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변압기 탭

Search Result 39,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The Indicator for Voltage Tap of Transformer (초고압 변압기의 전압조정용 탭 위치 확인표시기)

  • Park, J.W.;Park, B.Y.;Kim, Y.S.;Bae, J.I.;Kang, D.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0.07d
    • /
    • pp.2540-2541
    • /
    • 2000
  • 초고압 변압기의 부하단 전압 조정을 위하여서는 송전단에서 변압기의 전압 조정용 탭을 위치 조정하여 자동으로 부하측의 전압을 조정하고 있다. 이때 부하단의 전압 조정은 자동으로 이루어지나, 전압 조정용 탭의 위치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탭의 위치를 확인하여 탭 전압에 의해 부하 변동율 및 다른 Parameter를 이용함으로써 전력 전송에 많은 Data를 확보할 수 있고, 그러므로 탭 전압의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있도록 비접촉식 확인표시기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 PDF

Voltage Stability Analysis Based on Energy Function considering Tap of Transformer (변압기 탭영향을 고려한 에너지함수를 이용한 전압안정도 해석)

  • Kim Beom Shik;Kwon Yong Jun;Lee Ki Je;Moon Young Hy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summer
    • /
    • pp.242-24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전력계통에서 에너지 함수를 이용하여 탭의 영향이 고려된 전압안정도 해석방법을 제시하였다. 전력계통의 전압안정도 해석은 부하단 변압기 탭의 특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역학적 등가모델(EMM)을 이용하여 탭의 영향을 고려한 새로운 에너지함수를 유도하였다. 이 에너지 함수는 Lyapunov 함수의 조건을 만족시키며, 유도된 에너지함수로부터 안정평형점과 불안정평형점을 구하여 두 점에서의 에너지의 차이로서 전압붕괴를 예측할 수 있음을 1기 무한대 모선에 대하여 검증해 보았다.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f Center-tap and Current-doubler loss for LLC resonant converter (LLC 컨버터에 대한 센터탭 방식과 배전류 방식의 손실 비교 해석)

  • Shin, Jung-Yoon;Hwang, Soon-Sang;Kim, Hag-Wone;Cho, Kwan-Yuhl;Lim, Byung-Ku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4.11a
    • /
    • pp.183-18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센터탭 방식과 배전류 방식의 차이점을 살표보고 각 회로의 변압기 손실을 계산하여 비교한다. 또한 실제 설계한 변압기의 측정한 값을 이용한 손실을 계산 손실과 비교한다. 앞에서 비교한 값들을 이용하여 Matlab/Simulink 프로그램으로 LLC 컨버터의 전류와 전압 파형 등을 알아보고 이에 따른 전체 손실에서 변압기 손실이 차지하는 부분을 비교 분석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센터탭 방식과 배전류 방식의 손실을 비교한다.

  • PDF

A Solution for 345kV Overvoltage in KEPCO System using 345kV-154kV Tap Sensitivity (345kV-154kV 탭 감도를 활용한 한전 계통 수도권 345kV 과전압 해소 방안)

  • Bae, Moonsung;Cho, Hwanhee;Lee, Byongjun;Choi, Jang-Hum;Cha, Seungt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278-279
    • /
    • 2015
  • 한전 계통의 수도권 부하 밀집과 지중화 선로 증가로 인해 수도권 345kV 계통 과전압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조상설비 투입 후에도 과전압이 문제가 되는 경우, 과전압 해소를 위한 다른 방안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345kV 과전압 해소를 위한 345kV-154kV 변압기 탭조절 방안을 검토하였다. 효율적인 과전압 해소를 위해 탭 감도를 이용하여 탭 조절을 수행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경우 345kV-154kV 변압기의 2차측 전압을 올리면 1차측 전압이 떨어지지만 본 논문에서는 그렇지 않은 경우를 찾아내고 해당 원인을 분석하였다. 모의를 위한 데이터는 2014년 한전 과전압 모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 PDF

A Design of Multiple LED Lights Driver Using a Center Tapped Resonant Transformer (중간 탭 공진 변압기를 이용한 다중 LED조명 드라이버 설계)

  • Han, Jae-Hyun;Jung, Young-Gook;Eom, Jun-Hyun;Lim, Young-Cheol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3.11a
    • /
    • pp.214-215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LED조명용 다중 부하를 동시에 구동하기 위한 강압 또는 승압용 컨버터를 대신하여, 장 수명에 유리하며 다채널 정전류 제어가 가능한 중간 탭 공진 변압기를 이용한 LED조명 드라이버를 설계하고 실험으로 검증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UHF SENSOR FOR PARTIAL DISCHARGE DIAGNOSIS OF POWER TRANSFORMER (전력변압기 부분방전 진단을 위한 UHF 센서 개발)

