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벽면류

Search Result 6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Effects of Baffle on Impinging Water Jet with wall jet inlet flow (벽면제트류가 유입되는 충돌수분류유동에 배플이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Choi, Jung-Sik;Oh, Woo-Jun;Cho, Dae-Hwan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9.06a
    • /
    • pp.87-88
    • /
    • 2009
  • In evaporating distillation plant velocity characteristic of fluid to flow in a evaporator have great influence on flash phenomenon. In This experimental study about impinging water jet region having the inflow of wall jet flow and effect of baffle height to flow velocity in after baffle region, making a application by PIV.

  • PDF

Analysis for the Flow and Wall Shear Stress with the Diameter Ratios of an Abdominal Aortic Aneurysm in a Pulsatile Flow (맥동 유동에서 복부 대동맥류의 직경비에 따른 유동 및 벽면전단응력 해석)

  • 모정하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3 no.3
    • /
    • pp.181-187
    • /
    • 2002
  •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two-dimensionally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flow and wall shear stress under pulsatile flow in the aneurysm which is a local dilatation of the blood vessel for pulsatile flow. The numerical simulation using the commercial software were carried out for the diameter ratios(ratio of maximum diameter of aneurysm to the diameter of blood vessel) ranging from 1.5 to 2.5 and Womersley number, 15.47. It was shown that a recirculating flow at the bulge was developed and disappeared for one Period and the strength of vortex increased with the diameter ratio Especially. at time of 3.19s. the very weak recirculating flow was developed at the left upper sites of the aneurysm. The maximum values of the wall shear stres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diameter ratio. However. the Position of a maximum wall shear stress was the distal end of the aneurysm(z = 35mm) regardless of the diameter ratios.

동축류 이차유동 분사를 이용한 추력 벡터 제어 방법에서 코안다 플랩의 형상에 따른 작동 특성 연구

  • Kim, Ju-Hyeon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6.03a
    • /
    • pp.537-540
    • /
    • 2016
  • 유체역학적 추력 방향 제어(Fluidic Thrust Vector Control) 방법 중 하나인 동축류 제어 유동 분사를 이용한 추력 방향 제어(Co-flow Thrust Vector Control)의 작동 특성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이 제어 방법은 점성 유동이 벽면에 부착되어 흐르는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를 이용하여 주 유동을 편향 시키는 방법으로서 그 편향각은 이러한 제어 유동 노즐 출구의 플랩 형상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출구 플랩 형상을 여러 가지로 바꾸어 가며 주 유동의 전압력 300kPa일 때 제어 유동의 편향각이 포화되는 제어유동의 전압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쐐기형 플랩의 각도가 증가할수록 포화 영역에서의 편향각은 증가하며 그 각은 플랩의 각도와 일치한다. 그러나 각도가 증가할수록 제어 유동이 플랩의 벽면을 지나면서 팽창파에 의해 가속되어 충격파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 충격파는 주 유동에게까지 전파되어 주 유동 제트의 속도를 감소시킨다.

  • PDF

The Distribution of Chironomids by Hydraulic Structure in Circulating Channel (수리구조물의 영향을 받는 순환수로에서의 깔따구 분포)

