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벼과

Search Result 12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Floristic features of orchards in South Korea (우리나라 과수원에 출현하는 식물상 특성)

  • Kim, Myung-Hyun;Nam, Hyung-Kyu;Eo, Jinu;Song, Young-Ju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7 no.4
    • /
    • pp.447-466
    • /
    • 2019
  • The orchard flora where perennial fruit trees are grown may be different than in arable fields where annual crops are grown. The study focused on the floristic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orchards in South Korea. The flora surveys were conducted in 36 areas in nine provinces at two times (May-June and August-September) in 2014.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ascular orchard plants in South Korea included 466 taxa, which contained 91 families, 278 genera, 420 species, two subspecies, 39 varieties, four forms, and one hybrid. Among the 91 families, Compositae was the most diverse in species (66 taxa), followed by Gramineae (51 taxa), Leguminosae (28 taxa), Cyperaceae (18 taxa), Polygonaceae (17 taxa), Cruciferae (16 taxa), and Labiatae (14 taxa). Based on the occurrence frequency of each species, Digitaria ciliaris (Retz.) Koel. (100%) was the highest, followed by Acalypha australis L. (94.4%), Commelina communis L. (94.4%), Persicaria longiseta(Bruijn) Kitag.(91.7), Capsella bursa-pastoris(L.) L. W. Medicus(91.7%), Erigeron annuus (L.) Pers. (91.7%), Mazus pumilus (Burm. f.) Steenis (86.1%), Artemisia princeps Pamp. (86.1%), Cyperus microiria Steud. (86.1%), Stellaria aquatica (L.) Scop. (83.3%), Stellaria media(L.) Vill.(83.3%), and Echinochloa crus-galli (L.) P. Beauv.(83.3%). The biological type of orchards in South Korea was determined to be Th-5-D4-e type. Rare plants were found six taxa: Cinnamomum camphora (L.) J. Presl, Aristolochia contorta Bunge, Melothria japonica (Thunb.) Maxim., Ardisia crenata Sims, Gnaphalium hypoleucum DC., and Aster koraiensis Nakai. Eighty-five taxa contained naturalized plants composed of 23 families, 58 genera, 80 species, four varieties, and one form. The urbanization and naturalization indices were 26.3% and 18.2%, respectively.

Survey for Amino Acid of Medicinal Herbs (약초중의 아미노산 함량 조사)

  • Hwang, Jin-Bong;Yang, Mi-Ok;Shin, Hyung-Kyung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0 no.1
    • /
    • pp.35-41
    • /
    • 1998
  • Essential amino acid composition of seventy eight medicinal herbs marketed in Korea was analyzed of the basis of their dried weight. From the results analyzed, it was shown that Alisma orisntale (S.) J. (1,911.5 mg%), Foeniculum vulgare M. (1,090.8 mg%), Artemisia princeps P. (1,073.6 mg%) and Typha latifolia L.(956.1 mg%) contain in threonine. Alisma orisntale (S.) J. (2,523.3 mg%), Nelumo nucifera G. (1,984.7 mg%) and Foeniculum vulgare M. (1,553.8 mg%) contain in lysine. Nelumo nucifera G. (738.3 mg%), Alisma orisntale (S.) J. (635.2 mg%) and Foeniculum vulgare M. (507.7 mg%) contain in methionine. Nelumo nucifera G. (2,496.9 mg%), Alisma orisntale (S.) J. (2,295.6 mg%) and Coix lachrymajobi L. var. M. S. (2,222.5 mg%) contain in leucine. Nelumo nucifera G. (1,624.6 mg%), Alisma orisntale (S.) J. (1,432.7 mg%) and Xantnium strumarium L. (1.371.7 mg%) contain in isoleucine. Alisma orisntale (S.) J (1,791.0 mg71), Nelumo nucifera G. (1,570.6 mg%) and Xantnium strumarium L. (1,498.7 mg%) contain in phenylalanine.

