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범람

Search Result 1,00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Study of flood prevention alternative priorities using MCDM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MCDM을 이용한 홍수방어대안 우선순위 정립에 관한 연구)

  • Lim, Donghwa;Jeong, Soonchan;Lee, Eunkyung;Yi, Jaee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0 no.3
    • /
    • pp.169-179
    • /
    • 2017
  • Recently, due to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in Korea, local heavy storm occurs frequently. In this study, the risky areas for flooding in urban areas are analyzed for flood inundation based on two-dimensional urban flood runoff model (XP-SWMM) focusing on coastal high flood-risk urban areas. In addition, the MCDM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technique is utilized in order to establish the flood defense structural measures. The alternative flood reduction method are compared and the optimum flood defense measures are selected. A simulation model was used with three structural flood prevention measures (drainage pipe construction, water detention, flood pumping station). In order to decrease the flooding area, flood assessment criteria are suggested (flooded area, maximum inundation depth, damaged residential area, construction cost). Priorities of alternatives are determined by using compromise programming. As a result, the optimal flood defence alternative suggested for Janghang Zone 1 is flood pumping station and for Janghang Zone 2, 3 are drainage pipe construction.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lood Prediction and Warning System at Ungaged Coastal Urban Area - On-Cheon Stream in Busan - (미계측 해안 도시 유역의 홍수예경보 시스템 구축 방법 검토 - 부산시 온천천 유역 대상 -)

  • Shin, Hyun-Suk;Park, Yong-Woon;Hong, Il-Py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0 no.6 s.179
    • /
    • pp.447-458
    • /
    • 2007
  • In this study, the coastal urban flood prediction and warning system based on HEC-RAS and SWMM were investigated to evaluate a watershed of On-Cheon stream in Busan which has characteristics of costal area cased by flooding of coastal urban areas. The basis of this study is a selection of various geological data from the numerical map that is a watershed of On-Cheon stream and computation of hydrologic GIS data. Thiessen method was used for analyzing of rainfall on the On-Cheon stream and 6th regression equation, which is Huff's Type II was time-distribution of rainfall. To evaluate the deployment of flood prediction and warning system, risk depth was used on the 3 selected areas. To find the threshold runoff for hydraulic analysis of stream, HEC-RAS was used and flood depth and threshold runoff was considered with the effect of tidal water level. To estimate urban flash flood trigger rainfall, PCSWMM 2002 was introduced for hydrologic analysis. Consequently, not only were the criteria of coastal urban flood prediction and warning system decided on the watershed of On-Cheon stream, but also the deployment flow charts of flood prediction and warning system and operation system was evaluated. This study indicates the criteria of flood prediction and warning system on the coastal areas and modeling methods with application of ArcView GIS, HEC-RAS and SWMM on the basin. For the future, flood prediction and warning system should be considered and developed to various basin cases to reduce natural flood disasters in coastal urban area.

Constant Rate of Strain Consolidation Test with Rowe Cell on the Clay with Sand Seam (샌드심이 존재하는 점토에 Rowe Cell를 이용한 일정변형률 압밀시험)

  • Kim, Jae-Hong;Kim, Chan-Kee;Kim, Tae-Hyung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33 no.5
    • /
    • pp.5-13
    • /
    • 2017
  • The sand layer deposited in clay is called a sand seam, which is formed by inflow of sands due to river flooding or slope failure in the middle of sinking and sediment of clay. When the sand seam exists in clay layer, the drainage direction changes from one way to both ways, and the time of consolidation may be reduced. However, it is not clearly proved due to lack of studies of sand seam and currently is not reflected in the design of soft soil improvement. As a fundamental study about sand seam, the oedometer tests and constant rate of strain tests with Rowe cell were conducted on clay specimens with sand seam. For tests, a frozen method was specially designed for making the sand seam. It was concluded that the test results showed the sand seam affects the coefficient of consolidation of clay. If the thickness of sand seam exceeds 0.05 times of specimen height, the sand seam works as drainage layer of pore water horizontally as well as vertically, and consequently the consolidation is accelerated.

