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밴드센서

Search Result 23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L밴드 인공위성 SAR센서를 활용한 한반도 주변해의 산출 해상풍 정확도 특성

  • Kim, Tae-Seong;Park, Gyeong-Ae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133-133
    • /
    • 2010
  • 인공위성 SAR센서는 기존 산란계 해상풍 자료의 낮은 해상도로 인한 여러 한계를 극복함으로써 다양한 해양연구에 있어 필요성과 활용영역이 넓어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다파장 SAR 센서들이 운용 또는 발사 예정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한반도 주변해에 대한 SAR 해상풍 산출 연구는 C밴드에만 한정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L밴드 해상풍 추출알고리즘을 적용하여 L밴드 SAR 영상으로부터 한반도 주변해의 해상풍을 추출하고 산란계 해상풍 자료와 비교 분석을 통해 정확도 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07년 8월 우리나라 동해 지역을 관측한 L밴드 ALOS PALSAR 영상에 대해 L밴드 HH편광 GMF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해상풍을 산출하였다. 산출 해상풍은 동일시점의 산란계 QuikSCAT 자료와 공간적으로 유사한 패턴을 보였으며 두 자료 간의 풍속오차는 3.45m/s로 나타났다. 연구 해역과 같이 강한 바람 범위에서는 산출 해상풍 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며 풍향으로 인한 오차특성이 보인다. 특히 풍속의 경우, 산란계 해상풍이 중간바람 범위에 집중된 것에 비해 L밴드 SAR 산출 해상풍은 강한 바람 범위까지 포함하는 넓은 풍속값 범위를 나타냈다.

  • PDF

A study on IV-set Monitering System Development using by ISM Band (ISM 소출력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액세트 감시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Cho, You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0.07a
    • /
    • pp.289-29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ISM 밴드 소출력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액세트 감시시스템 개발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사회가 발전하면서 복지 수요가 증가되고 있으며 특히 의료 서비스에 대한 수요의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각종 의료장비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병원의 응급실이나 중환자실과 같이 수액공급시 수액의 주입여부, 종료여부를 감시하는 수액세트 자동 감시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수액세트 감시장치는 센서부와 수신부로 구성되며, 센서부는 수액 백으로부터 수액이 공급중인지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처리한 후 447MHz ISM 밴드의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중앙통제실로 전송한다. 센서부는 동전형 리튬전지를 이용하여 3개월 사용하도록 설계 구현하였고 실내에서최대 65m까지 전송이 가능하였다. 수신부는 센서부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 PDF

A Low Complex and Low Power Baseband IR-UWB Transceiver for Wireless Sensor Network (무선 센서 네트워크 응용을 위한 초광대역 임펄스 통신용 저복잡도, 저전력 베이스밴드 트랜시버)

  • Lee, Soon-Woo;Park, Young-Jin;Kang, Ji-Myung;Kim, Young-Hwa;Kim, Kwan-H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TC
    • /
    • v.45 no.7
    • /
    • pp.38-44
    • /
    • 2008
  • In this paper, we introduce an low complexity and low power IR-UWB (impulse radio ultra wideband) baseband transceiver for wireless sensor network. The proposed baseband, implemented by TSMC 0.18um CMOS technology, has a simple structure in which a simplified packet structure and a digital synchronizer with 1-bit sampler to detect incoming pulses are used. Besides, clock gating method using gated clock cell as well as customized clock domain division can reduce the total power consumption drastically. As a result, the proposed baseband has about 23K digital gates with an internal memory of 2Kbytes and achieves about 1.8mW@1Mbps power consumption.

Spatio-spectral Fusion of Multi-sensor Satellite Images Based on Area-to-point Regression Kriging: An Experiment on the Generation of High Spatial Resolution Red-edge and Short-wave Infrared Bands (영역-점 회귀 크리깅 기반 다중센서 위성영상의 공간-분광 융합: 고해상도 적색 경계 및 단파 적외선 밴드 생성 실험)

