 포장조건(圃場條件)에서 조사(調査)하였다. 볏짚부초는 수량(收量), 경장(莖長)과 엽면적(葉面積)을 증대(增大)하고 낙엽주율과 결근율을 감소시켰다. 볏짚부초는 토양(土壤)의 경도(硬度), 공극율(孔隙率)을 좋게 유지시켰다. 볏짚부초는 보수력(保水力)을 증대(增大)시키고 지온(地溫)을 강하(降下)시켰으며 후행(後行), 전행(前行) 중간행(中間行)의 순(順)으로 그 효과가 적어졌다. 볏짚부초는 토양의 유효인산(포장에 따라 극심하게), 치환성 칼리, 유기물 함량을 증대시키고 치환성 칼슘함량을 감소시키고 pH 강하를 억제하였다. 볏짚부초는 잡초발생(雜草發生)을 크게 억제하였고 토니(土泥)의 오염을 막았으며, 골가토, 두둑다짐, 상면가토 등의 작업을 배제하였다.

  • PDF

논 토양성분의 용탈에 관한 연구 -II. 논 토양성분의 용탈에 미치는 유기물(有機物)의 영향(影響) (Studies on the Leaching of the Constituents In Paddy Soil -II. Effects of Organic Matter)

  • 김광식;김용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62-167
    • /
    • 1983
  • 논토양(土壤) 성분(成分)의 용탈(溶脱)에 미치는 유기물(有機物)의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퇴비(堆肥)와 볏짚을 시용(施用)하여 Pot 시험(施驗)으로 투수조건하(透水條件下)에서 수도(水稻)를 재배(栽培)하면서 용탈(溶脱) 성분(成分)을 분석검토(分析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pH는 볏짚시용구(施用区)보다 퇴비시용구(堆肥施用区)가 약간 높았다. 철과 망간의 용탈량(溶脱量)은 볏짚시용구(施用区)가 퇴비(堆肥) 시용구(施用区)보다 많고 수도재배(水稻栽培)에 의(依)해서도 증가(増加)되었다. 석회(石灰)과 고토(苦土)는 경시적(經時的)으로 용탈(溶脱)이 증가(増加)되었고 퇴비시용구(堆肥施用区)가 볏짚시용구(施用区)보다 용탈량(溶脱量)이 많았다. 가리(加里)와 암모니움은 경시적(經時的)으로 용탈량(溶脱量)이 감소(減少)하고 퇴비시용구(堆肥施用区)가 볏짚시용구(施用区)보다 용탈(溶脱)이 많이 되었다. 인산(燐酸)은 재배(栽倍)와 더불어 용탈량(溶脱量)이 증가(増加)되고 볏짚시용구(施用区)의 용탈량(溶脱量)이 많았다. 규산(珪酸)은 재배(栽倍)와 더불어 용탈(溶脱)이 감소(減少)되고 볏짚시용구(施用区)의 용탈량(溶脱量)이 더 많았다.

  • PDF

보리와 독새풀의 생장에 대한 삼투압, pH 및 볏짚멀칭의 영향 (Influence of Light, Osmotic Potential, pH and Rice Straw Mulching on Growth of Barley(Hordeum vulgare L.) and Water Foxtail(Alopecurus aequalis var. amurensis(Kom.) Ohwi))

  • 이춘우;김용욱;구본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10-313
    • /
    • 1997
  • 볏짚을 논에 환원하면 잡초의 발생이 억제되는 경향이 있다. 이는 볏짚의 멀칭효과에 의한 차광, 수분증가 또는 용탈물 등의 영향일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시험은 실내에서 pH, 수분포텐셜, 볏짚분말의 혼합정도 등에 따라 보리와 독새풀의 발아와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포장에서 볏짚멀칭이 잡초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pH 4-10의 범위에서 보리와 독새풀의 생장과 발아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2. 삼투압이 각각 -2.9bar, -0.6bar 이상에서 보리와 독새풀의 발아에 영향을 미쳤다. 3. 볏짚분말의 혼합농도가 4% 이상에서 보리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무게는 감소하였고 지상부보다 지하부의 생장억제가 심하였다. 4. 볏짚멀칭에 의하여 광이 99.8% 차광되었고 독새풀의 발생본수와 건물중이 각각 87.1%, 86.2% 억제되었다.