The Analysis of Growth Environment on Corylopsis coreana Community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한려해상국립공원 히어리군락의 생육환경 분석)

  • Shin, Seoung-Ho;Kim, Jong-Sub;Kim, Jong-Myung;Seo, Dong-Jin;Kang, Hee-Gon;Kim, Min-Kyu;Jo, Gye-Jung;Goo, Chur-Hyun;Park, Eun-Hee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 /
    • v.45 no.5
    • /
    • pp.49-56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data for the maintenance of the Corylopsis coreana community within the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Survey site of Corylopsis coreana community was located at a valley, which composed of over 60% exposed rock. As this result, much of the species was damaged or washed away due to the water flow from rainfall. The tree layers dominant species were Quercus serrata and Pinus densiflora. while the subtree layers dominant species were Corylopsis coreana, Acer pseudosieboldianum, Sapium japonicum, Chamaecyparis obtusa and Cornus kousa etc. The shrub layers dominant species were Callicarpa japonica and Smilax china etc., and herbaceous layers dominant species were Disporum smilacinum etc. Increased precipitation and rainfall days were observed from May to September in this valley during 2008~2010, which likely increased soil erosion and damage. Because water flow pattern was dispersed the Corylopsis coreana seed and the soil floor was shallow, and population of Corylopsis coreana seedlings were diminished.

Model Development of Coastal Area Inundation due to Sea-level Rising (해수면 상승에 의한 해안지역 침수모의기법 개발)

  • Kim, Won Bum;Son, Kwang Ik;Jung, Woo 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92-292
    • /
    • 2018
  • 2016년 태풍 "차바"로 인한 부산과 울산지역의 침수 및 2003년 발생한 태풍 "매미"로 인한 마산창원지역의 침수사례는 우리나라 해안도시유역이 해수면 상승에 의한 피해에 노출되어 있음을 간접적으로 입증하는 대표적 사례라 할 수 있다. IPCC 4차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전 지구적 차원에서 지난 100년 동안 해수면은 약 1.7 m 상승하였으며, 1961~2003년 사이 해수면 상승률은 연평균 3.1 mm에 이르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남해안은 연평균 3.4 mm씩 상승하고 있어 전 세계 해수면 평균 상승속도를 상회하고 있다. 또한 1990년대 이전보다 이후 기간에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태풍의 수가 많으며 평균적으로 태풍의 강도 및 해일고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전 지구적 해수면 상승과 태풍해일고 증가에 따른 복합적인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해안유역의 침수피해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미래 발생 가능한 수퍼태풍에 의한 급격한 해일고의 상승은 해안유역에 침수피해를 더욱 가중시킬 것이라 예상된다. 특히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침수피해 특성은 홍수유출에 의한 내륙 침수피해와는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기법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수면 상승에 따른 해안도시지역 대한 침수피해 예방 및 저감을 위한 침수모의기법을 개발하고 효율적 대응방안을 선정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부정류 특성을 지닌 해수면 상승 경계조건 및 건물 간 도로를 통해 흐름이 발생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해안지역의 시공적 침수규모 및 유속 등을 예측할 수 있는 2차원 수치모형을 개발하였다. 2003년 발생한 태풍 "매미" 발생 기간 동안 관측된 실제 해일고를 적용하여 창원 등 해안도시유역에 범람모의를 수행하였으며 실제 침수흔적과 비교함으로써 모형을 검증하였다. 또한 해안 경계선을 따라 월파방지벽을 설치하는 경계조건을 도입하여 월파방지벽 높이에 따른 해안도시유역 침수규모를 산정하여 월파방지벽 높이에 따른 시공적 침수규모를 분석함으로써 월파방지벽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해안지역 지점별 침수규모 및 최대 침수심 발생시간을 제공함으로써 침수에 따른 중장기적 구조적 대응방안 수립은 물론 초단기적 예상 해수면 상승에 다른 대피경로 제공 등 비구조적 수재해 대응 기법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를 제공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Floating Waste Trace in Flood Control Dam Using the EFDC Model (EFDC 모델을 활용한 홍수조절용 댐의 부유쓰레기 유동 모의)