  • Park, Soyeon;Kang, Sol A;Park, No-Wook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8 no.5_1
    • /
    • pp.523-533
    • /
    • 2022
  • This paper presents a two-stage spatio-spectral fusion method (2SSFM) based on area-to-point regression kriging (ATPRK) to enhance spatial and spectral resolutions using multi-sensor satellite images with complementary spatial and spectral resolutions. 2SSFM combines ATPRK and random forest regression to predict spectral bands at high spatial resolution from multi-sensor satellite images. In the first stage, ATPRK-based spatial down scaling is performed to reduce the differences in spatial resolution between multi-sensor satellite images. In the second stage, regression modeling using random forest is then applied to quantify the relationship of spectral bands between multi-sensor satellite images.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2SSFM was evaluated through a case study of the generation of red-edge and short-wave infrared bands. The red-edge and short-wave infrared bands of PlanetScope images were predicted from Sentinel-2 images using 2SSFM. From the case study, 2SSFM could generate red-edge and short-wave infrared bands with improved spatial resolution and similar spectral patterns to the actual spectral bands, which confirms the feasibility of 2SSFM for the generation of spectral bands not provided in high spatial resolution satellite images. Thus, 2SSFM can be applied to generate various spectral indices using the predicted spectral bands that are actually unavailable but effective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Aggregation of Hyperion Spectral Band Using Landsat-7 ETM+ Spectral Characteristic - NDVI Application (Landsat-7 ETM+ 센서 분광특성을 이용한 Hyperion 영상의 밴드 조합 - NDVI 적용을 중심으로)

  • Kim, Dae-Sung;Kim, Yong-Il;Yu, Ki-Yu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339-344
    • /
    • 2005
  • 하이퍼스펙트럴 데이터의 효과적인 분석을 위해 밴드 추출(Feature Extraction)이나 밴드선택(Feature Selection)에 대한 연구가 최근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많은 밴드를 가지는 하이퍼스펙트럴 영상을 식생지수(Vegetation Index)와 같은 특수한 목적에 적용하기 위해 같은 파장대의 밴드를 조합(Band Aggregation)하여 Landsat ETM+ 영상 밴드와 동일한 영상 생성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NASA에서 제공하는 밴드별 분광특성 자료를 이용하여 밴드 조합을 위한 가중치 계산식에 적용하였으며, 밴드 선택을 위한 유효 파장대를 추출해 보았다 데이터 간 편차를 줄이기 위해 실제 1분 간격으로 촬영된 동일지역의 Hyperion과 ETM+ 영상을 사용하여 알고리즘에 적용하였고, 그 결과를 영상 간 상관계수와 NDVI 영상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 PDF

Real-time Sign Language Recognition Using an Armband with EMG and IMU Sensors (근전도와 관성센서가 내장된 암밴드를 이용한 실시간 수화 인식)

  • Kim, Seongjung;Lee, Hansoo;Kim, Jongman;Ahn, Soonjae;Kim, Youngho
    •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 /
    • v.10 no.4
    • /
    • pp.329-336
    • /
    • 2016
  • Deaf people using sign language are experiencing social inequalities and financial losses due to communication restrictions. In this paper, real-time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was applied to distinguish American Sign Language using an armband sensor(8-channel EMG sensors and one IMU) to enable communication between the deaf and the hearing people. The validation test was carried out with 11 people. Learning pattern classifier was established by gradually increasing the number of training database. Results showed that the recognition accuracy was over 97% with 20 training samples and over 99% with 30 training samples.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sign language recognition using armband sensor is more convenient and well-performed.

Validation of the Radiometric Characteristics of Landsat 8 (LDCM) OLI Sensor using Band Aggregation Technique of EO-1 Hyperion Hyperspectral Imagery (EO-1 Hyperion 초분광 영상의 밴드 접합 기법을 이용한 Landsat 8 (LDCM) OLI 센서의 방사 특성 검증)

  • Chi, Junhwa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9 no.4
    • /
    • pp.399-406
    • /
    • 2013
  • The quality of satellite imagery should be improved and stabilized to satisfy numerous users. The radiometric characteristics of an optical sensor can be a measure of data quality. In this study, a band aggregation technique and spectral response function of hyperspectral images are used to simulate multispectral images. EO-1 Hyperion and Landsat-8 OLI images acquired with about 30 minutes difference in overpass time were exploited to evaluate radiometric coefficients of OLI. Radiance values of the OLI and the simulated OLI were compared over three subsets covered by different land types. As a result, the index of agreement shows over 0.99 for all VNIR bands although there are errors caused by space/time and sensors.