  • PDF

새로운 식품소재로서의 의곡류 amarans, quinoa의 제빵 특성에 관하여

  • Morita, Naofu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0.04a
    • /
    • pp.6-7
    • /
    • 2000
  • 개발도상국의 급격한 인구 증가에 의해 세계 60억 이라는 인구도 2050년을 맞아 약 100억에 도달할 것이라고 일컬어진다. 이로 인한 장래의 식량 위기에 대비하여 벼, 밀, 옥수수 등의 증산, 품종 개발도 물론 필요하지만 선진국을 중심으로 시장성 높은 작물의 소비가 우선되어지는 상황에 맞추어 세계적으로 주식이 될 수 있는 새로운 곡류의 확보와 생산체제도 중요한 문제이다. 한편으로 생활의 향상에 따른 식물의 다양화와 건강지향의 관점으로 본 다 품목 소량형의 식생활을 하는 것이 식물성 allergy의 방지 측면으로서의 곡류 특히 잡곡류의 유효 이용이 부각되어진다. 이들 중 amarans, quinoa는 벼과 식물에 비교해서 광합성능이 좋은 C4식물로서 생장이 빠르고 동시에 비타민, 무기질, 지질이 풍부하고 구성 단백질 중에 필수 아미노산을 많이 함유하여 아미노산 등급도 높고 특히 영양 발란스도 우수하다. 또 cholesterol 저하작용, 식물섬유에 의한 대장암의 억제 작용 등이 잘 알려져 있다. 그리l고 quinoa에 대해서는 아메리카 항공우주국(NASA)에서 CELSS(Controlled Ecological Life Support System; 장기간 우주특무비행의 승선원을 위한 공기중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고 식량·산소·물을 만들어 내기 위해 식물을 이용하는 방법)에 적합한 작물 후보로써 선택되어 신규 식품소재로써 주목받고 있다. 이상과 같은 견지로부터 amarans, quinoa를 일상식화되고 있는 빵에 이용하기 위해 제빵성 및 혼합중의 반죽의 모든 성질에 대해서 검토했다. amarans는 초과의 Amaranthus에 속하고 주요 생산국은 아메리카, 멕시코, 페루등이지만 일본에서는 주로 A.hypochondriacus가 수입되어 이용 되어지고 있다.amarans의 가루는 단독으로는 점탄성 있는 반죽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밀가루에 일부를 대용한 wheat flour dough를 사용하고 가정용 제빵기로 구워 최종 단계에까지의 제빵성 결과를 산출했다. amarans folur 5%의 대체에는 빵의 비용적이 비교적 증대했지만 그 이상 amarans flour을 대처하면 확연히 비용적은 감소했다. amarans flour 10% 대체에 hemicellulase 1250U 이상을 첨가하면 비용적은 눈에 띄게 증대했다. farinograph에 있어서 반죽의 안정성은 amarans flour 10% 대용에 현저히 감소했다. 반죽의 점탄성(아축응력, 탄성률, 점성계수)는 amarans flour 10%를 대용한 것이 무첨가한 것보다 많이 단단해졌음을 알 수 있었다. 혼합중의 반죽의 조사형 전자현미경 관찰로 amarans flour로 대체한 gluten이 단단해졌음을 알수 있었다. 유화제 stearly 칼슘, 혹은 hemicellulase를 amarans 10% 대체한 밀가루에 첨가하면 확연히 비용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quinoa는 명아주과 Chenopodium에 속하고 페루, 볼리비아 등의 고산지에서 재배 되어지는 것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quinoa 분말은 중량의 5-20%을 quinoa를 대체하고 더욱이 분말중량에 대하여 0-200ppm의 lipase를 lipid(밀가루의 2-3배)에 대하여 품질개량제로서 이용했다. 그 결과 quinoa 대량 7.5%에서 비용적, gas cell이 가장 긍정적 결과를 산출했고 반죽의 조직구조가 강화되었다. 또 quinoa 대체에 의해 전분-지질 복합제의 흡열량이 증대된 것으로부터 전분-지질복합제의 형성 촉진이 시사되었다.이것으로 인하여 호화억제에 의한 노화 방지효과가 기대되었지만 실제로 빵의 노화는 현저히 진행되었다. 이것은 quinua 대체량 증가에 따른 반죽의 안정성이 저하되어 버린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더욱이 lipase를 첨가하면 반죽이 분화하는 경향이 보여졌지만 첨가량 75ppm에 있어서 상당히 비용적의 증대가 보였다. 이것은 lipase의 가수분해에 의해 생긴 monogliceride에 의한 유화각 일어나서 보존성이 개선되어진 것으로 quinoa를 보다 많이 빨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lipaserk 품질개량제로서 유효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lipase는 quinoa의 대체량이 비교적 많은 10-20%의 섭취가 곧 allergy 질환 문제의 개선책이 되는 것은 물론 amarans, quinoa에는 lysine, 함황아미노산이 많고 지질중의 지방산조성도 좋고 무기질도 많이 함유되어 있다. 이와같이 우리들 개인의 건강에 대한 배려도 있고 amarans, quinoa등의 식품재료를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유념해 두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 PDF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Weeds on Orchard Fields in Chungbuk Province of Korea (충북지역 과수원 발생 잡초 분포 현황)

