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벡터양자화

Search Result 318,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Performance Analysis of LSP Vector Quantization and New Improved LSP Vector Quantization Method (LSP 벡터 양자화의 성능 분석과 성능이 향상된 새로운 LSP 벡터 양자화 방법)

  • 박호종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3
    • /
    • pp.59-64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LSP 벡터 양자화의 성능에 대하여 분석하고 성능이 향상된 새로운 LSP 벡터 양자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10msec프레임 구조를 가지고 Moving Average 예측 필터를 사용한 LSP Split 벡터 양자화의 성능을 여러 훈련 방법과 벡터 Split 방법 및 Bit 할당 방법에 따라 비교한다. 다음, Split 벡터 양자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 운 Split 벡터 양자화 검색 방법을 제안한다. 스펙트럼 왜곡지수를 이용한 양자화 성능 측정 결과 새로 제안된 방법이 기존의 방법보다 우수한 양자화 성능을 보인다.

  • PDF

An Effective Vector Quantization using Generating Sequence of the Vector (벡터의 발생 순서를 이용한 효율적인 벡터양자화)

  • 김동환;윤재선;홍광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2000.12a
    • /
    • pp.189-192
    • /
    • 2000
  • 벡터양자화는 신호의 압축에 이용되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유클리드 거리 등을 이용한 거리 계산량이 많아서 코드북 크기나 압축율의 제한이 있게 된다. 따라서 PDS(partial distance search)와 같은 벡터양자화 부호화의 계산량을 줄이기 위한 많은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웃한 음성신호는 급격히 변하지 않고 서서히 변해가는 성질에 착안하여 현재의 벡터 다음에 발생되는 벡터를 조사하여 인덱스를 저장한 후 이를 다음 벡터의 벡터양자화 때 참고함으로써 불필요한 계산을 줄이는 방법이다. 제안한 방법으로 음성신호에 대해 실험한 결과 전탐색의 결과와 비교하여 빠른 시간에 큰 오차없이 벡터양자화 부호화를 할 수 있었다. 이 방법은 PDS와 같은 이미 제안되어 있는 많은 방법들과 같이 이용하면 더욱 효과적인 벡터양자화 부호화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Vector Quantization using Genetic Algorithm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벡터 양자화)

  • 임현택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c
    • /
    • pp.197-200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유전자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을 사용하여 벡터 양자화(vector quantization : VQ)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벡터 양자화를 수행하여 코드북(codebook)을 생성할 때 생성된 코드북과 학습벡터(training vector)사이에는 반드시 양자화 오차(quantization error)가 발생하는데 기존의 K-means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코드북을 생성했을 경우 양자화 오차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벡터 양자화는 이 양자화 오차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연구되었다. 제안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음성데이터를 기존의 K-means 알고리즘에서 클러스터의 중심을 선택하는 방법중의 하나인 Minimax방법으로 코드북을 생성하여 제안한 방법과 양자화 오차를 비교한 결과 양자화 오차가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Comparison between Vector quantization and Scalar quantization in multiuser MIMO systems with limited feedback (제한된 피드백을 가지는 다중사용자 다중안테나 시스템에서 벡터 양자화 기법과 스칼라 양자화 기법의 성능 비교)

  • Ko, Kyeong-Jun;Lee, J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7a
    • /
    • pp.4-5
    • /
    • 2010
  • 다중사용자 다중안테나 시스템은 높은 성능 이득을 가지기 때문에 현재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다중사용자 시스템은 필연적으로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송신단이 각 수신단의 채널 정보를 완전히 알면 기존의 간섭제거 기법으로 완벽히 간섭을 제거할 수 있지만 제한된 피드백 환경에서는 그럴 수 없다. 제한된 피드백 환경에서는 채널을 양자화 해야 되는데 양자화 기법으로는 벡터 양자화와 스칼라 양자화 기법이 있다. 일반적으로는 벡터 양자화가 스칼라 양자화 보다 성능이 더 좋다고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벡터 양자화와 스칼라 양자화의 성능을 비교하고 그 차이가 어느 정도 되는 지 실험결과를 통해서 알아보겠다.

  • PDF

A Method of Adaptive ISF Split Vector Quantization Using Normalized Codebook (정규화 코드북을 이용한 분할 벡터 구조의 ISF 적응적 양자화 기법)

  • Piao, Zhigang;Lim, Jong-Ha;Hong, Gi-Bong;Lee, In-Sung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0 no.5
    • /
    • pp.265-272
    • /
    • 2011
  • In most of the ISF (or LSF) based real time speech codec, SVQ (split vector quantization) method is used to decrease the quantizer complexity and memory size of codebook. However, it produces drawback that the level of correlation between code vectors can not be used during vector splits. This paper presents a new method of adaptive ISF vector quantization, which compensates the drawbacks of SVQ structured quantizer for wideband speech codec. In each different frame, the proposed method makes use of the correlation between splitted vectors by adaptively changing codebook distribution according to ordering property of ISF. The algorithm is evaluated in AMR-WB, and shows about 1.5 bit per frame improvement.

