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변경가능성

Search Result 444,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Design of Database Wrapper for Human Sensibilit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감성정보관리시스템을 위한 데이터레이스 레퍼의 설계)

  • 구홍서;박철순;고한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95-100
    • /
    • 2002
  • 감성정보관리시스템은 주거ㆍ사무환경에 속한 6개 분야의 연구과제에서 생성된 피험자의 생리신호와 주관적 감성평가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형태의 감성평가 실험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ㆍ처리하기 위해 감성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을 하나의 컴포넌트에 집중시킨 데이터베이스 레퍼(wrapper)를 설계하였다. 이 접근방법은 감성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단순화된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함으로써 접근코드를 단순화하여 코딩의 생산성을 높이고, 데이터베이스 접근을 일관성 있게 유지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오류발생 가능성을 감소 시켰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접근을 캡슐화함으로써 내부 논리의 변경이나 소프트웨어 버전 향상으로 JDBC API가 변경되더라도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hardware design of Automatic Refractometer-Keratometer (자동 시각 굴절력-곡률계의 전자 부문 하드웨어 설계)

  • 박춘자;유강민;유대상;박종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c
    • /
    • pp.49-51
    • /
    • 2001
  • 현재 국내의 시각 관련 전문가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자동 시각 굴절력-곡률계(Auto Ref-Keratometer)는 대부분 일본 제품들을 포함하는 외국산들이다. 최근 국내에서도 일부 기업에서 시각 측정기 부문에서의 개발을 행하고 있으나 아직 외국 제품들에는 정확도, 성능 등에서 크게 미흡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에 좀 더 개선된 성능의 광학 부문, 소프트웨어 부문, 전자 하드웨어 부문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드웨어의 변경 없이 전자 부문 소프트웨어의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도록 해 주어 개발 기간을 크게 줄일 수 있고 고객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의 응용 확장도 가능하도록 범용성을 갖추 자동 시각 굴절력 곡률계의 전자 부문 하드웨어를 설계하였다. 본 전자 부문 하드웨어 시스템은 동시 개발 중인 광학 부문, 전자 부문 소프트웨어와 연동되어 외국 제품에 비교시 정확도와 성능면에서 근소하나마 향상된 결과를 낼 수 있게 하였을 뿐 아니라 향후 발전 가능성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An Effective Organization Method for Hardware in Automatic Refracto-Keratometer (자동 시각 굴절력 곡률계 전자 부문에서의 효과적인 하드웨어 구성 방안)

  • Ryu, Gang-Min;Seong, Won;Park, J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523-526
    • /
    • 2002
  • 최근 시각 관련 측정기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국내의 시각 관련 전문가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자동 시각 굴절력-곡률계(AutoRefracto-Keratometer)는 대부분 일본 제품들을 포함하는 외국산들이다. 최근 국내에서도 일부 기업에서 시각 측정기 부문에서의 개발을 행하고 있으나 아직 외국 제품들에는 정확도, 성능 등에서 크게 미흡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에 좀 더 개선된 성능의 광학 부문, 소프트웨어 부문, 전자 하드웨어 부문 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드웨어의 변경 없이 전자 부문 소프트웨어의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도록 해 주어 개발 기간을 크게 줄일 수 있고 고객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의 응용 확장도 가능하도록 범용성을 갖춘 자동 시각 굴절력 곡률계의 전자 부문 하드웨어를 설계하였다. 본 전자 부문 하드웨어 시스템은 동시 개발 중인 광학 부문, 전자 부문 소프트웨어와 연동되어 외국 제품에 비교시 정확도와 성능면에서 향상된 결과를 낼 수 있게 하였을 뿐 아니라 향후 발전 가능성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Design Reliability Engineering and Its Application As Design Integration Tools (설계 통합 도구로서의 하드웨어 설계 신뢰성 공학 및 그 응용)

  • Kim, Y.S.;Chung, Y.B.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
    • v.19 no.40
    • /
    • pp.69-79
    • /
    • 1996
  • 하드웨어 설계 과정에서 신뢰성 담당자들에게 당면한 문제는 요구된 임무에 필요한 기능적 요구사항의 달성 가능성과 요구된 임무를 달성할 확률의 예측여부 및 이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것이다. 첫번째의 문제는 기존의 신뢰성 공학의 방법을 사용하여 해결되지만 두번째의 문제는 잦은 사후 설계 변경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항상 시스템 전체에서의 최적을 고려하여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잦은 사후 설계 변경등으로 인한 취약한 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하드웨어 설계 신뢰성 공학을 다루며 그 분석 도구로서 목표달성 나무(Goal-tree)의 사용과 그 응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Case Study on the Utilization of Virtual Terminal System (가상화 터미널 시스템 활용 사례 연구)

  • Lee,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0.11a
    • /
    • pp.151-152
    • /
    • 2020
  • There is a possibility of failure as a result of field application in the planning and execution process to change the operating policy for operating terminals, so a lot of time and effort are required to reduce trial and error. In the planning stage to change the terminal operation policy, simulation technology can be used to support decision making. This study introduces a case of using a virtual terminal system among simulation technologies.

