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벼 키다리병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3초

벼 종자소독시 수온 처리시간 및 약량이 벼 키다리병 발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water temperature, soaking period, and chemical dosage on Bakanae disease of rice (Gibberella fujikuroi) in seed disinfection)

  • 박흥규;신해룡;이인;김석언;권오도;박인진;국용인
    • 농약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16-222
    • /
    • 2003
  • 벼 육묘기간 중에 발생되는 벼 키다리병의 방제법을 확립하고자 최근에 육성된 벼 품종별 발병 정도와 시판되는 종자소독제의 방제효과를 조사하였으며 종자소독시 약액의 온도, 처리시간 및 약량에 따른 벼 키다리병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품종별 벼 키다리병 발생정도를 조사한 결과 화영벼, 동진벼, 호안벼, 농호벼, 남평벼, 호진벼 6 품종이 저항성 품종으로, 그루벼, 소비벼, 오대벼, 주남벼, 삼천벼, 상주벼, 화봉벼 7 품종이 감수성 품종으로 분류되었다. 종자소독제별 벼 키다리병 방제효과에 있어서 prochloraz, fludioxonil, carpropamid+imidacloprid+fludioxonil 등은 높은 방제 효과를 보였으나 benomyl+thiram, thiophanatemethy+thiram, thiophanate-metyl+triflumizole등은 방제효과가 저조하였다. 종자소독당시 수온에 따른 벼 키다리병 방제가는 $10^{\circ}C$에서는 61% 이었으나 온도가 높아질수록 상승하여 $30\sim35^{\circ}C$에서는 벼 키다리병을 $95\sim98%$이상 방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자소독시간과 약량은 벼 키다리병 방제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벼 키다리병을 효율적으로 방제하기 위해서는 저항성이 강한 벼 품종과 효과가 우수한 종자 소독제 선정 그리고 종자소독시 적정수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기술: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주요 병해충 방제 - 키다리병, 줄무늬잎마름병, 흰잎마름병 방제

  • 이동철
    • 농업기술회보
    • /
    • 제48권2호
    • /
    • pp.30-31
    • /
    • 2011
  • 최근 이상기온에 따른 환경의 변화로 그동안 문제되지 않았던 병해충이 많이 발생되어, 벼농사에 큰 피해를 주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키다리병 줄무늬잎마름병, 흰잎마름병이 많이 발생되어 수확을 하지 못할 만큼 큰 피해를 주고 있다. 벼에 발생되는 주요 병해를 중심으로 발생원인을 알아보고, 방제요령을 실천하여 2011년 고품질 벼 생산으로 농가소득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벼 종자소득 어떤 병해를 막을수 있나 - 기계이앙 상자육묘 증가로 종자전염병 발생 늘어

  • 이두형
    • 농약과 식물보호
    • /
    • 제9권2호
    • /
    • pp.66-73
    • /
    • 1988
  • 우리나라에서 조사된 벼의 종자전염성 곰팡이는 35종이나 된다. 벼의 종자는 이들 병원체에 의해 감염되어 있다. 종자소득을 실시하면 모잘록병은 물론 도열병, 깨씨무늬병, 키다리병, 이삭마름병등 종자전염성 병의 발생을 미리 막을 수 있다.

  • PDF

벼 키다리병 방제를 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이용 (Use of Sodium Hypochlorite for the Control of Bakanae Disease in Rice)

  • 신동범;고재덕;이봉춘;강인정;강항원
    • 식물병연구
    • /
    • 제20권4호
    • /
    • pp.259-263
    • /
    • 2014
  •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벼 키다리병 종자소독제로서 활용 가능성을 구명하고자, 항균 활성 효과와 종자소독 효과를 연구한 결과, 차아염소산나트륨이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어 $100{\mu}l/l$ 이상의 농도에서 균총이 형성되지 않았으며 $80{\mu}l/l$ 농도에서도 균 총형성이 현저히 낮았다. 벼 키다리병균 감염 벼 종자를 차아염소산나트륨 0.3% 농도로 8시간 침지 처리 시 종자소독효과가 90%로 높았다. 또한 차아염소산나트륨 0.5%, 0.3% 용액에 감염종자를 각각 12시간 처리하였을 벼 키다리병 발병율이 4.3%, 4.7%로 무처리 발병율 97.3%에 비해 현저히 억제되었으며, 유묘 출현율이 무처리 대비 29.1%, 26.9% 높았다. 그리고 벼 키다리병이 발생하여 자연 감염된 주남벼 종자를 사용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 처리한 후 prochloraz 처리와, prochloraz를 처리한 후 차아염소산나트륨 처리의 종자 감염율이 각각 4.0%, 6.3% 로서 prochloraz 단독처리 13.7% 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벼 키다리병 발병율도 각각 3.7%, 8.3% 로 prochloraz 단독처리 14.3% 보다 낮았다. 아울러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처리한 후 prochloraz를 처리한 것에서 더 높은 종자소독효과를 보였다.