  • Lee, Chae Young;Park, Jae Seong;Lee, Hee Du;Kim, Eun Jeong;Hong, Eui Yon;Hong, Seong Taek;Woo, Sun Hee
    • Weed & Turfgrass Science
    • /
    • v.5 no.2
    • /
    • pp.71-81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weed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n the orchard fields (apple, pear, peach, grape) at 387 sites in Chungbuk province of Korea from May to September in 2015. From the result of this survey, 200 weed species in 47 families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to 82 annuals, 40 biennials and 78 perennials. Based on the occurrence ratio, the most dominant weed species in Chungbuk province orchard fields were higher in order of Digitaria ciliaris (4.12%), Echinochloa crus-galli (3.60%), Stellaria aquatica (3.45%), Artemisia princeps (3.07%) and Chenopodium album (3.06%). The composition of major occurred weed families, Compositae, Poaceae, Leguminosae and Cyperaceae were 21, 9, 6 and 6%, respectively. Coefficient of similarity between a various orchards based on the degree of dominance were ranged from 68.7-91.8%. The most important weed species at apple, peach, grape was Digitaria ciliaris while these for pear was Poa annua. Fifty-one exotic weed species were also ident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ful information for estimation of future weed occurrence, weed population dynamics and establishment of weed control methods on the orchard fields in Chungbuk province of Korea.

Vascular Plants and Their Characteristics Cited in Science Textbook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초.중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인용된 관속식물의 종류와 특징)

  • Lim, Jae-Weon;Yoo, Ki-Oug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2 no.1
    • /
    • pp.78-95
    • /
    • 2009
  • This study was examined the vascular plants and their characteristics cited in 311 science textbook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used in the fifth to seventh curriculum. Vascular plants were composed of 129 families, 332 genera, 383 species, 2 subspecies, 47 varieties, 6 forma, and 3 hybrid, totaling 441 taxa. The herbs and trees were consists of 280 taxa (63.5%) and 161 taxa (36.5%), respectively. Native species (241 taxa) were more cited than non-native species (200 taxa). The number of species within a family were high ranked in 35 taxa of Compositae, and 26 taxa of Gramineae. Nine species including endemic genus Hanabusaya Nakai and Abeliophyllum Nakai among the 441 taxa were Korean endemic, and the 25 rare and 12 endangered plants were also included. Based on the list of the species of specially designated plant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83 taxa were recorded in the investigated textbooks, and the naturalized plants were 16 taxa. 441 taxa listed consists of 185 taxa (41.9%) of edible plants, 148 taxa (33.5%) of medicinal plants, 139 taxa (31.5%) of ornamental plants, 87 taxa (19.7%) of pasture plants, 34 taxa (7.7%) of timber plants, 13 taxa (2.9%) of miscellaneous plants, 8 taxa (1.8%) of fiber plants, and 3 taxa (0.7%) of industrial plants.