  • PDF

논 토양(土壤)에서 볏짚시용시(施用時) 시용질소(施用窒素)의 유기화(有機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Effects of Rice Straw Application on the Immobilization of Applied Nitrogen in a Submerged Soil)

  • 이상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68-371
    • /
    • 1983
  • 논 토양(土壤)에서 볏짚시용량(施用量)을 달리했을 때 시용(施用)된 질소비료(窒素肥料)의 무기(無機) 및 유기화(有機化) 과정(過程)을 알기 위하여 실내(室內)에서 항온(恒溫) 시험(試驗)한 결과(結科)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미생물(土壤微生物) 이용가능(利用可能) 탄소원(炭素源)이 풍부(豊富)한 볏짚시용시(施用時) 시용질소(施用窒素)의 유기화(有機化) 과정(過程)은 볏짚시용량(施用量)이 많을 수록 질소(窒素) 유기화(有機化) 속도(速度)가 빨랐음. 2. 볏짚시용시(施用時) 시용질소(施用窒素)의 90%이상(以上)이 항온(恒溫)20일경(日傾) 유기화(有機化) 되었음. 3. 시용질소(施用窒素)의 무기화량(無機化量)은 볏짚시용량(施用量)에 관계(關係)없이 항온(恒溫) 10일이후(日以後) 토양무기태(土壤無機態) 질소(窒素)까지 유기화(有機化)시켰음. 4. 볏짚시용시(施用時) 시용(施用)된 질소(窒素)는 항온(恒溫) 50일(日)까지 재(再) 무기화(無機化)되지 않했음.

  • PDF

볏짚추출물이 독새풀과 보리의 초장 및 유근의 신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Rice Straw Extract on Growth of Barley and Water Foxtail(Alopecurus aequalis var. amurensis(Kom.) Ohwi)

  • 이춘우;김용욱;윤의병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8-53
    • /
    • 1998
  • 노동력 부족으로 대부분의 농가가 논에서 태우거나 볏짚이 있는 상태에서 보리를 파종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작물과 잡초의 발생이나 생육이 억제되는 현상이 관찰되고 있다. 이런 현상을 구명하고자, 추출온도, 시간, 추출농도, 생육시기, 품종에 따른 볏짚 추출물이 보리 또는 독새풀의 초장, 근장, 발아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볏짚 10%(w/v), $24^{\circ}C$, 5시간 추출액이 보리의 초장, 근장 및 발아를 가장 많이 억제하였다. 2. 5%(w/v)의 볏짚 추출액은 보리의 초장의 신장과 발아를 촉진하나, 독새풀은 억제하였고, 10-20%(w/v)에서 독새풀의 초장, 근장 및 발아율이 61.0-100% 억제되었다. 3. 볏짚의 유묘기, 분얼기, 출수기, 성숙기, 수확기의 추출물중 유묘기의 추출물이 보리의 초장, 근장 및 발아를 가장 많이 억제하였다. 4. 17종의 벼 품종 중 대림벼 추출물이 보리의 생육을 가장 많이 억제하였고, 안중벼가 가장 낮았다. 5 볏짚 추출물에 대하여 10종의 보리품종중 새올보리의 생육이 가장 많이 억제되었고, 부농이 가장 낮았다.

  • PDF

볏짚에 함유한 생리활성물질 탐색 (Search for Allelopathic Compound in Rice Straw)

  • 이춘우;김용욱;윤의병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75-381
    • /
    • 1997
  • 볏단이 있던 곳이나 콤바인 수확한 볏짚이 피복된 곳은 잡초 발생인 생육이 감소하는 현상이 관찰되고 있다. 이는 볏짚에 함유한 allelopathic 물질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어 볏짚을 80% 메칠알콜로 추출후 둑새풀로 생물검정, 10종의 표준 유기산이 둑새풀의 생육과 발아에 미치는 영향, 볏짚추출물을 silicagel column 으로 분획후 HPLC, GC/MS로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았다. 1. HPLC분석에 의하여 볏짚에는 fumaric acid와 4종류의 미확인 유기산이 확인되었다. 2. fumaric acid를 포함한 7종의 유기산은 $10^{-2}$의 농도에서 둑새풀의 생육을 상당히 억제하였고 특히 발아를 100-90% 억제시켰다. 3. 볏짚에 함유한 물질중 억제효과가 가장 큰 것은 GC/MS분석에 의하여 II-4-4Rf 0.5에 함유한 물질로 분자량 253인 치환된 유기산인 신물질로 Octadecanoic acid, 2-oxo-, methyl ester에서 methyl ester가 유리된 물질로 추정되었다.

