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범람

Search Result 1,00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Experimental Study on Effects of Levee Breach Width and Duration Time on Floodwave Behavior in Floodplain (하천제방 붕괴폭과 붕괴지속시간이 제내지 범람홍수파 거동에 미치는 영향 검토 실험)

  • Yoon, Kwa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281-1285
    • /
    • 2006
  • 하천제방 붕괴시 홍수파가 제내지에서 거동하는 양상을 파악하는 것은 홍수피해를 저감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실제 제내지에서의 범람형태에 크고, 작은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은 제내지 지형 및 구조물과 초기 제내지범람상태, 하도형태, 홍수수문곡선, 제방붕괴시 붕괴면 경사 및 붕괴시간 등 많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제방붕괴폭과 붕괴지속시간에 따른 홍수파의 형태, 유속, 수심, 방향 등의 일반적인 법칙성을 찾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실험수조의 전체 크기는 가로 30m, 세로 30m이며, 수조 내부에 제내지, 제방, 하도를 제작하였다.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도는 폭 5m, 길이 30m이며, 제내지는 폭 28m, 길이 24m이다. 하도와 제내지의 하상은 수평이며, 시멘트 모르타르로 표면을 처리하였다. 제방붕괴 재현장치는 최대붕괴폭 4m, 높이 0.6m가 되도록 하였으며, 하도의 중간지점에 설치하였다. 하도에서의 초기수심은 $h_o$이며, 제내지는 건조상태이다. 제방붕괴장치의 개방속도는 $0{\sim}18cm/sec$범위에서 조정이 가능하다. 실험결과, 제방붕괴폭과 제방붕괴지속시간은 제내지에서의 홍수파 전면(wave-front)의 이동속도와 제내지에서의 시간별 수심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내지에서의 최대수심은 제방붕괴폭과 제방붕괴 지속시간에 의한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Flood Risk Analysis for Extreme Floods using HEC-GeoRAS (HEC-GeoRAS를 이용한 극한 홍수에 대한 홍수 위험지역 분석)

  • Jin, Ji-Ung;Yeo, Chang-Geon;Lee, Seung-Oh;Song, Jae-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565-1569
    • /
    • 2009
  • 과거의 치수기능 위주의 하천정비에서 벗어나 최근에는 자연 친화적인 하천 복원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많은 지자체에서는 자연형 하천정비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자연형 하천정비 사업으로 인하여 하천의 조도계수가 변화하지만 하천설계기준에서 제안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조도계수의 경우 그 범위와 구분이 명확하지 않아서 자연형 하천정비사업 후에도 조도계수 변화에 대한 고려 없이 홍수위 및 홍수범람지역을 산정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차원 홍수범람 모형인 HEC-GeoRAS를 이용하여 홍제천 유역을 대상으로 극한홍수시 조도계수 변화에 따른 홍수범람지역 변화를 분석하였다. 조도계수는 하천설계기준에서 제안한 인공하천의 조도계수 값 중 최소 값인 0.014부터 자연하천에서의 최대 값인 0.05까지 변화시켜 그에 따른 홍수범람지역의 면적을 산정하였다. 분석결과 조도계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침수면적이 증가되었으며 조도계수 0.02$\sim$0.03구간에서 침수면적의 증가율이 9.69%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홍제천의 자연형 하천 정비사업 후 극한홍수시 침수면적이 약 11.91% 증가하였다. 따라서 자연형 하천정비 사업시 반드시 조도계수 변화를 고려하여 홍수위 및 침수면적을 산정하여야 할 것이며 홍수위 및 침수면적 증가에 따른 영향을 고려하여 설계에 반영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Flood Level Estimation of the Yeongcheon River using Hydraulic Model in July 2006 (수리학적 모형을 이용한 2006년 7월 영천강 홍수위 산정)

  • Chu, Hyun-Jae;Yoon, Kwang-Seok;Song, J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282-1286
    • /
    • 2007
  • 우리나라는 매년 여름 발생하는 집중호우로 인해 해마다 많은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집중호우 발생으로 인한 홍수로 인해 홍수범람, 제방붕괴 등이 발생할 경우 그 피해는 실로 막대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피해 발생 이전에 충분한 준비를 통해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 방지를 준비해야 한다. 지난 2006년 7월 전국적인 국지적 집중호우로 인해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으며, 남강의 지류인 영천강 유역에서도 제방의 월류 붕괴로 인한 제내지 범람 피해가 다수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6년 7월 태풍 에위니아 내습시 낙동강수계 남강 유역에 발생한 홍수피해 원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리학적 모형을 이용하여 홍수위를 추정하였다. 영천강은 남강 제1지류이며 남강하구에서 63.0 km 지점인 진양군 문산면 소문리에서 남강에 합류되고 있으며 유로연장은 35 km 이다. 수리학적 모형을 통해 홍수위와 같은 기본적인 수리량의 산정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는 영천강 유역의 제방붕괴 원인 및 홍수범람 피해 방지를 위한 대책 수립뿐만 아니라 상류 유역에 대한 1차원 수리학적 모형의 적용과 관련하여 기초적인 자료로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nterest Based Clustering Mechanism for Hybrid P2P (하이브리드 P2P를 위한 관심분야 기반 클러스터링)