An Improved K-menas Algorithm Quantization Error in Clusters (클러스터 양자화 에러를 고려한 개선된 K-means 알고리즘)

  • 유성필;권동진;곽내정;박원배;송영준;안재형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05c
    • /
    • pp.257-262
    • /
    • 2002
  • 영상을 적은 비트로 표현할 때 먼저 양자화를 이용하여 칼라맵을 생성한다. 그리고 적은 비트의 칼라맵으로도 인간의 시각에 적합하게 표현하기 위해 디더링을 결합한다. 본 논문에서는 디더링 기법중 오차확산법이 주변화소로 양자화 에러를 확산한다는 것을 고려하여 칼라맵을 생성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방법은 LBG 알고리즘의 개선하여 클러스터의 양자화 벡터를 구하는 각각의 반복단계에서 현재 양자화 벡터와 새로운 중심값(centroid)을 연결하는 직선 상에서 새로운 양자화벡터를 구하는 기존의 알고리즘에 에러를 고려하여 새로운 양자화 벡터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방법을 적용하였을 때 기존의 LBG 알고리즘에 비해 양자화 영상과 디더영상의 화질이 개선되었다. 또한 각 칼라별 MSE 와 영상전체 MSE 에 대해서도 제안방법은 기존의 LBG 알고리즘에 대해 개선되었다.

  • PDF

Isolated Word Recognition Based on Finite-State Vector Quantization (유한상태 벡터양자화를 이용한 격리단어인식)

  • 윤원식;은종관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5 no.3
    • /
    • pp.50-57
    • /
    • 1986
  • 유한상태 벡터양자화 방법을 이용한 격리단어인식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다. 이 인식시스템은 codebook과 next-state function 으로 구성된 일종의 finite-state machine으로 볼 수 있다. 유한상태 벡 터양자화방법을 이용한 격리단어 인식시스템은 일반적인 벡터양자화방법을 이용한 인식시스템에 비하여 소요시간이 감소하며 입력음성을 분할할 필요도 없는 한편 두 시스템의 인식율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 다. Next-state function을 구하는 방법에는 conditional histogram 방법과 omniscient design 방법이 있 으며, 이 방법들의 성능비교를 위해 영부터 구까지의 한국어 숫자음성에 대한 인식실험을 수행하였다.

  • PDF

The Binary Tree Vector Quantization Using Human Visual Properties (인간의 시각 특성을 이용한 이진 트리 벡터 양자화)

  • 유성필;곽내정;박원배;안재형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6 no.3
    • /
    • pp.429-435
    • /
    • 2003
  • In this paper, we propose improved binary tree vector quantization with consideration of spatial sensitivity which is one of the human visual properties. We combine weights in consideration with the responsibility of human visual system according to changes of three primary color in blocks of images with the process of splitting nodes using eigenvector in binary tree vector quantization. Also we propose the novel quality measure of the quantization images that applies MTF(modulation transfer function) to luminance value of quantization error of color image. The test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generates the quantized images with fine color and performs better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in terms of clustering the similar regions. Also the proposed method can get less quantized level images and can reduce the resource occupied by the quantized image.

  • PDF

Fast VQ Encoding Algorithm (백터 양자화의 고속 부호화 알고리즘)

  • 채종길;황금찬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19 no.4
    • /
    • pp.685-690
    • /
    • 1994
  • A problem associated with vector quantization(VQ) is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incurred in searching for a codevector with the closet to a given input vector, where the complexity increases exponentionally with proportion to codebook size and then limits practical application. In this paper, a simple and fast, but efficient, VQ encoding algorithm is presented using a reference codevector as start codevector of premature exit condition, which eliminates distance claculation of unlikely codevectors. The algorithm is to find reference codevector having the possibility to be the nearest vector to input vector first and then to incorporate premature exit condition. The proposed algorithm needs only 10~15% of mathematical operation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full search VQ. Algorithm the number of additions and comparsions of the proposed algorithm is not reduced greatly, the number of multiplication is reduced up to 70~80% compared with other fast VQ encoding methods.

  • PDF

Coding of LPC Parameters Using the Ordering Property of LSP in the Presence of Channel Errors (전송에러가 있는 채널에서 LSP 순서화특성을 이용한 선형예측계수(LPC)의 양자화 방법)

  • 이인성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5.06a
    • /
    • pp.76-80
    • /
    • 1995
  •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구조의 Line spectrum pairs 양자화기에 높은 차수 LSP 파라미터 값은 낮은 차수 LSP 파라미터 값보다 커야한다는 LSP 파라미터의 순서화 특징을 이용하여 양자화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31 비트/프레임에서 1 dB 이하의 스펙트럴 왜곡을 갖는 명료한 음질을 보였다. 또한 LSP 주파수의 순서화 특성은 벡터-스칼라 결합 양자화기에 적용하였다. 벡터-스칼라 결합 양자화기에서는 26비트/프레임에서 명료한 음질을 보였다. 새로운 LSP 양자화 방법들은 전송에러 발생시 성능을 시험하고, 전송 에러에 강인하도록 프레임간 예측을 위해 Moving Average 예측기를 사용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