일산 이산포 역사시대의 미고생물학적 연구

  • Lee, Sang-Heon;Kim, Ju-Yong;Yang, Dong-Yun;Hong, Se-Seon;Sin, Suk-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Quaternary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11a
    • /
    • pp.75-76
    • /
    • 2004
  • 일산 이산포 BH-4 발굴단면의 퇴적물 시료로부터 화분 포자 및 담수성과 해양성조류화석이 다양하고 풍부하게 산출되었다. 산출된 식물기원 미화석 중, 목본화분 $25{\sim}60%$, 초본화분 $15{\sim}70%$ 그리고 포자 $4{\sim}30%$ 각각 구성 되었다. 또한 담수성 조류(freshwater algae)는 전체 단면구간에서 산출된 반면, 와편모류(dinoflagellate), 아크리타치(acritarch)와 같은 해양성조류(marine algae)는 하부단면구간(절대고도: 3.31-2.74 m)에서만 산출되었다. 산출된 화분 포자 및 통계처리기법(CONISS)을 이용하여 2개의 지역화분대 (local pollen a assemblage zone) 및 4개의 아화분대(local pollen assemblage subzone)가 설정되었다. 제I화분대(시료 $Al-2{\sim}A6-1$, 고도 $2.70{\sim}3.31\;m$)는 다시 제Ia아화분대(시료 $Al-2{\sim}A3-1$, 고도 $2.70{\sim}3.00\;m$)와 제Ib아화분대(시료 $A4-2{\sim}A6-1$, 고도 $3.01{\sim}3.31\;m$)로 세분되었으며; 제II화분대(시료 $A7-2{\sim}A10-1$, 고도 $3.32{\sim}3.72\;m$) 역시 두개의 아화분대인 제IIa(시료 $A7-2{\sim}A8-1$, 고도 $3.32{\sim}3.51\;m$)와 제lIb(시료 $A9-2{\sim}A10-1$, 고도 $3.53{\sim}3.72\;m$)로 이루어졌다. 화분군집조성에 의하면, 미화석들이 퇴적되었던 시기동안에 2개의 산림(forest)형태가 발달했던 나타났다. 제I화분대(고도, $3.31{\sim}2.74\;m$)의 시기동안에는 침엽수와 낙엽활엽수로 이루어진 혼합림으로, 주요 식생은 2엽소나 무(Diploxylon), 가문비((Picea), 낙엽송(Larix)의 침엽수와 참나무(Quercus), 자작나무(Betula), 개암나무(Corylus), 중국굴피 나무속(Pterocarya)의 낙엽활엽수 등이 산악-구릉지에서 주로 서식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습생나무인 오리나무(Alnus), 버드나무(Salix)등과 해안가 등지에서 잘 서식하는 양치식물과 사초과(Cyperaceae), 명아주과(Chenopodiaceae) 같은 풀들이 하구언(estuary)의 해안가에 주로 서식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동안에 해양성조류인 와편모류와 담수성 조류가 동시에 다양하게 산출되는 것은 하구언 퇴적환경이었음을 잘 지시해 준다. 제II화분대(고도, 43.72{\sim}3.36\;m$)가 시작되면서 혼합림은 침엽수림으로 바뀌었으며, 낙엽활엽수들의 서식지가 2엽소나무로 대치되면서 침엽수가 주요 수종을 이루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아마도 이런 산림형태는 자연 기후환경변화 뿐만 아니라 인간간섭에 의해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 이 시기에 경작식물인 벼과(Gramineae), 옥수수(Zea), 메밀(Fagopyrum)과 논밭의 뚝 등지 에서 서식하는 돼지풀(Ambrosia) 등이 처음으로 산출되는 것으로 보아 인간간섭이 행해졌음을 잘 뒷 받침해준다. 또한 담수성 조류는 변함없이 산출되는 반면, 해양성조류인 와편모류가 산출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해안환경에서 다소 멀 어진 저지대의 습윤한 충적대지환경으로 변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고고학 유적지에서 적용 가능한 농경 지시자료와 한반도의 농경활동