  • Park, Jong-Pyo;Lee, Sang-Ho;Lee, Jung-Min;Park, Jae-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017-1021
    • /
    • 2006
  • 인공순환수로에 정육면체 수리구조물을 구간별로 설치하여 흐름특성에 따른 깔따구의 서식경향을 조사하였다. 정밀한 흐름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난류계산을 수행하였으며, 인공순환수로에 깔따구를 투입하고 3일경과 후 깔따구의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인공순환수로는 단면 폭 29cm, 높이 30cm인 구조로 제작되었으며 직선구간의 길이는 120cm이다. 인공순환수로의 직선구간에 길이 10cm의 정육면체 수리구조물을 20cm 간격으로 양쪽 벽면부에 4개씩 균일하게 설치하였다. 자연하천에서 채집된 원수를 수심 20cm가 되도록 투입한 후 유기물을 하상에 고르게 깔고, 회전날개를 이용하여 평균유속 10cm/s로 안정화 시킨 후 깔따구 투입하였다. 실험시작 3일 경과 후, 깔따구의 서식경향을 조사한 결과 깔따구는 수리구조물 직하류부에 주로 서식하였다. 이는 주 흐름방향 유속분포가 수리구조물 후방에서 급격히 작아져 깔따구들이 정착하기 좋은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인공순환수로 직선구간의 안쪽 벽면과 바깥쪽 벽면의 깔따구 개체수는 안쪽 벽면이 바깥쪽 벽면에 비하여 2배 정도 많다. 이는 수리구조물 사이 안쪽 벽면 하상의 시계방향 회전흐름 때문으로 분석되며 상대적으로 이러한 흐름은 바깥쪽 벽면에서 작다. 실험 및 수치해석 결과, 깔따구는 상대적으로 유속이 작은 곳에 서식하며, 이차류의 경향에 따라 서식처를 이동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생태적 기능을 고려하여 다양한 수리학적 조건 하에서 난류계산 및 유속측정을 통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연구는 친환경적으로 하천을 복원시키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은 silt나 clay보다 입경이 큰 모래나 자갈을 경유 하면서 오염물의 저감효과가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유입유량의 대부분이 표면으로 유출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표면유출수의 오염도를 낮추는 것이 유입오염물 저감효과에 보다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문에 자료의 이상적 유지 관리가 이루어지며 복잡한 2차원 수질해석 모형을 수월하게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개발하였다.제외하면, 부자측정 방법에 의한 유량산정시 가장 큰 오차원인은 홍수시 측정된 유속측선의 위치와 홍수 전후로 측정된 횡단면상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점과, 대부분 두 측정 구간의 평균값을 대푯값으로 사용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다년간의 유량 측정 및 검증 경험과 자료를 토대로 현장에서 부자를 이용하여 측정된 측정성과를 정확도 높은 유량자료로 산정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를 추정하여 그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고자한다. 더불어 보다 정확한 유량 산정을 위한 기준과 범주를 제시하고자 한다.리적 특성을 잘 반영하며, 도시지역의 복잡한 배수시스템 해석모형과 지표범람 모형을 통합한 모형 개발로 인해 더욱 정교한 도시지역에서의 홍수 범람 해석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모형의 개발로 침수상황의 시간별 진행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도시홍수에 대한 침수위험 지점 파악 및 주민대피지도 구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 PDF

Computational Hemodynamics in the Intracranial Aneurysm Model (뇌동맥류 모델에 대한 혈류역학 해석)

  • Seo, Taewon;Byun, Jun So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7 no.10
    • /
    • pp.927-932
    • /
    • 2013
  • The intracranial aneurysm model is extracted based on the Computed Tomography (CT) scan images.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s were conducted under both steady and realistic flow conditions in ANSYS-FLUENT. The minimum wall shear stress in the intracranial aneurysm tended to occur in the aneurysmal region. The magnitude of wall shear stress along inner wall of the curvature in the right M1 segment of middle cerebral artery is approximately 20 times higher than that along both the proximal and distal walls. However, the magnitudes of the wall shear stress at the aneurysm region were considerably low. The blood flow has the complex distribution in the aneurysmal region during the systolic period. Complex helical flow patterns are observed inside the aneurysm. Through an analysis of the hemodynamic characteristics, one may predict the rupture of the cerebral aneurysms.

Flow Characteristics of Two-Dimensional Turbulent Stepped Wall Jet (2次元 亂流 Stepped Wall Jet 의 流動特性)

  • 부정숙;김경천;박진호;강창수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9 no.6
    • /
    • pp.732-742
    • /
    • 1985
  • Measurements of mean velocity and turbulence characteristics are obtained with a linearized constant temperature hot-wire anemometer in a two-dimensional turbulent jet discharging parallel to a flate. Wall static pressure distribution is also measure. The Reynolds number based on the jet nozzle width (D) is about 42,000 and the step height is 2.5D. The reattachment length is found to be 7.5D by using both wool tuft and oil methods. Upstream of the reattachment point, there exist double coherent structures and mean velocity, Reynolds stresses and triple product profiles are asymmetric about jet center line due to the influence of streamline curvature and recirculating flow region. Near the reattachment point, wall static pressure and turbulence quantities change its shape rapidly because of the large eddies by the solid wall. Especially, turbulence intensity has a maximum value in the reattachment regin, then decreases slowly in the redeveloping wall jet ragion. Downstream of X/D=14, a single large scale eddy structure is formed. Far downstream affer the reattachment(X/D.geq.18) mean velocity profile, the decay of maximum velocity and the variation of jet half width are nearly similar to those of plane wall jet, but the Reynolds stresses are higher than those of the latter.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Diesel Impinging Spray on the Room Temperature Impinging Disk (상온 충돌판에서의 디젤 충돌 분무의 거동 특성)

