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벡터사진

Search Result 72,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Development of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through the Use of Vector-Photo (벡터사진 활용을 통한 시공정보 관리모듈 개발)

  • Kim, Kyoon-Tai;Lim, Myung-Gu;Kim, Gu-Tae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3 no.6
    • /
    • pp.619-626
    • /
    • 2013
  • Many pictures are taken at a construction site, but the information of the pictures is not managed in an efficient and systematic manner. For this reason, when a construction worker has scant field experience or knowledge, it is hard to communicate with others efficiently. Therefore, the information of the pictures taken is not fully utilized in any deliberation or conflict among interested parties, facilities maintenance, and construction of another structure, although they were taken for those purposes. This study discusses the need for combining vector-photos with image and 5W and 1H information, and develops a prototype module for creating vector-photos and saving them in a server. The vector-photos taken can be saved to a server in real time, and efficiently managed by a DB system. If a system to link the vector-photos with a BIM model is develope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vector information in the picture can be connected with the property information of an object. As a result, the vector-photos can be utilized in more diverse ways.

History Management Technology of Building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Using Vector Photo Information and BIM (벡터사진 정보와 BIM을 활용한 건축물의 시공·유지관리 이력관리기술)

  • Kim, Kyoon-Tai;Lim, Myung-Gu;Kim, Gu-Tae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4 no.6
    • /
    • pp.605-613
    • /
    • 2014
  • Recently proposed intelligent images are generating, storing and managing along with existing image information and 5W1H information. Therefore, these vector images can be useful in searching and managing photos taking during building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processes. In addition, when the vector photos, a key to the intelligent image, is linked with BIM, it is possible to find BIM objects by utilizing information included in vector photos. And if the taken vector photo is saved as attributes of the extracted object, the vector photo can be managed as the historical data. Furthermore, this new technology will contribute to make the management of construction information more efficiently. This study is about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of extracting BIM objects from vector photo information and managing the attributes of the extracted objects. Also the prototype modules was developed and tested to evaluate the processes of setting reference points, converting coordinate system, calculating positions, and so on. Through these processes,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sibility of extracting BIM objects from vector photos and of managing attribute data of objects.

Wind field prediction through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 under tropical cyclones (생성적 적대 신경망 (GAN)을 통한 태풍 바람장 예측)

  • Na, Byoungjoon;Son, Sa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70-370
    • /
    • 2021
  • 태풍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경로, 강도 및 폭풍해일의 사전 예측은 매우 중요하다. 이중, 태풍의 경로와는 달리 강도 및 폭풍해일의 예측에 있어서 바람장은 수치 모델의 초기 입력값으로 요구되기 때문에 정확한 바람장 정보는 필수적이다. 대기 바람장 예측 방법은 크게 해석적 모델링, 라디오존데 측정과 위성 사진을 통한 산출로 구분할 수 있다. Holland의 해석적 모델링은 비교적 적은 입력값이 필요하지만 정확도가 낮고, 라디오존데 측정은 정확도가 높지만 점 측정에 가깝기 때문에 이차원 바람장을 산출하기에 한계가 있다. 위성 사진을 통한 바람장 산출은 위성기술의 고도화로 관측 채널 수 및 시공간 해상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기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성적 적대 신경망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을 통해 일련의 연속된 과거 적외 채널 위성 사진 흐름의 패턴을 학습시켜 미래 위성 사진을 예측하고, 예측된 연속적인 위성 사진들의 교차상관 (cross-correlation)을 통해 바람장을 산출하였다. GAN을 적용함에 있어 2011년부터 2019년까지 한반도 근방에 접근했던 태풍 중에 4등급 이상인 68개의 태풍의 한 시간 간격으로 촬영된 총 15,683개의 위성 사진을 학습시켜 생성된 이미지들은 실측 위성 사진들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성된 이미지들의 교차상관으로 얻어진 바람장 벡터들의 풍향, 풍속, 벡터 일관성 및 수치 모델과의 비교를 통해 각각의 벡터들의 품질 계수를 구하고 정확도가 높은 벡터들만 결과에 포함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 6개의 라디오존데 관측점에서의 실측 벡터와의 비교를 통해 본 연구 결과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장하여, 이와 같이 AI 기법과 이미지 교차상관 기법을 사용하여 얻어진 바람장으로부터 태풍 강도예측에 필요한 요소인 태풍의 눈의 위치, 최고 속도와 태풍 반경을 직접적으로 산출할 수 있고. 이러한 위성 사진을 기반으로 한 바람장은 단순화된 해석적 바람장을 대체하여 폭풍 해일 모델링의 예측 성능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보여진다.

  • PDF

Generic Cube based on Feature Vectors (특징벡터를 기준으로 한 본원적 큐브)

  • Baek, Jong-Tae;Lee, Woo-Key;Lee, Hwa-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d
    • /
    • pp.214-215
    • /
    • 2012
  • 본원적 큐브란 사용자의 얼굴을 다각면에서 추출하여 주성분분석(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통해 다차원 정보를 통합하여 큐브형태로 표현된 것을 의미한다. 두 눈의 연결점과 입의 연결점을 이은 후 그 둘의 법선벡터를 얼굴의 방향으로 표현하는 것으로써 평면 사진에 얼굴방향을 부여한다. 그럴 경우 동일인물의 다양한 사진들을 모았을 경우 각 사진들이 얼굴방향을 달리하는 사진큐브로 표현될 수 있다. 이로써 기존에는 얼굴방향이 다른 동일인물의 사진을 정확하게 구분해 낼 수 없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다. 또한 큐브는 방향이 조금씩 다른 모든 사진을 저장할 필요가 없으므로 저장공간이 크게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체 사진에서 개인의 이미지를 추출한 뒤 본 연구의 큐브와 매칭시켜 인물을 탐색하거나 소유한 이미지를 공유하는 기법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큐브를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인물탐색이 가능 해지는 것이다.