  • Ryu, Eun-Tae;Hwang, Kyung-Rok;Jung, Jae-Ryong;Yang, Hang-J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556-1557
    • /
    • 2011
  • 변압기의 고체 절연이 열화 되거나 불순물 및 수분이 혼입되어 임계치 이상의 고전계가 인가되면 결합부분에서 부분방전이 발생한다. 현재 변압기에서 부분방전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부싱탭을 이용하거나 전류센서, 초음파센서 등을 이용하여 부분방전을 검출하고 있지만 전기적인 부싱탭이나 전류센서를 이용한 검출 방법은 주변 잡음의 영향을 많이 받고 초음파법은 감도가 낮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UHF 방식을 이용한 부분방전 검출 기술이 전력기기의 초기 고장진단을 발견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UHF 진단방식의 높은 감도, 외부노이즈에 대한 적은 영향, 온라인 측정의 가능성의 장점으로 전력용 변압기에도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 변압기에서 PD 진단에 적합한 UHF 센서의 개발에 대해서 소개한다. 제안된 UHF 센서는 광대역(500 ~ 1,500MHz)에서 측정이 가능하며 감도가 우수하며 특정 대역에서 공진점을 가지는 다중 공진 모노폴 안테나 타입이다. 안테나 시뮬레이션 및 해석을 통해 유중 부분방전을 모의하여 감도 측정을 실시한 결과 제안된 UHF 센서가 전력용 변압기의 부분방전 측정에서 높은 감도를 나타냈으며, 기존 측정 방식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전자파를 이용한 부분방전 측정에 대한 기초연구를 실시하여 변압기 운전중에 전자파 측정에 의한 부분방전 감시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Basic Research of Electromagnetic Wave Method for PD Detection in Power Transformers (변압기에서 전자파를 이용한 부분방전측정 기초연구)

  • Sun, Jong-Ho;Yi, Sang-Hwa;Kim, Kwang-Hwa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7c
    • /
    • pp.1879-1881
    • /
    • 2004
  • 변압기의 고체절연이 열화 되거나 불순물 및 수분이 혼입되어 그러한 결함부분에 임계치 이상의 고전계가 인가되면 부분방전이 발생한다. 현재 변압기에서 부분방전을 검출하기 위하여 부싱탭을 이용하거나 전류센서, 초음파센서 등을 이용하여 부분방전을 검출하고 있지만 전기적인 부싱탭이나 전류센서를 이용한 검출방법은 주변 잡음의 영향을 많이 받고 초음파법은 감도가 낮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전자파를 이용한 부분방전 측정에 대한 기초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변압기운전중에 전자파측정에 의한 부분방전감시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ransformer Winding Method to Improve the Current Balance of Output Rectifiers in LLC Resonant Converters (LLC 공진형 컨버터에서 출력 정류단 전류의 분포 균등성 향상을 위한 변압기 권선방법)

  • Jung, Jee-Hoon;Na, Tae-Kwon;Choi, Jong-Moon;Kwon, Joong-Gi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8.06a
    • /
    • pp.475-477
    • /
    • 2008
  • LLC 공진형 컨버터는 주스위치의 ZVS와 출력정류단의 ZCS가 가능하여 높은 효율로 동작하고, 출력단에 인덕터를 사용하지 않는 장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LLC 공진형 컨버터의 출력단 구조는 크게 변압기의 센터탭(Center Tap) 방식과 출력정류기를 Full Bridge로 구성하는 방식이 있는데, 정류기 손실과 재료비 측면을 고려하면 센터탭 방식이 유리하다. 그러나 센터탭으로 분리된 2차측 권선간의 누설 인덕턴스 차이로 인하여 컨버터 동작의 반주기 마다 공진이 어긋날 수 있고, 출력정류단에 흐르는 전류의 RMS 크기도 매 반주기마다 달라져서 동작효율의 감소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LLC 공진형 컨버터의 수학적 모델로부터 2차측 권선의 누설 인덕턴스 차이의 영향을 예측하고, 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권선법을 제안한다. 또한 400W급 컨버터에서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방식을 실증하고자 한다.

  • PDF

Voltage Stability Analysis Based on Energy Function Considering Tap of Transformer (변압기 탭이 반영된 에너지 함수를 이용한 전압안정도 해석)

  • Lee Ki-Je;Choi Byoung-Kon;Kwon Yong-Jun;Moon Young-Hyun;Oh Yong-Taek;Lee Byunn-Ha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A
    • /
    • v.54 no.7
    • /
    • pp.337-344
    • /
    • 2005
  • An energy function is derived on the basis of the EMM(Equivalent Mechanical Model) to take account of the effects of tap changer, and then the VC(Voltage Collapse) criteria is proposed to predict the voltage collapse in Power systems. The VC criterion can be evaluated by using the energy margin given by the energy gap between UEP(Unstable Equilibrium Point) and SEP(Stable Equilibrium Point) of the energy function adopted, in which it is noted that the energy contour should be considered due to energy discontinuity associated with tap changing. This paper shows that the proposed VC criterion improves the accuracy of voltage stability analysis with application to a two-bus sample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