  • Lee, Lee-Sub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15 no.1
    • /
    • pp.69-75
    • /
    • 2006
  • P2P services occupy more then 50% of the internet traffics. A huge number of query packets are generated since pure P2P based models rely on message flooding for their query mechanisms. In this study, the numbers of query messages generated in the pure P2P and hybrid P2P model are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hybrid P2P models also could suffer from message flooding. To reduce the message flooding, this study proposes an interest based clustering mechanism for hybrid P2P services. By applying this clustering algorithm, it could reduce 99.998% of the message flooding. The proposed algorithm also reduces the cost of the joining operations by storing previous supernodes.

  • PDF

Application of Uncertainty Method fer Analyzing Flood Inundation in a River (하천 홍수범람모의를 위한 불확실도 해석기법의 적용)

  • Kim, Jong-Hae;Han, Kun-Yeun;Seo, Kyu-W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6 no.4
    • /
    • pp.661-671
    • /
    • 2003
  • The reliability model is developed for analyzing parameter uncertainty and estimating of flood inundation characteristics in a protected lowland. The approach is based on the concept of levee safety factor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of model parameters affecting the variability of flood levels. Monte Carlo simulation is incorporated into the varied flow and unsteady flow analysis to quantify the impact of parameter uncertainty on the variability of flood levels. The model is applied to a main stem of the Nakdong River from Hyunpoong to Juckpogyo station.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hannel overflow and return now are well simulated and the mass conservation was satisfied. The inundation depth and area are estimated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the uncertainty of width and duration time of levee failure.

Study on Establish of Multi-Hazard Map in Urban Area (도시지역에서의 멀티 해저드 맵 구축을 위한 연구)

  • Kim, Yeon Joong;Yoon, Jung Sung;Tanaka, Kohj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7-17
    • /
    • 2015
  • 세계적으로 최근 국지적 호우에 의한 홍수 및 토사재해가 빈번히 발생하여 인적피해 및 자산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강우에 의해 홍수가 발생되며 하안 및 하천 구조물에 피해를 주는 동시에 월파 및 제방이 붕괴되어 하천에서 제내지로 범람하여 범람피해가 발생된다. 하지만 도시지역에서 발생되는 강우는 불투수 면적비율이 비교적 커 다른 지역보다 최대 침수심이 발생되는 시간이 매우 빠르게 도달하는 환경적 특징이 있다. 또한 선상지 지역에 발달된 도시는 어느 동일한 강우사상에 의해 발생되는 내 외수 범람재해 및 토사재해가 동시에 발생되어 피해가 중첩될 가능성이 매우 크며 피해 리스크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상기후에 의해 발생되는 재해경감을 위해 기존의 대책 및 새롭게 구축되는 해저드 맵에 대해서 이와 같은 여러 재해 발생 가능성을 충분히 고려된 멀티 해저드 맵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오노시의 지역방재계획을 위한 통합적인 해저드 맵 구축을 위해 내 외수 범람에 의한 피해 및 토석류 발생에 의한 영향평가를 실시하여 두 재해가 동시에 발생 가능한 지역을 대상으로 멀티 해저드 맵 구축 및 피난계획 수립을 목적으로 최근 발생되는 국지적 호우에 대한 예측을 위해 아직 검토대상 지역에 발생하진 않았지만 발생 가능한 강우사상을 추출하기 위해 DAD 분석을 실시하여 가능최대강우량을 산정하여 외력조건으로 사용하였다. 뿐만 아니라 토석류 모델의 현장 적용성 평가를 위해 2011년에 발생된 우면산 토석류 재해를 대상으로 비교 검토를 실시하였으며 본 논문의 주요한 결과를 아래와 같이 나타내었다.

  • PDF

A study on the dam break scenario process by earthquake (지진으로 인한 댐붕괴 시나리오 작성절차에 관한 연구)