  • Kim, Hye-Ryeong;Yun, Sun-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Quaternary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11a
    • /
    • pp.23-25
    • /
    • 2006
  • 제4기 만빙기에서 후빙기 사이의 기후변화는 인류문명에 있어 정착생활 및 농경활동과 더불어 잉여생산물 저장을 위한 토기제작 등과 같은 생활상의 변화를 가져 온 계기가 되었다(F.M. Chambers, 1993; Guoyu Ren, 1998; Mori Y, 2002; Martin Bell et al., 2004). 식물화석, 화분, 식물규소체 등의 대리자료(proxy data)를 이용하여 이시기의 식생환경을 밝히는 것은 고생태복원분야 뿐 아니라 당시의 환경변수들 을 추정하여 인간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그러나 홀로세 초기 환경은 인간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나 후기로 올수록 인간 스스로가 환경을 변화시키는 주체가 되었다(Martin Bell et al., 2004). Meyer&Turner(1994)는 인간활동이 자연적인 영향보다 생물구에 시계열적인 변화를 가져왔다고 하였으며, R.B Singh(1995)는 현재뿐 아니라 과거까지 다양한 인위 적인 간섭이 전지구적인 환경변화를 야기 시키는 주된 원인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환경을 복원한다는 것은 바로 그 지역을 생활 터전으로 삼았던 당시 선사인들의 생활상을 간접적으로 들여다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준다. 현재까지 국내 고고학 유적지에서 이루어진 대부분의 발굴조사는 유물과 유구를 토대로 당시 선사인의 생활상을 밝히는데 중점을 두었으나 최근 인간과 영향을 주고 받았을 환경에 관심을 갖고 이를 통해 역으로 인간활동을 추적하려는 다수의 연구들이 제4기학, 고고학, 지리학, 인류학, 생물학, 농학, 기후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제간 연구로 진행되고 있다(황상일 등, 1999; 조현종, 2000; 김주용 등, 2002; 최정민, 2004; 윤순옥 등, 2005). 그러나 이러한 연구에 있어서 어떠한 대리자료(proxy data)를 어떻게 고고학 유적지에 적절하게 적용시킬 것인지 대리자료의 조성변화나 값의 해석에 있어서 기후인자와 인간영향을 어떻게 분리해 낼 것인지에 대한 문제점이 남는다. 예를 들어 화분분석의 경우 1차적인 환경변화에 따른 식생조성변화를 반영한다. 인간이 활발한 농경활동을 하게 되면서 주변식생을 제거하게 되고, 제거된 나대지에는 재배작물과 잡초들이 자라게 된다. 그리고 이들 화분은 주변 소택지에 퇴적물과 함께 퇴적되어 화분분석 결과 벼과(科)(Gramineae)와 문화지표수종이라 부르는 여뀌속(屬)(Persicaria), 국화과(科)(Composite), 쑥속(屬)(Artemisia), 쐐기풀속(屬)(Urtica) 등의 화분에 있어 확연한 조성변화를 보여준다. 그러나 화분을 이용한 분석은 토탄층이나 유기질 퇴적물이라는 한정된 토양에서만 분석이 가능하며, 조성변화에 있어서 역시 기후와 인간활동의 영향 모두를 반영하기 때문에 이를 구분해 주는 명확한 기준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대리자료 중 고고학 유적지에 적용 가능한 동식물 화석 및 미화석, 지리, 지질학적 자료에 어떠한 것들을 적용할 수 있는지를 살피고, 몇 가지 대리자료를 중심으로 선사인의 농경활동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Aquatic and Riparian Flora of Hwangjicheon Stream (황지천의 수생 및 수변 식물상)