  • JANG, Suk-Hwan;OH, Kyung-Doo;OH, JiHwan;HAN, Su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36-336
    • /
    • 2015
  • 일반적인 다목적댐은 홍수 발생 시 본댐으로 유입되는 부유쓰레기 및 잡목 등을 차단하기 위하여 댐 상류에 차단망을 설치하여 1차적으로 사전 방지하고, 홍수기 이후 선박으로 부유물을 수거하여 재활용, 소각 등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대상인 한탄강댐은 홍수조절용 댐으로서 수위 변화 폭이 매우 크고 정상 조건(비 홍수기)시는 대규모 홍수터가 드러나기 때문에 댐 유지관리 방법이 상이하며 한탄강 본류 구간은 하폭과 수심 등 하도의 불규칙성과 만곡부에서 유수의 흐름이 한쪽으로 쏠리는 편기 현상이 발생하는 등 복잡한 수리현상으로 인하여 부유쓰레기의 분포를 판단하기 어려운 지역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유쓰레기의 유동을 모의하기 위하여 HEC-HMS 모형과 $Vflo^{TM}$ 모형을 활용하여 본류와 지류의 빈도별 홍수량 분석을 실시하고, EFDC 3차원 동수역학 모형을 적용하여 홍수조절용지 내 부유쓰레기의 유입 경로 및 정체 구역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쓰레기 처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소규모 빈도 홍수(2년, 5년)의 경우 중 상류 지류의 부유쓰레기는 거의 유동하지 못하고 하도의 만곡의 영향을 받아 부분적으로 높은 밀도로 고착될 것으로 모의되며, 특히 본류와의 합류점 부근에 도달한 부유쓰레기는 유로 폭이 급확대되어 유속이 거의 없는 사수역 구간으로 변함에 따라 본류 배수위 영향으로 불규칙하게 맴돌다가 고착되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중규모 홍수(25년, 50년)의 경우, 상류부의 부유쓰레기의 분포는 소규모 홍수 시와 유사한 패턴을 보였으나 중류부에서 홍수파가 본류 하도를 월류하여 홍수터로 넓게 범람하는 지역에서는 소규모 홍수 시 본류 하도 양안에 분포하던 부유쓰레기가 홍수터 쪽으로 밀려가서 고착되는 경향을 보였다. 대규모 홍수(100년, 200년)의 경우, 댐과 인접한 분석 구간 하류부는 댐 배수위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으며 수심이 깊어 흐름이 가장 정체되는 구간으로 본류와 지류 모두 다량의 부유쓰레기가 분포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구간 중류부는 홍수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넓은 홍수터로 침수범위가 급격하게 증가하며 이에 따라 부유쓰레기가 분포할 수 있는 면적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분석 구간 상류부는 협곡을 이루고 있어 홍수규모가 증가하더라도 침수범위와 부유쓰레기의 분포면적에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댐의 치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수거 처리 할 수 있는 부유쓰레기 적치장 및 차단 시설의 적정 설치 위치를 파악하였다.

  • PDF

Mapping Inundation Area Using Analysis Result of SWMM (SWMM 분석결과를 이용한 내수침수지도 작성)

  • Lim, Ji On;Na, Seo Hyeon;Lee, Kyung 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86-490
    • /
    • 2017
  • 도심지에서의 침수피해는 이상홍수 및 국지성 호우 시 우수관거 시설기준 미달, 펌프장 등 배수시설이 설치되지 않아 하천의 계획홍수위보다 제내지의 지반고가 낮은 저지대 지역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내수침수의 경우는 외수에 따른 범람보다는 국민의 재산과 인명피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침수피해 위험도가 높은 지역의 주민에게 그 지역의 침수빈도와 범위를 인지시키고 사전대응 능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연구의 목적으로 매년 피해가 발생한 이력이 있는 위험지구에 대해 전국단위 시군구별 침수피해 지도를 작성하여 침수심 산정과 피해액 예측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주민들의 신속한 대처를 통해 그들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여 재난 안전 국가 이미지 제고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 유출모형인 XP-SWMM을 활용하여 내수재해 위험요인에 대한 전국을 해석하는 것에 한계가 있어 풍수해저감종합계획에 수록된 XP-SWMM모의 분석 결과 값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기 수립된 전국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의 과거 피해 자료를 바탕으로 이상 집중호우나 태풍의 내습 시 풍수해 피해 발생 가능성이 제일 높은 지역을 연구범위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그 중 풍수해의 주요 원인으로서 태풍, 집중호우 및 해일로 인한 피해발생 빈도가 높은 지역이면서 하천재해 및 내수침수 피해가 많은 경기도 동두천시를 연구대상 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대상지 유역 현황과 지형정보 및 빈도별 침수심을 조사하였다. 수록된 내용에 따르면 경기도 동두천시는 우수관망의 밀도가 높은 4개 위험지구를 내수재해 발생가능성 지역으로 선정하여 10년, 20년, 30년, 50년, 100년, 200년 6개 빈도에 대해 XP-SWMM 모의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수록된 각 빈도에 대한 모의 결과 값을 GIS기술을 이용하여 디지털화 하고 부가적인 분석을 위한 GIS데이터화 하는 내삽법을 선정하여 침수면적 및 침수심을 산출하였다. 그러나 면적비교를 통해 모의 결과 값을 디지털화 하는 과정에서 많은 오차가 발생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좌표보정 자동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제거하여 신뢰도를 향상시켰다. 이렇게 계산된 연구 대상지역의 침수심과 침수면적을 활용하여 지도제작 표준 지침서 및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한국형 호우피해 지도제작 기술개발에 기여하고, 비구조적 대책으로서 이상홍수에 대한 위험도를 파악하여 지역별 도심침수 방지를 위한 대비체계를 구축하는 등 위험지역에 대한 사전분석 및 활용에 기초자료로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Quaternary Geology and Aggregate Resources in Geumsan-gun, Chungcheongnam-do (충청남도 금산군 일대 제4기 지질 및 골재자원 분포 특성)

