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번수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 Study on the Data Base of Fabric Design on the PET Woven Fabric for Sensitive Clothing (감성 의류용 PET 직물설계 DB에 관한 연구)

  • 심승범;김승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72-176
    • /
    • 2002
  • 본 연구는 감성 의류용 PET 직물 소재별 직물설계 조건의 DB 구축을 목적으로 하여 직물 소재 설계시 보다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의류용 합섬 소재 설계 방향을 제시하고 이들을 의류용 합섬 직물 설계시 적용가능한 기존의 CAD System에 응용할 수 있는 기초 연구를 수행하고자 국내 현업에서 적용되고 있는 100여 종류의 합섬직물의 설계 조건을 Data Base 化하여 경사, 위사의 굵기와 밀도계수 그리고 조직에 따른 이들 직물의 설계조건을 조사분석하였다. 그 결과 경위사 번수별, 조직별로 다양한 경·위사밀도를 가짐으로서 최종용도에 따라 다양한 밀도계수 분포를 보임을 확인하였으며 경·위사 번수별로 다양한 직물 조직에 따른 밀도계수 값으로 경·위사의 밀도 분포를 도시화함으로서 현업의 직물설계시 밀도선정에 보다 용이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향후 보다 많은 Data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소재별 합섬 직물의 설계에 필요한 Data Base를 더 보완하고 기존의 직물 CAD 시스템에 접목시킴으로서 기존의 직물CAD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DATA BASE according to Designing Condition of Synthetic Woven Fabrics (합섬 직물설계조건과 소재별 DATA BASE 화 (I))

  • 홍성대;김승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227-230
    • /
    • 2002
  • 모직물은 소모사의 구조(번수, 연수), 원료의 특성과 직물소재용도에 따른 직물설계 조건이 다양하게 변화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실제현장에서의 의류용도에 따라서 적용할 수 있는 배경$^{1}$)이 확립되어 있다. 그러나 합섬직물의 경우 모직물에 비해 직물설계가 단순한 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합섬직물 종류와 의류의 용도에 따른 현업에 적용 가능한 직물설계조건의 이론적 배경 확립이 미흡한 수준이다. (중략)

  • PDF

A Development in high Emotional Fabrics for Comfortable Sportswear (쾌적성능이 우수한 고감성 스포츠웨어 소재개발)

  • 권오경;고재운;김태규;서영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5-14
    • /
    • 2001
  • 각종 섬유소재 중 흡한 흡수성이 우수한 100% 면과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이용하여 본 과제의 목표에 부합되는 최적의 제직, 제편 조직을 설정, 생산하여 상품화하였으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흡한, 속건성 직물개발 : 직물의 구성인자(실의 번수, 밀도, 중량, 두께)에 따른 흡수성, 속건성을 검토하여 용도별 직물의 설계조건을 제시하였다. (2) 고흡한, 속건성의 2층 구조 편성물 개발 : 편성물의 구조를 피부측은 흡수하기 쉽고, 외측은 수분을 외부로 발산하기 쉽도록 2층 구조의 편성물을 제조하였다.

  • PDF

모직물의 구조와 수분율에 따른 습윤팽창 및 기공도 변화

  • 나미희;이대훈;김은애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1998.04a
    • /
    • pp.266-269
    • /
    • 1998
  • 세 번수 단사로 제직된 모직물은 그 사용도가 높아지고 있으나 의복의 형태안정성이 문제되고 있다. 형태안정성 중에서 특히 공기중 수분의 흡수, 발산에 따른 수분율의 차이로 발생하는 습윤팽창은 시임 퍼커링, 의복의 뒤틀림, 의복 사이즈의 불량, 접착심지의 이탈등의 다양한 의복 외관상의 문제점을 야기시킬수 있다$^{1-4)}$ . 이러한 모직물의 습윤팽창은 직물의 길이와 두께를 변화시켜서 기공도에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의복의 쾌적감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중략)

  • PDF

Dyeability and Color Fastness of Optimal Reactive Dyes According to Linen Fabrics (린넨 직물의 번수에 따른 최적 반응성 염료의 염색성 및 염색견뢰도 연구)

  • Ssanghee Kim;Hyesun Hwang;Hyejun Yoon;Euijin Shim
    •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
    • v.24 no.6
    • /
    • pp.801-811
    • /
    • 2022
  •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a database of dyeing concentrations of all reactive dyes used for dyeing linen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linen fabric and attempted to improve the reproducibility of the dyeing process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linen fabric materials. Linen fabric is a natural cellulose material that is comfortable and suitable for eco-friendly trends. It is a typical summer material with excellent breathability and thermal conductivity, quick moisture absorption and dissipation, and a cool touch. Dyeability and fastness were evaluated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linen fabric using a monochlorotriazine (MCT) reactive dye and bifunctional yellow, red, and blue dyes. All three colors of the MCT reactive dye and bifunctional dyes exhibited a darker shade as the fiber thickness of the marker increased. Fastness to washing was excellent at grades 4-5 or higher, regardless of the color of the dye and the number of linen fabrics. Although some color-fastness differences were noted, with the color change occurring most frequently with blue color, the fastness variations with dye type were mostly simila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facilitate the selection of reactive dyes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linen fabric based on the basic data from the laboratory, which will aid in the mass production of linen fabric and benefit the fashion industry.