  • Park, Ki Bum;Choi, Gwang Bok;Yang, Jun Seok;Ahn, Seung 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98-298
    • /
    • 2019
  • 과거에 경험하지 못한 집중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규모가 큰 태풍의 내습이 발생하고 있다. 2018년 7월23일 발생한 라오스 댐붕괴 발생으로 인해 6,600명의 이재민이 발생하였으며, 2008년 중국 쓰촨성 지진에 의해 댐 수백개가 균열이 발생하는 위험한 상황에 이르는 등 댐 붕괴에 따른 대규모 재난의 위험상황은 항시 존재하고 있다. 는 상황에서 댐의 붕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댐 붕괴 상황에 대한 대비책으로 저수지 댐의 안전관리 및 재해예방에 관한 법률 제3조와 자연재해 대책법 제37조에 총저수용량 30만톤 이상의 저수지에 대해 비상대처계획 수립을 하도록 되어 있다. 최근 경주와 포항에서 발생한 규모 5.4이상의 지진이 발생하여 지진에 의한 재난의 위험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진에 의한 댐붕괴에 대한 적절한 시나리오와 분석이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지진붕괴에 의한 EAP의 작성은 단순히 만수위 상태에서 댐의 붕괴시간이 급격히 붕괴되어 범람되는 분석을 하였다. 그러나 지진에 의한 댐의 붕괴에 이르는 지진의 규모는 댐 주변의 건축물, 교량, 심지어 대피소도 붕괴 및 범람에 안전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게 될 것이다. 그러나 현재의 EAP는 단순 범람만을 통해 위험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작성되어 있어 이에 대한 수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진에 의한 댐 붕괴 EAP 작성시 고려되어야 할 건물의 노후도, 교량, 공공시설물 등이 붕괴될 위험을 판단하고 이에 따른 범람도면의 작성과 시나리오가 작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행정안전부에서 제시된 지진 시 댐 붕괴 조건에서 고려되어야 할 시나리오의 구성요소에 대해 검토하였다.

  • PDF

Evaluation of tsunami inund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지진해일 범람구역 산정)

  • Kim, Chang-Hee;Song, Min-Jong;Kim, Byung-Ho;Cho, Y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16-216
    • /
    • 2021
  • 해저지진, 해저붕괴 및 해저화산분출 등에 발생되는 지진해일은 파장이 수십에서 수백 km에 이르는 장파로서 에너지 손실없이 먼 거리를 전파할 수 있으며, 수심이 상대적으로 얕은 해안가에 도달하면 범람에 의해 인명 및 재산피해를 야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2004년 12월 26일에 발생한 수마트라 지진해일은 약 30만명의 인명피해와 약 10조원의 재산피해를 가져왔으며, 2011년 3월 11일에 발생한 동일본 지진해일은 약 2만명의 인명피해와 약 330조의 재산피해를 유발시켰다. 더욱이, 지진해일에 의해 폭발한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에서의 방사능 유출은 10년이 지난 현재도 생태계 교란, 방사능 피폭 등의 피해를 일으키고 있다. 우리나라도 1983년 5월 26일 발생한 동해 중부지진해일에 의해 삼척시 임원항 및 인근에서 인명피해(1명 사망, 2명 실종)와 약 2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최근, 4차 산업혁명으로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인공지능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많은 분야에서 이 기술을 적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특히, 과학 및 공학분야에서도 이를 융합하는 연구 및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83년 발생한 중부지진해일에 의해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한 임원항을 대상으로 지진해일 수치모형실험을 수행하며, 수치모형실험 결과를 토대로 인공지능 모델 중 합성신경망 (Convolution Neural Network)을 활용하여 인공지능을 통한 지진해일 범람구역을 산정 및 평가하고자 한다.

  • PDF

Lake-like Swamps Formed in Floodplain on Middle Reach of Nakdong-gang River (범람원에 형성된 호소성 습지에 관한 연구 - 낙동강 중류를 사례로 -)

  • Cheon, Mi-Ye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4 no.1
    • /
    • pp.27-39
    • /
    • 2008
  • The propose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clarify the formative process of the lake-like swamps formed in channels of Nakdong-gang river and its tributary, Gumho-gang riv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formative process of lake-like swamps, I compared topographical maps of three years(1918, 1962, 2005), analyzed the outline change of swamps, and draw their cross-sectional view and analyzed the horizontal distribution of particle siz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 First, Saegang swamp and Geumgang swamps are residual swamps which are formed in abandoned distributary channels of braided reach. In braided reach, tributaries wind freely to create a new channel or to eliminate a old channel. Second, the Ssiksil swamp and Nat swamp are yazoo-type swamps. Their stream channels run parallel to the natural levees, as it blocks the waterway of a effluent tributary flowing from backward mountains to main stream. Third, the Secheon, Hochon and Jinchon swamps are backswamp behind natural levee. As main stream overflows, natural levee and back swamp are formed. Later flowing water of next bigger flood enter through natural levee into backswamp, create a channel following backswamp.

  • PDF

A Study on Numerical Simulation of Flood Inundation in a Coastal Urban Areas: Application to Gohyun River in Geoje City, Kyungnam Province (해안도시지역 홍수범람모의에 관한 연구: 경상남도 거제시 고현천 적용사례)

  • Jeong, Woocha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5 no.11
    • /
    • pp.1093-1105
    • /
    • 2012
  • In this study, the simulations and analyses of flood flow due to a river inundation in a coastal urban area are carried out using a two-dimensional finite volume model with well-balanced HLLC scheme. The target area is a coastal urban area around Gohyun river which is located at Geoje city in Kyungnam province and was extremely damaged due to the heavy rainfall during the period of the typhoon "Maemi" in September 2003. For the purpose of the verification of the numerical model applied in this study, the simulated results a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inundation traces. In addition, the flood flow in an urban area is simula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scenarios of inflow variation due to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intensity of the heavy rainfall, whi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