  • Kim, Jin Cheul;Kim, Ju Yong;Lee, Jin-Young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4 no.5
    • /
    • pp.595-603
    • /
    • 2021
  • Sand layer distribution, which is the main target of river and land aggregate resources, mainly belongs to alluvial and river sedimentary environments among the Quaternary sedimentary environments. The distribution of aggregate resources in the area of Geumsan-gun, Chungcheongnam-do is characteristically developed around a sedimentation environment in which intrusive meandering river dominate. Although the area around Bonhwangcheon Stream and the area near the confluence of small streams are small, the river floodplain develops and corresponds to the aggregate distribution area. The sedimentary layer formed in the sedimentary environment such as colluvial deposits or alluvial fan deposits has a relatively low distribution rate of aggregate resources.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the Quaternary sedimentary layers in the Geumsan-gun region ranges from about 5 to 12 m and has an average Quaternary sedimentary thickness of 8 m. The aggregate-bearing section has an average thickness of 3.6 m, and the average grain size is about 21% clay-silt, 67% sand, and 12% gravel.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aggregate-bearing section are that coarse-grained sand predominates, and gravel is sub-angular or sub-rounded, and the sorting is generally poor and has a massive form of deposits, and the soil colour ranges from dark grey to yellowish-brown. In Geumsan-gun, the most likely distribution area for aggregate development is the alluvial sedimentary and river sedimentary layers distributed along the current and former riverbeds of the main Geumgang River, Bonhwangcheon and small River tributaries.

Identification of Vegetable Oil-added Sesame Oil by a Mass Spectrometer-based Electronic Nose (Mass Spectrometer를 바탕으로 한 전자코를 이용한 식물성 유지가 혼합된 참기름의 판별 분석)

  • Son, Hee-Jin;Hong, Eun-Jeung;Ko, Sanghoon;Choi, Jin Young;Noh, Bong-Soo
    • Food Engineering Progress
    • /
    • v.13 no.4
    • /
    • pp.275-281
    • /
    • 2009
  • Sesame oils are partially mixed with other vegetable oils due to high price in a Korean market. To find out authentic sesame oil, a mass spectrometer-based electronic nose (MS-based E-nose) was used. Sesame oil (Se) was blended with soybean oil (So) or corn oil (Co) at the ratio (Se:So, Se:Co) of 97:3, 94:6, 91:9, 88:12 and 85:15, respectively. Intensities of each fragment from sesame oil by MS-based E-nose wer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ose of soybean oil or corn oil. The obtained results were used for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DFA). Volatile organic components (VOC) of soybean oil or corn oil were similar to those of fresh air and DFA plot indicated a significant separation of pure sesame oil and pure other oil. The group of the mixed oil was seperated with that of sesame oil in DFA plot and the added amount of soybean oil to sesame oil was correlated with discriminant function first score (DF1). MS based E-nose system could be used as an efficient method to investigate the purity of sesame oil.

Estimation of Inundation Area by Linking of Rainfall-Duration-Flooding Quantity Relationship Curve with Self-Organizing Map (강우량-지속시간-침수량 관계곡선과 자기조직화 지도의 연계를 통한 범람범위 추정)

  • Kim, Hyun Il;Keum, Ho Jun;Han, Kun Ye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8 no.6
    • /
    • pp.839-850
    • /
    • 2018
  • The flood damage in urban areas due to torrential rain is increasing with urbanization. For this reason, accurate and rapid flooding forecasting and expected inundation maps are needed. Predicting the extent of flooding for certain rainfalls is a very important issue in preparing flood in advance. Recently, government agencies are trying to provide expected inundation maps to the public. However, there is a lack of quantifying the extent of inundation caused by a particular rainfall scenario and the real-time prediction method for flood extent within a short time. Therefore the real-time prediction of flood extent is needed based on rainfall-runoff-inundation analysis. One/two dimensional model are continued to analyize drainage network, manhole overflow and inundation propagation by rainfall condition. By applying the various rainfall scenarios considering rainfall duration/distribution and return periods, the inundation volume and depth can be estimated and stored on a database. The Rainfall-Duration-Flooding Quantity (RDF) relationship curve based on the hydraulic analysis results and the Self-Organizing Map (SOM) that conducts unsupervised learning are applied to predict flooded area with particular rainfall condition.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ology was examin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expected flood map with the 2-dimensional hydraulic model.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it is judged that this methodology will be useful to provide an unknown flood map according to medium-sized rainfall or frequency scenario. Furthermore, it will be used as a fundamental data for flood forecast by establishing the RDF curve which the relationship of rainfall-outflow-flood is considered and the database of expected inundation ma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