  • PDF

고추밭 고랑 볏짚피복에 의한 양분유출 특성 (Furrow Covering Effects with Rice Straw on Nutrient Discharge from Upland Soil Used for Red Pepper Cultivation)

  • 홍성창;김민경;정구복;소규호
    • 유기물자원화
    • /
    • 제24권1호
    • /
    • pp.11-19
    • /
    • 2016
  • 농경지에 작물재배를 위한 양분재료의 과다한 투여는 주변 수계로의 양분유출을 증가시킬 수 있다. 고추재배시 사용되는 양분재료는 화학비료, 우분퇴비, 돈분퇴비 등이 대표적이다. 볏짚은 벼 재배의 부산물로 밭 농사에서 잡초발생 억제, 토양수분 보존, 유기물 재료로 널리 사용된다. 본 연구는 노지 고추 재배에서 밭 고랑을 볏짚으로 피복할 때 강우로 발생하는 표면 유출수에 의한 양분유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시험구는 양분재료를 기준으로 하여 화학비료, 우분퇴비, 돈분퇴비로 구분하였고 양분투입량은 토양검정 시비량에 준하여 처리하였다. 각각의 시험구는 화학비료 또는 우분퇴비, 돈분퇴비를 시용한 후 볏짚으로 덮은 경우(피복 처리구)와 덮지 않은 경우(무피복구)로 구분하였다. 화학비료 처리구와 우분퇴비 처리구의 볏짚 고랑 피복 처리는 무피복구 보다 T-N (총질소)의 유출이 각각 $1.4kg\;ha^{-1}$, $2.1kg\;ha^{-1}$ 감소하였다. 반면에 화학비료 처리구와 우분퇴비 처리구, 돈분퇴비 처리구의 볏짚고랑 피복 처리는 무피복구 보다 T-P (총인)의 유출이 각각 $2.1kg\;ha^{-1}$, $2.1kg\;ha^{-1}$, $0.2kg\;ha^{-1}$ 증가하였다. 볏짚은 질소 0.4 %, 인산을 0.3 % 함유하고 있고 증류수에 볏짚을 담근 후 3주일 내에 인산 성분이 유출되므로 T-P의 유출은 고랑을 피복한 볏짚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된다. 무피복구에 비하여 고랑 볏짚 피복구는 잡초발생이 줄었다. 그러나 붉은 고추의 수확량은 무피복구와 볏짚피복구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고추밭 고랑을 볏짚으로 과다하게 피복하면 T-P의 유출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고랑을 피복하는데 적정한 볏짚량을 산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동계(冬季) 퇴비부숙열(堆肥腐熟熱) 이용(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Exothermic Heat Composting during Winter Season)

  • 김성필;박영대;주영희;엄대익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83-288
    • /
    • 1984
  • 동계(冬季)에 볏짚, 왕겨와 인축분뇨(人畜糞尿)를 원료(原料)로하여 재료별(材料別)로 퇴적(堆積)하고 부숙과정(腐熟過程)에서 발생(發生)되는 퇴비온도(堆肥溫度) 및 퇴비성상(堆肥性狀)의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볏짚, 왕겨 1:1 혼합구(混合區)가 볏짚 단용구(單用區)에 비(比)하여 퇴비부숙발열기간(堆肥腐熟發熱期間)이 연장(延長)되었다. 2. 인산첨가구(燐酸添加區)의 퇴비온도(堆肥溫度)는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하여 발효초기(醱酵初期)에는 급격(急激)히 상승(上昇)하였으나 발효(醱酵) 30일(日) 이후(以後)에는 낮아지는 경향(傾向)이었다. 3. pH는 발효초기(醱酵初期)에 5.5이었으나 퇴비온도(堆肥溫度)의 급상승(急上昇)과 더불어 10일경(日傾)에 8.8까지 올라갔으며 30일 이후(日以後)부터는 거의 변화(變化)가 없었다. 4. 퇴비온도(堆肥溫度)가 $30{\sim}65^{\circ}C$로 유지(維持)되는 기간(其間)은 볏짚+계분구(鷄糞區)가 39일(日), 볏짚+왕겨+계분구(鷄糞區)가 69일(日), 볏짚+왕겨+돈분구(豚糞區)가 56일(日), 볏짚+왕겨+우분구(牛糞區)가 66일(日), 볏짚+왕겨+인분구(人糞區)가 21일(日)로서 볏짚+왕겨+계분구(鷄糞區)가 가장 길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