피에서 분리한 Fusarium fujikuroi의 동정 및 벼 키다리병의 전염원 가능성 (Identification of Fusarium fujikuroi Isolated from Barnyard Grass and Possibility of Inoculum Source of Bakanae Disease on Rice)

  • 최효원;이용환;홍성기;김완규;이영기;천세철
    • 식물병연구
    • /
    • 제17권1호
    • /
    • pp.82-85
    • /
    • 2011
  • 2009년 전남 해남 지역의 논에서 벼 키다리병과 유사한 병징을 나타내는 피를 채집하여 병원균을 분리하였다. 이병 식물체는 줄기가 고사하여 하얗게 말라 죽고, 줄기 표면에 흰가루 모양의 포자가 형성되었다. 분리균은 균학적 특성과 분자생물학적 특성에 따라 Fusarium fujikuroi로 동정되었다.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alpha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GenBank에 등록된 F. fujikuroi와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벼와 피를 대상으로 침지접종에 의해 병원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피가 벼 키다리병의 전염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벼 키다리병의 방제와 건전종자의 채종을 위해서는 논에 발생한 이병식물체뿐 아니라 전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피를 제거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비유기수은 종자소독제개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seed disinfectant in non-mercurious compounds)

  • 이두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3-71
    • /
    • 1979
  • 비유기수은 종자소독제의 개발을 목적으로 배도열병균, 벼깨씨무늬병균 및 벼키다리병균에 감염된 증자 4개품종을 공시하고 Blotter 법, 물한천평판법 및 유묘 검정법 등을 통해서 12종의 약제에 대한 약효를 검정하는 동시에 검정방법별 차이를 검토하고 약해발현 여부등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벼${\cdot}$도열병, 벼${\cdot}$깨씨무늬병 및 벼${\cdot}$키다리병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약효가 좋았던 것은 Sisthane, $P_{242}$ 및 Sodium Omadine이었다. Benlate T 및 Homai는 깨씨무늬병에 대한 약효가 낮았으며, Busan 30 및 Panoctine은 유묘검정에서 키다리병에 대한 약효가 낮았다. 약효검정방법으로서는 도열병에 대해서는 Blotter법이, 깨씨무늬병과 키다리병에 대해서는 물한천평판법이 좋았다. 발아율 및 초기생육에 미치는 약제의 최아전종자소독 결과, 약해의 유발은 없었다.

  • PDF

벼 종자소독 전 침종에 따른 소독효과 및 효율성 향상 (Improving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Disinfection by Soaking Seeds before Rice Seed Disinfection)

  • 윤여태;정종태;김규철;김병련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7권3호
    • /
    • pp.137-146
    • /
    • 2022
  • 벼 종자소독은 키다리병 경감을 위해 필요한 과정으로 소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30℃의 고온에서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벼 종자소독(30℃에서 48시간)을 마친 종자는 유아의 길이가 파종하기에 짧아 적당한 유아의 길이가 될 때까지 추가적인 침종작업이 필요한데, 품종별로 유아의 생장속도가 달라 농민들은 수온을 조절하고 유아의 길이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운 농작업으로 생각하고 있다. 따라서 키다리병 방제효과를 높이면서 종자소독 후 즉시 파종이 가능한 소독방법을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벼 종자소독 전 찬물에 2일간 종자를 침종하고 고온으로 종자소독(30℃ 48시간) 하면 파종하기 적당한 유아의 길이(1 mm 내외)가 되었고, 관행 대비 성묘율은 차이가 없으면서 키다리병은 64%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종자를 찬물에 침종 후에 소독하는 새로운 소독 방법이 키다리병 방제효과가 높은 이유를 구명하기 위해, 메틸렌블루 염색약을 이용하여 침종처리한 종자와 침종처리 하지 않은 종자를 염색한 결과 침종처리한 종자는 내부 및 외부 배유의 약 50%가 염색되었다. 따라서 종자소독 전 침종처리를 하면 소독약이 종자 내부의 배유까지 흡수되므로 내부에 있는 키다리병 포자까지 효과적으로 살균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새롭게 개발된 소독방법은 종자소독 전 2일간 찬물로 침종처리 하면, 관행 방법 대비 침종작업시 수온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고 벼 품종과 소독약 종류에 상관없이 유아의 길이는 1 mm 내외가 되어 농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키다리병 발생을 관행대비 감소시킬 수 있어 농업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수확전(收穫前) 논의 벼줄기에 감염(感染)된 Fusarium moniliforme에서의 Gibberella 자낭각(子囊殼)의 발생(發生) (Before Harvest Occurrence of Gibberella Perithecia of Fusarium moniliforme on Infected Rice Stems In field)

  • 성재모;스나이더
    • 한국균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3-37
    • /
    • 1977
  • 포장(圃場)에서 키다리병(病)에 걸린 줄기와 종자(種子)로 부터 얻은 자낭각이 어느 종류(種類)의 Gibberella에 존재(存在)하며, 수확후(收穫後)에 얻은 자낭각의 생존(生存)여부를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처리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종자소독(種子消毒)을 하지 않은 포장(圃場)에서 키다리병(病)의 이병율(罹病率)은 평균(平均) 12%이었다. 2. 수확전(收穫前)에 얻은 자낭각은 키다리병의 자낭각이 적미병의 자낭각보다 많았으나 종자(種子)나 봄에 채집한 자낭각은 거의 적미병에 있었다. 3. 키다리병에 이병된 벼에서 채종한 종자(種子)에서 키다리병, 적미병, Ophiobolus sp.는 10, 25, 8%로 나타났으며 이병(罹病)된 줄기로부터 얻은 포자(胞子)로 접종(接種)한 종자(種子)에서는 3, 10, 2%로 나타났다. 4. 적미병자낭각을 야외 땅속 실내 집눌속에 놓고 5개월이 지난다음 생존(生存)여부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야외에 놓은 것만 발아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