  • PDF

Predicting Program Code Changes Using a CNN Model (CNN 모델을 이용한 프로그램 코드 변경 예측)

  • Kim, Dong Kwa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9
    • /
    • pp.11-19
    • /
    • 2021
  • A software system is required to change during its life cycle due to various requirements such as adding functionalities, fixing bugs, and adjusting to new computing environments. Such program code modific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carefully as a new system development becase unexpected software errors could be introduced. In addition, when reusing open source programs, we can expect higher quality software if code changes of the open source program are predicted in advance. This paper proposes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based deep learning model to predict source code changes. In this paper, the prediction of code changes is considered as a kind of a binary classification problem in deep learning and labeled datasets are used for supervised learning. Java projects and code change logs are collected from GitHub for training and testing datasets. Software metrics are computed from the collected Java source code and they are used as input data for the proposed model to detect code change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 has been measured by using evaluation metrics such as precision, recall, F1-score, and accuracy.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proposed CNN model has achieved 95% in terms of F1-Score and outperformed the multilayer percept-based DNN model whose F1-Score is 92%.

디스플레이용 PDP의 X-ray에 대한 반응특성 평가

  • Yun, Min-Seok;Jo, Seong-Ho;Gang, Sang-Sik;Cha, Byeong-Yeol;Kim, So-Yeong;Son, Dae-Ung;Heo, Seung-Uk;Nam, Sa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7.06a
    • /
    • pp.531-531
    • /
    • 2007
  •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X선 영상 검출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X선 검출기로써의 가능성 제시를 위해 Display용 PDP(Plasma Display panel)를 디지털 X-ray Detector로 적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X-ray에 대한 반응성을 검증하였다. PDP의 X-ray Detector로의 사용 가능성을 보기 위하여, 실험에 사용된 panel은 상용화된(commercial) Display용 PDP의 기본적인 구조와 똑같은 구조의 sample을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제작된 panel은 상판에 Substrate glass와 유전체층, 투명전극을 형성하고, 버스 전극층과 MgO층을 형성하였다. 하판에는 격벽을 제작하고 형광체(R.G.B)층을 형성하고, 어드레스 전극을 형성하여 기존의 Display용 PDP와 똑같은 구조를 지니게 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panel의 X-선 검출기로서의 전기적 특성물 조사하기 위해 누설전류(Dark current), X선 민감도(X-ray sensitivity), 그리고 선형특성(Linearity)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누설전류가 낮고 X-선 검출기로서의 가능성이 충분한 민감도를 보이며, 선형적 특성 또한 우수한 결과를 보이는 등 안정된 전기적 동작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기존에 사용되어오던 디스플레이용 PDP의 구조적 변경을 통하여 상용화된 PDP룰 디지털 X-선 검출기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Numerical Study for the Optimal Operation of Semi Dry Reactor(SDR) (SDR 반응의 운전 최적화를 위한 전산 해석)