  • Cha, K.J.;Se, G.I.;Kim, D.J.
    • Journal of ILASS-Korea
    • /
    • v.1 no.4
    • /
    • pp.24-31
    • /
    • 1996
  • This study addresses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diesel spray injected on the impinging disk with the room temperature. The models of impinging spray are the stick, the reflect and the wall jet model In the initiative of the fuel injection the impinging spray was the reflect model. because the momentum of droplets was very large. This model developed to the wall jet model according to the time approaches. On the low temperature disk the fuel film was made by the attachment of the droplets with low Weber number. The thickness of impinging spray was increased when the disk approached to the nozzle tip. Mathematical analysis for calculation with the behavior of impinging spray have to consider the reflecting effect and the influence of the fuel film.

  • PDF

Natural Convection Flow and Heat Transfer in an Inclined Square Containing Internal Energy Sources (내부 발열을 갖는 경사진 정사각 공간에서의 자연대류유동 및 열전달)

  • 이재헌;박만흥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8 no.2
    • /
    • pp.171-177
    • /
    • 1984
  • 균일하게 분포된 내부발열을 갖는 유체가 든 경사진(수평에서 45.deg.까지)정사각형 단면의 밀폐 공간 내에서의 2차원 자연대류 유동 및 열전달에 관한 수치적인 연구가 수행되었다. 4개 벽면온 도가 동일한 경계조건에서 내부발열로 인한 자연대류 유동이 Rayleigh수 1.5*$10^{5}$까지는 층 류유동 영역의 가정하에서 수치적으로 수렴되었다. 경사진 밀폐 공간에서의 유동형태 및 온도분 포는 수평인 경우에 비하여 윗쪽 벽면 근처에서 그 상이점이 많이 나타났다. 경사각도가 증가함 에 따라 평균 열전달율이 아랫쪽 벽과 오른쪽 벽에서 증가하였고 왼쪽 벽에서 감소하였으며 윗 쪽 벽에서는 거의 일정하였다.다.

Wall-roughness effects of trapezoidal ribs on the flow of open channel (개수로 흐름에서 사다리꼴 돌출줄눈의 벽면조도 효과)

  • Shin, Seung Sook;Park, Sang Deog;Park, Ho Koo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2 no.4
    • /
    • pp.255-264
    • /
    • 2019
  • The trapezoidal ribs had been installed in the retaining wall in order to reduce to flood damage in the impingement of mountain rivers. In this study, experiments in open channel with the trapezoidal ribs on sidewall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flow resistance by the trapezoidal shape. The hydraulic flow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flow rates were surveyed where the wall roughness is k-type that dimensionless spacings, ${\lambda}_{nv}$, are 6, 9, and 12. The flow-resistance factors such as roughness and friction coefficients increased generally with increase of the spacing of ribs. In high flow rate the friction coefficient showed the maximum value when ${\lambda}_{nv}$ is 9. Though the trapezoidal ribs has the relatively smaller flow resistance compared to the square ribs, their form drag accounted for mean 62% of the total flow resistance. It was confirmed that the optimal spacing of trapezoidal ribs to maximize the effect of flow resistance as the wall roughness increases are 9 to 12 times of the height of trapezoidal ribs.

Experimental Study of Fracture Control Blasting Using the Split Tube (Split tube를 이용한 균열 제어발파 현장 실험)

  • 백승규;류창하;선우춘;최병희;김재동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19 no.4
    • /
    • pp.5-10
    • /
    • 2001
  • 발파시 공벽 주변에서 방사상으로 발생하는 무수한 균열들을 제어하고 일정한 방향으로 절단면을 형성하기 위해서 split tube를 이용한 발파 방법에 대한 현장 실험을 실시하였다. 현장 실험결과 절단면을 발달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었다. 계산에 의한 발파압력과 제어된 균열면의 길이를 비교하였다. 현장 벤치 벽면에서 에멀젼 계열 폭약의 발파 압력이 700㎫이상일 경우 균열을 원하는 방향으루 제어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공경의 30배까지 균열이 전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