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버스 쉘터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6초

버스정류장 쉘터 형태의 시각적 선호요인 분석 (Visual Preference Factor Analysis for the form of bus stop shelter)

  • 유상완;온순기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405-412
    • /
    • 2003
  • 본 연구는 이용자 중심의 버스정류장 쉘터를 계획, 설계함에 있어서 필요한 시각적 선호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주변 환경이 일정할 때 쉘터는 어떠한 요인에 의해 선호되어지는가?”에 대한 연구의문에서 출발하여 버스정류장 쉘터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선호요인을 구명하였다. 본 연구는 등간척도의 점수부가체계를 적용하여 이용자에 의한 쉘터 형태의 시각적 선호를 평가한 후 시각적 선호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선호요인들과의 관계를 다중회귀분석방법으로 검정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버스정류장 쉘터 형태의 시각적 평가에 의한 요인분석 결과는 이용자 중심으로 한 버스정류장 쉘터 디자인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 결과는 버스정류장 쉘터의 계획 및 설치에 필요한 지식을 제공해 주고 이용자의 만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쉘터 디자인과 버스정류장 조성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버스정류장 시설물 관리에 있어서 이용자 중심의 쉘터 관리를 전략적으로 마련하는데 유용한 지침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일상생활에서 대중교통 이용자의 시각적 평가에 의한 선호요인 분석은 버스정류장 계획에 요체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태양광을 이용한 강구조 공공시설물의 현황과 사례 연구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and examples of steel public facilities using solar power)

  • 윤성원;김혜성;김동원;이경희
    • 한국공간구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구조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21-226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태양광을 이용한 공공시설물에 대한 간략한 분석과 함께 대표적인 공공 시설물로 버스 쉘터를 조사하였다. 이 시설물들의 구조 디자인적인 측면에서의 간략한 현황분석, 그리고 버스 쉘터를 중심으로 태양광 버스 쉘터가 구조적인 부분에서 시사하는 의미와 국 내외 사례들을 조사, 분석 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 태양광 버스 쉘터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앞으로 개선해야 할 부분을 제시해 보았다.

  • PDF

CO2 센서와 체온 센서를 이용한 코로나19 방역 버스 쉘터 (Corona19 Quarantine Bus Shelter with CO2 and Body Temperature Sensor)

  • 박병윤;이현민;짠반선;웬민뚜언;이붕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981-990
    • /
    • 2021
  • 노후화된 버스 정류장에서 코로나19 방역이 이행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했다. 쉘터 내부와 외부를 UV 광촉매 코팅하여 멸균을 시켜 위생적이고 청결한 쉘터를 유지할 수 있으며, CO2 센서와 팬을 이용하여 쉘터 내의 이산화탄소를 감소시켜 쾌적한 공기를 유지함으로써 승객들은 원활하게 호흡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체온 센서를 사용하여 체온을 측정해 코로나19 감염 의심 환자를 1차로 격리시켜 쉘터 내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을 20%이상 방지할 수 있다고 예상된다. 체온 측정 거리가 10cm 이내 일 때 체온 측정의 정확성은 98.9%로 확인할 수 있었다. 쉘터 내부의 무선 통신을 이용한 승차 벨을 사용하여 버스 기사님과 접촉하지 않으면서 안전하고 명확한 승차의사를 전달 할 수 있다.

지역 문화유산의 스토리텔링 기능을 이용한 커뮤니티퍼니처 활용방안 연구 - 버스쉘터에 대한 융복합적 실용방안 제안 - (A Study on the Measures for Utilizing the Community Furniture Using the Storytelling Function of Regional Cultural Heritages - Suggesting Convergent Pragmatic Alternatives on Bus Shelter -)

  • 이호상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37권3호
    • /
    • pp.365-376
    • /
    • 2019
  • 현재 우리 도시공간은 정형화된 프랜차이즈 업체, 각 지역마다 유사한 건축물의 형태, 자치구 통합디자인으로 인해 획일화된 가로시설물, 트랜드 흐름 속에서 개별적 매력을 상실한 각종 조형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대부분 유사한 가로환경으로 지역 문화의 정체성을 찾아보기 어렵고 장소성이 사라진 도시환경에 커뮤니티퍼니처(Community furniture) 개념을 도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목적은 보편적 편의성과 기능성 우선으로 다루어져온 버스쉘터가 지역 정체성이 반영되어 "도시구성의 필요시설물로 확장하는 공공미술화(Community Art)된, 일정지역의 특정 정체성을 함축하는 공공시설물을 총칭" 하는 '커뮤니티퍼니처'의 개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역문화유산 스토리텔링 과정을 살피고 버스쉘터의 국내외 사례를 분석한 뒤 커뮤니티퍼니처 디자인 기본원리 적용방안을 이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버스쉘터가 지역 관련 이미지를 함축하는 스토리텔링 요소를 시각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정보, 문화, 예술부문의 융복합적 시너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둘째, 공간과 장소의 특성 및 지속가능한 디자인 개념이 지역의 장소적 특성을 담아내는 동시에 주변 환경과 조화됨으로써 도시환경 디자인 활성화를 위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지역 공동체의 미의식과 지역성이 반영된 버스쉘터는 새로운 가로공간을 구성하며 특색 있는 장소 구현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유니버설 디자인을 위한 색채 인지도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버스정류장 쉘터를 중심으로 - (Study on color perception improvement for universal design - In respect of bus station in Seoul -)

  • 김은애;박경진
    • 감성과학
    • /
    • 제13권2호
    • /
    • pp.371-380
    • /
    • 2010
  • 본 연구는 서울시 개선사업으로 인해 변경된 공공시설물 중 버스정류장 쉘터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현재 버스정류장 쉘터의 색채는 서울시에서 지정한 대표색 중 기와진회색과 고궁갈색이 주조색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도시환경과의 조화에 있어서는 자연스럽게 어울리지만 유니버설 디자인의 이론에 입각하여 볼 때 사회적, 신체적 약자에 속하는 아동집단과 노인집단이 이용하고 인지하는 데는 다소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집단과 노인집단의 특성 및 환경에 대해 분석하고, 서울시에 거주하는 아동집단과 노인집단을 대상으로 일반의식, 색상 선호도, 버스정류장 쉘터에 대하여 질문하였다. 본 연구는 공공시설물에 적절한 유니버설 디자인의 색채 영역에 적용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공공공간의 영역을 하나의 시설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시설물을 포함한 환경과의 조화 속에 시설물을 쉽게 인지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것이 앞으로 공공시설물이 나아가야 할 방향임을 인식하고 유니버설 디자인을 위한 색채 인지 방향에 관한 연구를 위해 참고자료로 활용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광고매체와 패션브랜드의 이미지 일치성에 따른 광고효과 연구: 버스승차대의 의류, 화장품 쉘터광고를 중심으로 (Advertising Effect of Advertising Channels and Image Congruence in fashion Brand : Fashion & Cosmetics of Bus Stop Shelter Advertisement)

  • 이승희;이은옥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1-8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dvertisement effect of bus shelter, according to the congruency between advertising medium and the fashion brand image, and products. Four types of questionnaire are made through pretest. 273 fe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high level of the congruency between advertising medium and the image of brands had effect on the advertisement effect. Second,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dvertisement attitude and purchasing intention between clothing and cosmetics. However, cloth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rand attitude than cosmetics did. Finally, interaction affects were not found in the congruency of image and product types. Based on these results, fashion advertisement strategies would b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