A Study on the Data Base of Fabric Design on the PET Woven Fabric for Sensitive Clothing -Comparison between Japanese and Domestic Fabrics- (감성 의류용 PET직물설계 DB에 관한 연구 - 일본과 국내 직물 비교 -)

  • 김승진;강지만;정기진;박경순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255-258
    • /
    • 2003
  • 합섬소재를 이용한 의류용 직물설계1)에 있어 원료의 특성과 경ㆍ위사의 번수, 직물의 조직 및 밀도에 따른 직물설계 조건$^{2)}$ 은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이론적 배경과 실제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데이터는 미흡한 수준이다. 따라서 다품종 소량 생산 체제에 대비하는 다양한 소재의 설계에 필요한 Data Base 구축이 필요한 실정$^{3)}$ 이다. 본 연구는 직물용 CAD System에서의 합섬 의류용 직물설계에 응용 가능한 DB를 구축하기 위해 국내 직물설계$^{4)}$ 와 일본 직물설계$^{5}$)를 비교하여 국내직물의 수준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실제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각 100여 종류의 직물설계조건들을 조사ㆍ분석하여 국내와 일본 직물설계를 비교함으로써 감성 의류용 합섬 소재 설계에 있어 체계적인 지표가 되고 보다 우수한 품질을 위한 직물설계의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현업에 있는 업체와 기관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중략)

  • PDF

Data-Base on the Design of the Sensible Woven Fabrics (감성직물 설계의 DATA-BASE 화)

  • 정기진;박경순;강지만;김승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1351-1355
    • /
    • 2003
  • 최근 의류용 감성소재가 다양해지면서 소재의 특성에 따른 최적 설계가 data-base에서 빨리 공급 될 수 있다면 시행착오에 따른 시간과 경비가 적게 소비되면서 소비자의 요구에 빨리 대응할 수 있는 소위 Q.R.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감성 의류용 직물의 data base화를 위해서는 rapier, water-jet, air-jet 등 직기에 따른 소재의 설계분포 그리고 직기의 종류에 따라서 직물 설계 data의 분포가 어떠한지를 우선 조사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3개 업체의 실제 현장에서 생산되고 있는 PET 소재의 감성의류용 직물소재의 설계 Data를 직기별로 구분하고 직물 설계 조건들을 조사ㆍ분석하여 경사, 위사 번수별 조직계수를 계산하여 이들 data를 data-base화하고 도시하였다. 또한 이들 분석된 그래프에서 직기 종류별, 직물 조직별, 소재 item별 조직계수와 직물밀도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함과 더불어 조직에 따른 이들 직물의 설계조건을 제안함으로서 실제 현장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연구자료를 업체에 제공하고자 한다.

  • PDF

The Appearance-related Properties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Lyocell-interlining Bonded Fabric (리오셀직물 심지접착포의 외관적 성능과 역학적 특성)

  • Kim, In-Young;Song, Wha-S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0 no.12 s.159
    • /
    • pp.1683-1689
    • /
    • 2006
  • Precedent researches on lyocell are mostly on lyocell structure, characteristics, physical properties by finishing and dyeability, and the like; there are little cases of researches on interlining for lyocell clothes production. To serve as a base information helpful to select fusible interlining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sewing proces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yocell, this study performed t-est, F-test toward to the difference in the appearance-related properties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lyocell-interlining bonded fabric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fusible interlining and lyocell face fabric. This study reached following conclusions. Drapability and Crease recovery of lyocell-interlining bonded fabric are influenced by the structure of fusible interlining; stiffness of lyocell-interlining bonded fabric, by the structure of fusible interlining and the yam number of lyocell face fabric. WT is influenced by the mixture rate and yam number of lyocell face fabric. RT is influenced by the yam number of lyocell face fabric; G, 2HG, 2HG5, by the structure(woven and non-woven) of fusible interlining; B, HB, by the weight, structure(woven and non-woven) of fusible interlining, and yam number of lyocell face fabric; WC, by the weight, structure of fusible interlining; RC, by the structure of fusible interlining; thickness, by the weight of fusible interlining and the yarn number of lyocell face fabric; weight, by mixture rate and yam number of lyocell face fabric.

A study for Ripple effect and Dye Characteristic of Ripple Finished Cotton Fabrics (Ripple가공(加工) 면직물(綿織物)의 Ripple효과(效果)와 꼭두서니염색(染色) 연구(硏究))

  • Choi, Jeong-Im;Kim, Jong-Jun;Jeon, Dong-Won
    • Journal of Fashion Business
    • /
    • v.11 no.4
    • /
    • pp.101-110
    • /
    • 2007
  • Since cotton fabrics with ripple finish treatment form wavy furrows on the surface or bumpy patterns, air circulation during wearing is good and the fabric is cool to the touch. The finishing principle is based on the mercerization, which utilizes the fact that cotton fibers contract in a concentrated NaOH solution. In this study, as fabric specimens, cotton fabrics with yarn counts of 40's, 60's and 80's were used. Concentrations of the NaOH solutions were 15%, 25%, and 35%. After dyeing fabrics using Rubia akane nakai, color and other properties were measured. As the concentration of the NaOH solution increased, the fabric became thicker and denser, and the number of occurrence of the prominence and depression per unit length became larger. The color of the region contracted by ripple finish became darker after dyeing, while the color of the untreated region became lighter, which enhanced the cubic effect of the ripple finish. As the count of the cotton yarn increased, the dyeability became better. As the concentration of the NaOH solution increased, the air permeability became lo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