  • Park, Ki-Woo;Jung, Yu-Jin;Jeong, Moon-Heon;Hong, Sung-Gil;Jung, Jong-Hyeon;Lim, Ki-Hyuk;Shon, Byung-Hy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a
    • /
    • pp.426-43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수치 해석 기법으로 SDR 반응기 내 유동 특성을 모사하여 유동 분포 및 체류 시간등을 확인하고 혼합 특성 개선을 위한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 대상 SDR 반응기는 입구 덕트와 반응기 본체의 접속 구간에 가이드 베인(Guide vane)이 설치되어 있고 그 바로 하부 지점에 흡수제를 분무하는 노즐이 설치되어 있다. 이는 처리가스가 반응기로 유입될 때 가이드 베인에 의해 선회류를 형성하여 분무된 흡수제와의 혼합을 촉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하였다. 시간당 1,971$m^3/min$ at $260^{\circ}C$의 처리가스가 반응기 상부로 유입되어 가이드 베인을 거쳐 선회류를 형성한 후흡수제와 혼합되어 하부로 배출되는 구조이다. 유동 특성을 분석한 결과, 처리가스가 반응기 중앙으로 강하게 편중되고 있었으며 반응기 양 측면으로 부상 기류가 형성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강한 편류에 의해 체류시간도 매우 짧은 것으로 판단되는 바, 가이드 베인의 기류 안내 각도가 적합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곧 혼합 특성 저하에 따른 미반응 액적의 다량 발생과 함께 고착에 의한 스케일 형성 가능성이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되므로 혼합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설계 변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편류를 해소하고 노즐 근처에서의 체공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가이드 베인의 안내 각도를 더 크게 변경한 결과, 기존 설계상에서 본체 중앙에 형성되는 편류가 해소되고 선회류의 전개 각도가 커지면서 체류시간 역시 약 5초 이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가이드 베인의 각도만 변경하더라도 본체 형상의 추가적인 변경없이 유동의 혼합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Safety Assessment of By-product Gas Piping after Design Change (부생가스 연료배관의 설계변경에 따른 안전성 평가)

  • Yoon, Kee Bong;Nguyen, Van Giang;Nguyen, Tuan Son;Jeong, Seong Yong;Lee, Joo Young;Kim, Ji Y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17 no.2
    • /
    • pp.50-58
    • /
    • 2013
  • Various process piping usually carries out high flammable and explosible gas under high pressure and high temperature. Due to frequent change of design and structure it becomes more complicated and compactly located. The safety management level is relatively low since it is considered as simply designed component. In this study a safety assessment procedure is proposed for complicated piping system around a mixing drum in which natural gas and by-product gases were mixed. According to ASME code, pipe stress analysis was conducted for determining design margin at some key locations of the piping. These high stress locations can be used as major inspection points for managing the pipe integrity. Sensitivity analysis with outside temperature of the pipe and support constraint condition. Possible effect of hydroen gas to the pipe steel during the previous use of the by-product gas was also discussed.

2009년 및 2015년 사학연금법 개정에 따른 기준소득 변경의 연금소득에 대한 효과 연구

  • Kim, Yong-Ha
    • Journal of Teachers' Pension
    • /
    • v.4
    • /
    • pp.91-123
    • /
    • 2019
  • 본 연구는 2009년 법 개정에 따른 기준소득의 변경이 가입자별 보험료 부담과 연금급여의 변경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구체적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제도 변경 전후의 가입자별의 연금소득 변화를 산정함과 아울러, 2015년 사학연금법 개정에 따른 사학연금 가입자간 소득재분배제도의 도입이 2009년 법 개정에 따른 연금소득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학연금가입자의 경우 법 개정 당시의 전제가 되었던 기준소득대비 보수월액의 비율인 65% 수준에 근접하는 사람은 일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60~70%기준에 포함되는 계층은 5.6%에 불과하고, 60% 이하인 자가 88.6%, 70% 이상인 자는 5.8%로 나타났다. 이는 사학연금 가입자 상당수가 기존의 보수월액이 실제 과세소득의 일정비율보다 낮은 위상에 있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2009년 법 개정 결과, 처음의 기대와는 달리 개정 이전 연금액에 비하여 높아지는 가입자가 87.5%, 낮아지는 가입자가 12.5%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연금액이 증가되었지만 보험료 부담이 함께 증가되었기 때문에 수익비 측면에서 더 유리해졌다고 할 수 없다. 더 부담하고 더 많이 받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물론, 오히려 기준소득이 보수월액보다 절대치조차 낮은 가입자도 있었다. 이 경우, 본인의 희망에 따라 법령에서 별도로 정한 최저소득기준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제점이 완화되었다. 2009년 법 개정 상에 나타난 연금액 증가는 소득재분배 요소를 도입한 2015년 법 개정으로 상대적으로 저소득 가입자는 연금액이 증가하고 고소득자는 연금액이 감소됨으로써, 2009년 법 개정에서 나타난 고소득자에게 유리할 수 있는 부분이 완화되는 결과를 만들었다. 2015년 개정은 2009년 개정 상 발생한 문제를 다소 보완하는 결과가 되었다. 공무원의 보수월액을 적용하여왔던 제도를 기준소득월액으로 바꾼 것은 사학연금 가입자가 실제의 소득에 기초하여 보험료를 부담하고 연금을 지급받을 수 있도록 되었다는 점에서 제도의 정상화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득기준의 전환으로 내재적으로 혼란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지만, 2015년의 법 개정으로 제도가 보다 완결적으로 발전가능하게 된 것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