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범용인터페이스

Search Result 15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esign of Novel Memory Controller to Extend IPSec External Interface (IPSec Engine의 외부 인터페이스 확장을 위한 범용 메모리 컨트롤러의 설계)

  • 김철민;임용준;김영근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07a
    • /
    • pp.489-492
    • /
    • 2003
  • 본 논문은 기존 IPSec(internet protocol security) 하드웨어의 고정된 인터페이스 방식을 개선한 동적 인터페이스 방식의 IPSec 을 구현하기 위하여 범용 인터페이스 메모리 컨트롤러를 제안하고 있다. 범용 컨트롤러는 다양한 플랫폼 상의 외부 인터페이스와 내부 암호화 모듈 간 데이터 폭 차이를 상쇄하여 다양한 환경 하에서 구동이 가능한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스마트 항로표지를 위한 범용 센서 인터페이스

  • 김건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272-274
    • /
    • 2023
  • '스마트 항로표지 현장시설 고도화 연구'를 통해 항로표지의 상태뿐만 아니라, 다양한 센서를 통해 해상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선박과 육상 연계시스템에 전파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항로표지에서 다양한 센서들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범용인터페이스를 정의한다. 미국의 선박전자협회(NMEA)는 다양한 해양기기의 인터페이스를 표준화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으며, 그중 많은 부분이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표준으로 채택된 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NMEA 또는 IEC 표준과 새로 정의되는 국내표준을 통해 센서들의 정보를 수집하고 선박에 제공하기 위한 방안과 시연 계획을 소개한다.

  • PDF

A Generic Interface for Internet of Things (IoT) Platforms (IoT 플랫폼을 위한 범용 인터페이스)

  • Kim, Mi;Lee, Nam-Yong;Par, Jin-Ho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7 no.1
    • /
    • pp.19-24
    • /
    • 2018
  • This paper presents an IoT platform of common interfaces that are flexible IoT applications and Connect the smart devices. The IoT platform includes automatic collaboration discovery the smart Device. It is different things case with connection each device through IoT Platforms are each device and application service. Due to these heterogeneities, it is quite advantages to develop applications working with derived IoT services. This circumstance needs the generic interface and results in a range of IoT architectures by not only the environments settings and discovery resource but also varied uniqe to implementation services working with IoT applications. Therefore, this suggestion of solve the problems and make it possible independent platforms always alive to connection with each devices based on the generic interface. The generic interface is heterogeneity-driven solve the problems and effectively contributions a platform that could be operated in diverse IoT Platforms.

A Study on Interface Development Between Hyosung DCS and General-Purpose HMI (효성 DCS와 범용 HMI의 인터페이스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Min-Seok;Kim, Han-Sung;Hong, Jung-Gi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d
    • /
    • pp.1887-1888
    • /
    • 2006
  • 분산제어시스템을 사용할 경우 보통은 전용의 HMI를 사용하게 되는게 일반적이다. 효성의 분산제어시스템 (HIPAC : Hyosung Integrated Process Automation Control)에서도 HIS (Human Interface Station) 라는 전용 HMI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최근 연구과제로서 효성 DCS 시스템과 범용 HMI와의 인터페이스 개발을 수행하게 되면서 효성 DCS에서 범용의 HMI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효성 DCS 시스템과 GeFanuc사(社)의 범용 HMI인 iFix3.5 간의 I/O인터페이스 개발에 관한 내용이다.

  • PDF

Design of the Interface between General Purpose Realtime OS and CPU Board (범용 실시간 O.S.와 프로세스 보드의 인터페이스 설계)

  • Jeon, H.G.;Kim, J.S.;Kim, N.S.;Jho, B.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8 no.2
    • /
    • pp.44-52
    • /
    • 1993
  •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을 갖는 컨트롤 시스팀은 멀티태스킹 구조를 요구한다. 또한 멀티태스킹 구조에서는 태스크 사이의 통신, 스케줄링 기능, 메모리 관리 기능등을 갖춘 실시간 O.S.를 필요로 한다. 타깃 컨트롤 보드에서 범용 실시간 O.S.를 수행시키려면 H/W 인터페이스용 BSP(Board Support Package)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본 고에서는 범용 실시간 O.S.와 프로세스 보드와의 인터페이스(BSP) 프로그램을 설계하였고 간단한 응용 프로그램으로 BSP 기능을 확인하였다.

