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번호이동성

Search Result 11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Standardization Technology Trends for Number Portability Service (번호이동성 서비스를 위한 표준화 기술 동향)

  • Jeong, Y.S.;Park, C.M.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2 no.6
    • /
    • pp.59-65
    • /
    • 2007
  • 번호이동성 서비스란 전화서비스 가입자가 전화망 사업자, 지역, 서비스의 종류를 변경하여도 종전에 사용하던 전화번호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하며,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전화망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국내의 모든 사업자가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번호이동성을 위한 표준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국내의 번호이동성은 시내전화 번호이동성부터 시작하여 2G간 이동전화 번호이동성, 3G간 이동전화 번호이동성, 2G-3G간 이동전화 번호이동성 및 2008년부터는 인터넷전화와 유선전화간 번호이동성, 인터넷전화간 번호이동성이 제공될 예정이므로 이와 관련된 기술이 적당한 시기에 개발되었거나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에는 ACQ, QoR, OR 등이 있다. 본 고에서는 이와 같은 번호 이동성의 구현 동향, 국외의 번호이동성 현황 및 기술의 동향에 대하여 다룬다.

통신사업자 관점에서의 번호이동성

  • 정만상
    • TTA Journal
    • /
    • s.59
    • /
    • pp.74-80
    • /
    • 1998
  • 통신사업의 경쟁 체제 도입과 사업영역의 철폐로 인하여 번호자원에 대한 개방화가 선진국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통신 사업에 신규로 진입하고자 하는 사업자는 사업자간 번호이동성을 보장하는 것이 기본적인 사업 참여요건이 되고 있으며, 기존 사업자 입장에서도 사업자간 번호이동성에 대한 적절한 대처 방안이 정립되어야 한다. 본 고에서는 사업자간 번호이동성 문제를 통신사업자 관점에서의 대처 방안과 실현 방안을 수립하기 위하여 번호이동성 문제를 정의하고 이의 실현 기술, 운용 관리, 경제성, 국제 표준 동향, 국내 통신사업 현황 측면에서 분석한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 번호이동성 도입을 위한 사전 검토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PDF

Case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MNP in Australia (호주의 이동전화 번호이동성 도입사례 분석)

  • 이종용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02.05b
    • /
    • pp.35-44
    • /
    • 2002
  • 번호이동성(Number Portability)은 전화가입자가 사업자, 지역 및 서비스를 바꾸어도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자신의 전화번호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경쟁적인 측면에서 이동전화 번호이동성(Mobile Number Portability: MNP)은 로밍(roaming)서비스와 함께 이동전화시장의 소매 가입부문의 경쟁을 촉진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1년 1월 8일에 개정된 전기통신 사업법에서 번호이동성의 국내 도입과 관련된 사항들을 규정하였다. 유선전화 번호이동성의 경우 2003년 말부터 구현이 가능한 지역부터 제공할 예정이며, 이동전화 번호이동성의 경우 3G서비스부터 먼저 실시할 계획으로 복수의 사업자가 3G 서비스를 개시한 이후 6개월 이내부터 도입할 예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호주의 이동전화 번호이동성의 도입사례를 검토하여 국내 이동전화 번호이동성 정책의 수립에 적용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A Call processing scheme for number portability of Wibro-VoIP (Wibro-VoIP의 번호이동성 호처리)

  • Jeong, Young-Sic;Park, Cha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451-454
    • /
    • 2008
  • 본 논문은 Wibro가 제공하는 VoIP 서비스의 번호이동성에 따르는 호처리 시스템, 즉 Wibro와 이동전화간, Wibro와 유선 인터넷전화간, Wibro와 시내전화간 번호이동성을 처리하기 위한 망의 기능구조 및 정보흐름을 규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번호이동성 요구사항에 따라, 소요되는 번호이동성 시스템의 구조와 망기능 및 시스템 기능을 정의하고, 이들 기능간에 주고받는 정보를 규정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standard for 2G MNP by ACQ (ACQ 방식의 2G 이동전화번호이동성 구현을 위한 망기능 규격에 관한 연구)

  • 정영식;곽용원;민재홍;김환우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07a
    • /
    • pp.165-168
    • /
    • 2003
  • 이동전화 번호이동성 구현을 위한 망기능 규격은 ACQ 방식으로 이동전화 번호이동성 (Mobile Number Portability, MNP)을 2G 이동전화 상호간에 제공하기 위한 망의 기능구조 및 정보흐름을 규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번호이동성 요구사항에 따라, 소요되는 망기능 및 시스템 기능을 정의하고, 이들 기능간에 주고받는 정보를 규정한다. 본 논문은 번호이동성에 따른 SMS(Short Message Service)의 처리방법 또한 규정한다.