Extraction of Spatial Information of Facility Using Multiple Photographic Analysis (다중사진 해석에 의한 시설물 공간정보 추출)

  • 손덕재;이승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400-405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지형도나 준공도면 자료에서 상세정보가 누락되거나 갱신이 이루어지지 않아 시설물관리체계에 필요한 수치지도의 체계적인 구축이 요구되는 지역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상사진, 항공사진 등 영상자료에 다양한 사진해석 기법을 적용하여 수치지도를 생성하고 공간 및 속성정보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사진 촬영에 의하여 대상물의 3차원 모델과 3차원 사진영상모델을 생성하였다. 또한, 소축척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대상지역의 벡터라이징을 실행한 결과, 각 건물과 도로시설물의 위치와 형태 등 공간정보의 추출이 가능하였다.

  • PDF

Edge-Directional Joint Disparity-Motion Estimation of Stereoscopic Sequences (경계 방향성을 고려한 스테레오 동영상의 움직임-변이 동시추정 기법)

  • 김용태;서형갑;박창섭;이재호;손광훈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9 no.3
    • /
    • pp.196-206
    • /
    • 2004
  • This paper presents an efficient joint disparity-motion estimation algorithm for stereo sequence CODEC. Disparity vectors are estimated by the left and right motion vectors and previous disparity vectors for every frame. In order to obtain more accurate disparity vectors. we include a spatial prediction Process after the feint estimation. From joint estimation and spatial prediction, we can obtain accurate disparity vectors and then Increase coding efficiency. Finally, we proposed the backward quadtree decomposition. which helps the encoder to have a more detailed disparity vector map without transmitting additional coding bits for quadtree information. We confirmed superior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through computer simulation.

Development of Positioning Module to link between Vector-Photos and 3D BIM Model (벡터사진과 3D BIM 모델 연계를 위한 위치설정 모듈 개발)

  • Kim, Kyoon-Tai;Kim, Gu-Taek;Lim, Myung-Gu;Park, Nam-Cheon;Lee, Yu-R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88-89
    • /
    • 2014
  • A vector-photo is a photography which contain image and 5W1H information. Objects pictured and an image in a vector-photo can be linked by 5W1H information in the vector-photo. This study discuss a positioning module to link between vector-photos and 3D BIM model. The module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tilized in a system that can link the vector-photos with objects in BIM model.

  • PDF

Vector Median Filter for Alignment with Road Vector Data to Aerial Image (항공사진과 도로 벡터 간의 Alignment를 위한 Vector Median Filter의 적용)

  • Yang, Sung-Chul;Yu, Ki-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9 no.1
    • /
    • pp.63-69
    • /
    • 2011
  • Recent growth of the geospatial information on the web made it possible to applicate spatial data. Also, the demand for rich and latest information shows a steady growth. The need for the new service using conflation of the existing spatial databases is on the increase. The information delivery of the services using the road vector and aerial image is reached intuitionally and accurately. However, the spatial inconsistencies in map services such as Daum map, Naver map and Google map is the problem. Our approach is processed to extract the road candidate image, match the template and filter the control points pair using vector median. Finally, CNS node and link are aligned to the real road with the aerial imag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approach can align a set of CNS node and link with aerial imagery for daejon, such that the completeness and correctness of the aligned road have improved about 35% compare with the original roads.

Document Embedding and Image Content Analysis for Improving News Clustering System (뉴스 클러스터링 개선을 위한 문서 임베딩 및 이미지 분석 자질의 활용)

  • Kim, Siyeon;Kim, Sang-Bu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5.10a
    • /
    • pp.104-108
    • /
    • 2015
  • 많은 양의 뉴스가 생성됨에 따라 이를 효과적으로 정리하는 기법이 최근 활발히 연구되어왔다. 그 중 뉴스클러스터링은 두 뉴스가 동일사건을 다루는지를 판정하는 분류기의 성능에 의존적인데, 대부분의 경우 BoW(Bag-of-Words)기반 벡터유사도를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BoW기반의 벡터유사도 뿐 아니라 두 문서에 포함된 사진들의 유사성 및 주제의 관련성을 측정, 이를 분류기의 자질로 추가하여 두 뉴스가 동일사건을 다루는지 판정하는 분류기의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사진들의 유사성 및 주제의 관련성은 최근 각광을 받는 딥러닝기반 CNN과 신경망기반 문서임베딩을 통해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기존의 BoW기반 벡터유사도에 의한 분류기의 성능에 비해 제안하는 두 자질을 사용하였을 경우 3.4%의 성능 향상을 보여주었다.

  • PDF

Development of Vector-Photo Format for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시공 및 유지관리를 위한 벡터사진포맷 개발)

  • Kim, Kyoon-Tai;Lim, Myung-Gu;Kim, Gu-Taek;Park, Nam-Cheon;Park, Su-Ye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3.11a
    • /
    • pp.118-119
    • /
    • 2013
  • Many pictures are taken in construction sites. However, the pictures are not being managed effectively. In this study, the need for vector-photo have been raised which combines pictures and 5W1H information, and the vector-photo format have been suggested. A test module and user-interface have been developed for validating an utility of the format propo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