단층 이황 몰리브덴(MoS2)의 밴드갭 조절연구

  • Park, Min-U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4.03a
    • /
    • pp.439-441
    • /
    • 2014
  • 단층 $MoS_2$는 현재 트랜지스터나 LED등에 활용을 연구중인 물질이다. 단층 $MoS_2$의 밴드구조는 약 1.8eV의 직접 밴드갭을 보이는 반도체로 알려져있다. 이 물질을 소자에 활용할 때 고유의 1.8 eV 직접 밴드갭을 이용한다. 다양한 분야에 소자로 응용되기 위해서는 밴드갭을 조절이 필요하다. 그래서 $MoS_2$의 밴드갭을 조절하는 연구가 행해져 왔는데 그 중 하나가 수소흡착 방법이다. 수소를 단층 $MoS_2$에 흡착시키면 금속 밴드구조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DFT (Density Functional Theory) 계산을 통하여 밴드갭을 조절하는 다른 방법 중에 하나인 역학적인 힘에 의해 전기적인 특성의 변화에 대한 기초연구를 진행하였다. 단층 $MoS_2$에 in-plane 방향으로 isotropic strain을 주었을 때 밴드갭이 0.68 eV에서 1.89 eV까지 변하는 것을 확인했다. 우리는 단층 $MoS_2$는 약간의 strain에도 밴드갭크기가 다소 많이 변할 뿐만 아니라 직접 밴드갭이 간접 밴드갭으로 변하는 것을 보였다. 심지어 10%정도 strain을 주면 금속으로 변할 것으로 예상된다. 밴드갭이 변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센서등 여러 어플리케이션에 단층 $MoS_2$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A Study on Selection of Optimal Satellite Imagery by Disaster Type (재해 유형별 최적 위성 영상 선정에 관한 연구)

  • Lim, SoMang;Kang, Ki-mook;Yu, Wa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79-279
    • /
    • 2021
  • 위성영상정보는 센서의 종류, 취득, 분석, 재난과 위성영상 특성 매칭 등의 제약으로 재난 상황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다. 일반적으로 인공위성의 종류는 탑재한 센서의 정보제공 능력 범위에 따라 분류 가능하며 이에 따라 대상 범위가 결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의 예측, 탐지, 사후처리를 위한 위성자료의 취득과 활용을 위해 다양한 위성과 탑재된 센서의 궤도, 공간 해상도, 파장대 등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고 재난유형별로 최적 위성영상을 선정하였다. 행정안전부에서는 재난과 재해의 유형을 자연재난(10종)과 사회재난(27종)으로 분류하였다. 위성영상 활용이 가능한 재난 유형은 가시적으로 확인이 가능한 자연재난에 해당하며 그 중 태풍, 홍수, 가뭄, 산불 등 총 4종의 재난유형별로 가용한 최적의 위성영상을 분석하였다. 재난관측에 사용 가능한 대표적인 탑재체의 종류는 극궤도 지구관측 위성에서 광학과 SAR로 구분할 수 있다. 각 기본 특성에 따라 제공되는 정보의 종류가 분류되며 광학 센서는 태양복사 및 지구복사에너지 파장 영역 중 가시광선-근적외선-단파적외선-열적외선 파장대 영역의 분광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다중 밴드들로 구성된다. 지표의 특정 대상이나 물질을 탐지하고 변화를 감지·분석하는데 유용하여 홍수, 태풍, 지진 등 자연 및 사회 재난·재해 관측에 유용하게 이용된다. SAR 센서는 장파장의 전자기파를 방출한 후 돌아오는 신호를 활용하여 대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대기의 효과 및 요소를 투과하는 주파수 대역별 장파장 밴드 정보를 활용하여 고해상도의 대상 표면, 위치, 형태 등의 정보를 측량 및 관측하므로 중·광역 지역에 제약 없이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 산사태, 홍수, 지진, 등의 재난 모니터링에 유용하다. 이러한 다종 위성별 센서들의 특징(공간 해상도, 파장대별 밴드 특성, 관측폭, 재방문 주기 등)들을 분석하여 재난유형별로 가용한 무료/상용 지구관측위성을 분류한 결과 태풍에는 광역관측, 정지궤도 위성, 홍수에는 광학 및 SAR 고해상도 위성, 가뭄은 광역관측, 다분광 광학 위성 그리고 산불에는 정지궤도, 광학, SAR 위성이 적합함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