  • PDF

Technologies for Providing Mobile Number Portability (이동전화의 번호이동성 제공기술)

  • Kim, Jin-Yeon;Shim, Byoung-Kwon;Kim, Ch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1549-1552
    • /
    • 2000
  • 경쟁이 도입된 통신시장에는 사업자간에 공정경쟁을 촉진하고 가입자에게는 사업자 선택의 폭을 증대시켜 주는 서비스제공자 번호이동성이 도입되고 있다. 이동전화시장에도 최근 영국을 비롯한 선진 통신국을 중심으로 번호이동성 서비스를 제공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전화의 번호이동성 제공기술들을 살펴보고, ETSI 에서 표준화하고 있는 네트워크 solution의 요구기능을 검토하여 이동전화의 번호이동성 제공기술의 장.단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 도입 시 바람직한 기술적 제공방안이 선택될 수 있도록 국내 적용을 위한 사전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 PDF

The implementation technique for LNP service by QoR method (QoR 방식의 번호이동성 서비스 제공을 위한 교환기능 구현기술)

  • Park Seok-Kyu;Kim Yong-Woo;Jin Jung-Hak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8a
    • /
    • pp.242-245
    • /
    • 2002
  • 정부는 시내전화 및 지능망서비스(080)에 대하여 2003년 상반기부터 번호이동성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번호이동성 서비스는 사업자간에는 경쟁을 활성화시키고 가입자에게는 이용의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로 서비스 유형으로는 서비스제공자 이동성(Service Provider Portability), 위치이동성(Location Portability) 및 서비스이동성(Service Portability)이 있다. 그리고 서비스 구현방식으로는 크게 교환기 기반 방식(Remote Call Forwarding)과 지능망방식(All Call Query, Query on Release)이 있다. 국내 번호이동성 서비스 적용 방식은 지능망 방식인 QoR 방식으로 결정되었으나 최근의 통신환경의 변화를 감안하여 서비스 도입 초기의 효율적인 서비스 도입을 위한 종합적인 재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QoR 방식의 번호이동성 서비스를 위하여 교환기에서 필요한 필요 기능 및 기술적 문제점들을 교환계위별로 고찰하고자 한다.

  • PDF

Case Study on the Mobile Number Portability in Major Countries and Implications (주요국 이동전화 번호이동성 동향 및 시사점)

  • Lee, J.Y.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7 no.4 s.76
    • /
    • pp.39-50
    • /
    • 2002
  • 번호이동성은 전화가입자가 사업자, 지역 및 서비스를 바꾸어도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자신의 전화번호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경쟁적인 측면에서 이동전화 번호이동성은 로밍 서비스와 함께 이동전화시장의 소매 가입부문의 경쟁을 촉진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1년 1월 8일에 개정된 전기통신사업법에서 번호이동성의 국내 도입과 관련된 사항들을 규정하였다. 유선전화 번호이동성의 경우 2003년 말부터 구현이 가능한 지역부터 제공할 예정이며, 이동전화 번호이동성의 경우 3G 서비스부터 먼저 실시할 계획으로 복수의 사업자가 3G 서비스를 개시한 이후 6개월 이내부터 도입할 예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전화 번호이동성의 도입에 가장 적극적인 유럽의 주요 국가들과 호주의 사례를 검토하여 국내 이동전화 번호이동성 정책의 수립에 적용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A Study on INAP for Number portability (번호이동성 구현을 위한 INAP 연구)

  • 정영식;민재홍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1.10a
    • /
    • pp.403-406
    • /
    • 2001
  • Number Portability means that one can use his original telephone number when he change telephone service provider, region and the kind of service. It is service provider portability which retain same number when changed the service provider. It is location portability which retain same number when changed the geographic location. It is service portability which retain same number when changed the service type. Revision of INAP(Intelligent Network Application Part) is essential part to provide number portability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changed part of INAP to provide number part.

  • PDF

The Standardization Trend of Number Portability (번호 이동성 표준화 동향)

  • Bae, S.Y.;Bae, H.J.;Kim, S.G.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4 no.5 s.59
    • /
    • pp.90-98
    • /
    • 1999
  • 번호 이동성은 기존에 사용하던 전화번호를 변경하지 않고 서비스 제공자, 위치, 서비스 종류 등을 변경할 수 있게 해 주는 능력이다. 이 중 서비스 제공자 이동성은 통신시장의 경쟁을 위하여 가장 먼저 구현되어야 한다. 본 고에서는 ITU-T의 번호 이동성 표준을 분석하여 서비스 제공자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호 처리 방식을 각 능력군별로 소개하고, 이들 방식에 대한 장.단점을 비교.분석한다. 또한 ITU-T 번호 이동성의 향후 능력군에 대한 표준화 동향에 대해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