Universal Multi-Touch Interaction System for Multi-Input Content Creation Environment (다중 입출력 컨텐츠 제작 환경을 위한 범용 멀티 터치 인터렉션 시스템)

  • Nam, Byeong-Cheol;Na, In-Sic;Bae, Ki-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b
    • /
    • pp.216-221
    • /
    • 2010
  • 초기 전자악기를 만드는 사람들은 자신들이 직접 만든 터치 장치를 사운드 조절에 이용하였다. 1982년에 첫 멀티터치 시스템이 개발되었고 21세기 초까지 많은 연구와 멀티터치 시스템의 성능 향상에도 불구하고 대중화의 길은 요원해 보였다. 그러나 2007년 애플의 아이폰을 시작으로 멀티터치 인터페이스는 큰 인기를 끌게 되었고 스마트폰을 통해서 대중들이 멀티터치 인터페이스의 특징을 보다 쉽게 체험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멀티터치 인터페이스는 자연스럽게 사람들의 주목을 받으며 다양한 가능성을 보이고 있지만 관련 콘텐츠의 부재와 개발 인프라의 부족으로 인해 대중화의 길로 다가서기에는 여전히 부족한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멀티터치 인터페이스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멀티터치 인터페이스 시장의 활성화와 멀티 터치 관련 콘텐츠 제작자를 위한 범용 멀티터치 인터랙션 시스템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시스템의 효율성을 입증하고 나아가 멀티터치 콘텐츠 시장이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 PDF

A Framework for Natural Language Database Interface System (자연언어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워크)

  • Im, Kyoungup;Kwon, Hyuk-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593-596
    • /
    • 2009
  • 자연언어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 시스템은 입력된 자연언어를 데이터베이스의 질의문(query)으로 바꿔주는 시스템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잘 모르는 일반 사용자도 쉽게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범용적인 분야의 자연언어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한 하나의 틀을 제안한다. 패턴 매칭과 구문 분석 기법을 동시에 사용하여 자연언어 처리 능력과 속도를 향상시켰으며, 패턴을 4개 분류로 나누어 의미 처리를 가능하게 하였다.

GUI Based Generalized Fine-Grain Web Information Extractor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 범용 웹 정보 추출)

  • Hur Jeong-Soo;Ha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b
    • /
    • pp.40-42
    • /
    • 2006
  • 인터넷이 보급되면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인터넷으로 접근하였으며, 정보에 대한 수요는 늘어나 검색이나 포털을 통한 정보의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사용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통합하더라도 사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불필요한 정보에 노출된다 최근에 사용자가 필요한 웹 정보를 추출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이러한 연구는 추출 단위가 HTML 문서 수준이거나 일반적이지 못하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웹 정보를 항목 단위의 수준에서 추출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 범용 웹 정보 추출기를 UML에 기반하여 설계하고 구현한다. 또한, 구현된 시스템에 대한 실행 예를 보인다.

  • PDF

Key Elements of Generic Architecture in PLE Core Assets (제품계열공학 핵심자산의 범용 아키텍처 구성요소)

  • 라현정;장수호;김수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319-321
    • /
    • 2004
  • 제품 계열 공학(Product Line Engineering, PLE)는 패밀리 멤버들의 공통성과 가변성을 분석하여 만든 핵심 자산을 특화시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함으로써 재사용성과 이용가능성을 증대시키는 접근 방법이다. 핵심 자산은 제품 계열에 속하는 패밀리 멤버들이 어플리케이션을 만드는데 기초가 되는 모든 자산을 포함하며, 아키텍처, 컴포넌트 둥이 포함될 수 있다. 범용 아키텍처는 패밀리 멤버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아키텍처로, 제품 계열에 속하는 제품들의 구조를 정의하고 컴포넌트의 인터페이스 명세를 제공하여 컴포넌트만큼 중요한 재사용 단위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PLE 방법론에서 정의한 제품 계열 아키텍처와 일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비교하여 범용 아키텍처에 포함되는 요소들을 선정하고, 메타 모델을 이용하여 범용 아키텍처 구성요소와 구성요소간 관계를 명확히 정의함으로써, 개념적인 아키텍처를 보다 실용적으로 설계하는데 도움이 되게 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