  • Hwang, Yong;Hong, Jeong-Ki;Bae, Mi-Jung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3 no.2
    • /
    • pp.138-152
    • /
    • 2020
  • We investigated the Riparian floras in Hwangjicheon stream from April 2017 to October 2019. 223 taxa (i.e. 203 species, 2 subspecies,18 varieties from 158 genera of 65 families) of the vasclur plants were found in Hwangjicheon stream. Among 223 taxa, we found 4 endemic species, and However, rare and endangered plants were not found in Hwangjicheon stream. The number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was 22 (i.e. 3 species of IV degree, 4 taxa of III degree, 7 taxa of II degree, and 8 taxa of I degree). In addition, 28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nd the percentage of Naturalized Index (NI) and Urbanization Index (UI) were 12.5%, and 8.7%, respectively. Vascular plant usability and reclassification result is Edible 166 species (74.4%), Medicinal 187 species (83.8%), Flavor 9 species (4.0%), Industrial 99 species (44.3%), Ornamental 106 species (47.5%), Restoration 84 species (37.6%), Compost 112 species (50.2%), Unknown 5 species (2.2%). We hope that our results provide reference data to set up strategy of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in the Hwangjicheon stream and Taebaek-si areas.

The Restudying of Naturalized Plants in Jeju Island (제주도의 귀화식물에 관한 재검토)

  • Yang Young-Hoan;Kim Moon-Hong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8 no.2
    • /
    • pp.325-336
    • /
    • 2005
  • The life form, the origin and the time of introduction of those naturalized plants grown in Jeju-Do, korea were grasped by conducting the documentary survey, and the field survey thereof. The naturalized plants were total 199 taxa including 185 species, 12 varieties and 2 cultivar, which belong to 115 genera, 32 families. The classification of families, there were 43 taxa of Compositae ($21.6\%$), 32 taxa of Gramineae ($16.8\%$), 17 taxa of Legumlinosae ($8.5\%$), and 13 taxa of Cruciferae ($6.5\%$). As the life forms of the naturalized plants in Jeju Island were there 91 taxa of annual plants, 31 taxa of biennial plants, 16 taxa of annual or biennial plants, 57 taxa of perennial plants, and 4 taxa of trees. The distribution of the naturalized plants, the were 29 taxa thereof were located in Jeju Island, 20 taxa in Jeju Island as well as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33 taxa in Jeju Island as well as in the central part of Korean Peninsula, and 117 taxa in the entire area of South Korea. As 89 taxa thereof were originated from America, 69 taxa from Europe, 2 taxa from Africa, 22 taxa from Asia, 1 taxa from Oceania, and 16 taxa from other provinces. As 38 taxa thereof had been introduced into Jeju Island before 1921, 23 taxa from 1922 to 1963, and 138 taxa since 1964.

Distribution of halophytes in coastal salt marsh and on sand dunes in Korea (한반도 해안염습지와 사구 염생식물 분포)

  • Shim, Hyun-Bo;Cho, Won-Bum;Choi, Byoung-Hee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39 no.4
    • /
    • pp.264-276
    • /
    • 2009
  • To elucidate the distribution of halophytes in Korea, we surveyed 95 coastal salt marsh and sand dune areas. As a result, 62 halophytes of 57 species, 4 varieties and 1 form belonging to 44 genera and 21 families were recorded from coastal regions and islands of South Korea. Of these, 33 taxa were plants growing on sand dunes and the other 29 in salt marsh. Fifty eight taxa were found on the west coast, which was surveyed at 61 areas. The most common species among them were Suaeda glauca (Bunge) Bunge, Suaeda japonica Makino, Phragmites communis Trin., Zoysia sinica Hance, Carex scabrifolia Steud. in salt marsh, and Salsola komarrovii Iljin, Lathyrus japonicus Willd., Limonium tetragonum (Thunb.) A.A. Bulloc, Calystegia soldanella Roem. & Schult. on sand dunes. On the other hand, only 45 taxa were found on the southern coast, surveyed at 15 areas. On the east coast, surveyed at 13 areas, 44 taxa were found. The most common species were Salsola komarrovii Iljin, Lathyrus japonicus Willd., Calystegia soldanella Roem. & Schult., on sand dunes and Linaria japonica Miq., which on the Korean peninsula is found only on the east coast. On Jeju Island, surveyed at 6 areas, 30 taxa of halophytes were found. Canavalia lineata (Thunb.) DC. is found in Korea only on Jeju Island. About half of the Korean halophytes were members of three families (Chenopodiaceae: 12 species, Poaceae: 12 species and Asteraceae: 7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