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밴드구조

Search Result 90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Design of X/Ku band Waveguide Diplexers with H-plane T-junction (자계면 T-접합 구조를 갖는 X/Ku 밴드 도파관 다이플렉서의 설계)

  • Eum, Jeong-Hee;Choi, Hak-Keun;Song, Choong-Ho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3 no.2
    • /
    • pp.33-39
    • /
    • 2013
  • In this paper, X/Ku band waveguide diplexers with H-plane T-junction for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s is proposed and its characteristics is cinfirmed. Two frequency bands such as X(7.25 ~ 8.4 GHz) and Ku(12.25 ~ 14.5 GHz) can be separated by the proposed waveguide diplexers. A diplexers is normally including low pass filter, high pass filter and junction waveguide.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proposed diplexers, the proposed waveguide diplexers is using impedance matching technique on H-plane of the high pass filter without low pass filter. To use vertical and horizontal polarization, the proposed diplexers with orthomode transducer(OMT) characteristics is also designed.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waveguide diplexers can be used as dual-band and dual-polarization diplexers for satellite communication feed systems.

Influence of Mg composition on growth and characteristic of MgZnO/ZnO heterostructure (MgZnO/ZnO 이종접합구조의 특성과 성장에 Mg 합성이 미치는 영향)

  • Kim, Young-Yi;Kong, Bo-Hyun;Kim, Dong-Chan;An, Cheol-Hyeon;Han, Won-Seok;Choe, Mi-Gyeong;Jo, Hyeong-Gyun;Moon, Jin-Young;Lee, Ho-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6a
    • /
    • pp.73-73
    • /
    • 2008
  • 일반적으로 청색 및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레이저 다이오드, UV 감지기 (detector)소자 등의 기술적인 중요성은 ZnO를 기반으로 하는 산화물 반도체와 함께 와이드 밴드갭 반도체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ZnO의 경우 밴드갭 엔지니어링을 위해 일반적으로 Cd과 Mg을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ZnO에 Mg을 첨가하여 MgZnO 화합물을 첨가할 경우 밴드갭을 3.3eV~7.8eV까지 증가 시킬 수 있고, MgZnO/ZnO 초격자 구조를 이용할 경우 자유 엑시톤 결합에너지를 100meV 이상까지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MgO는 결정구조가 rocksalt 구조를 가지는 입방정 구조이기 때문에 Hexagonal 구조를 가진 ZnO에 첨가될 경우 고용도에 큰 제한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밴드갭 엔지니어링 기술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문제점으로 남아 있다. 본 실험에서는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방법으로 사파이어 기판위에 MgZnO/ZnO 박막을 co-sputtering 시켰다. Targer은 ZnO(99.999%) 와 MgO (99.999%) target을 사용하였고, 스퍼터링 가스는 아르곤과 산소가스를 2:1 비율로 혼합시켜 성장하였다. MgZnO 박막을 성장하기 전 ZnO 층을 ~500 두께로 성장 시켰다. RF-power는 ZnO target을 고정 시키고, MgO targe power를 변화시켜 Mg 농도를 조절 하였다. 실험 결과 MgO target power 가 증가 할수록 반치폭이 증가하고, c-plane을 따라 격자 상수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고, UV emission peak intensity가 감소며 단파장쪽으로 blue shift 하고, activation energy 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 PDF

Acoustic Band Structures in Two-dimensional Phononic Crystals with a Square Lattice in Water (수중에서 정방형 격자를 갖는 2차원 포노닉 크리스탈의 음향 밴드 구조)

  • Kim, Yoon Mi;Lee, Kang Il;Kang, Hwi Suk;Yoon, Suk Wang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4 no.5
    • /
    • pp.335-342
    • /
    • 2015
  • Phononic crystals are composite materials consisting of a periodic arrangement of scattering inclusions in a host material.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perties of phononic crystals is the existence of band gaps, i.e., ranges of frequencies at which acoustic waves cannot propagate through the structure.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oretically and experimentally the acoustic band structures in two-dimensional (2D) phononic crystals consisting of periodic square arrays of stainless steel solid cylinders with a diameter of 1 mm and a lattice constant of 1.5 mm in water. The theoretical dispersion relation that depic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and the wave vector was calculated along the ${\Gamma}X$ direction of the first Brillouin zone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to predict the band structures in the 2D phononic crystals. The transmission and the reflection coefficients were measured in the 2D phononic crystals with 1, 3, 5, 7, and 9 layers of stainless steel cylinders stacked in the perpendicular direction to propagation at normal incidence. The theoretical dispersion relation exhibited five band gaps at frequencies below 2 MHz, the first gap appearing around a frequency of 0.5 MHz. The location and the width of the band gaps experimentally observed in the transmission and the reflection coefficients appeared to coincide well with those determined from the theoretical dispersion relation.

Improvement in Fatigue Durability of RC Beams Strengthened with Carbon Fiber Sheets (탄소섬유시트로 보강된 RC 보의 피로내구성 향상에 관한 연구)

  • Park, Jeong-Yong;Kim, Seong-Do;Jo, Baik-Soon;Kim, In-Tae;Cheung, Jin-Hwa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0 no.6
    • /
    • pp.205-212
    • /
    • 2006
  • In recent investigations, reinforced concrete beams strengthened with Carbon Fiber Sheets (CFS) subjected to fatigue loading were reported to be failed at the ends of CFS by its debonding. U-shaped CFS were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CFS when fatigue tests on strengthened beams were conducted to delay and/or prevent fatigue failures of adhesive interface. The experimental parameters of this study were the usage of anchorage at the ends of CFS, the number of CFS layers, and the applied load levels of 60%~90% of the static ultimate load obtained from the static tests. The failure modes and the load cycle-deflection relations were observed and discusse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Thos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U-shaped anchoring system changes the fatigue failure modes and influences greatly on the fatigue capacity of the strengthened beams.

Quantum dot sensitized ZnO nanowire array for solar cell application

  • Seol, Min-Su;Kim, Hui-Jin;Kim, U-Seok;Yong, Gi-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384-384
    • /
    • 2011
  •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지만, 유기물 염료를 대신하여 무기물 양자점을 사용함으로서 기존 유기물 염료가 가지는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다. 양자점을 광감응 염료로 사용하는 경우 양자제한효과(quantum confinement effect)에 의해 양자점의 사이즈조절만으로 밴드갭을 조절할 수 있어 광학적 특성 조절이 용이하며, 유기물 염료보다 광흡수 능력도 뛰어나다. 더불어, 하나의 광자를 흡수하여 두개 이상의 전자-정공쌍을 만들 수 있는(multiple exciton generation) 가능성이 있어 기존 태양전지가 가지는 이론적 한계효율(Shockley-Queisser limit)을 뛰어넘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효율의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 개발을 위해, ZnO 나노선 구조에 CdS, CdSe 양자점을 증착한 CdSe/CdS/ZnO 나노선 헤테로구조를 수열합성법으로 합성하였다. 증착한 CdSe/CdS 양자점이 태양광의 가시광 전 영역을 흡수하여 전자-정공을 생성하며, 세 물질 간의 밴드구조를 통해 양자점에서 생성된 전자가 ZnO 나노선으로 포집되고, 바닥전극으로 직접연결이 되어있는 1차원의 나노선 구조를 통해 전자를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

  • PDF

A Compact 3-Layer EBG Structure with Square Ring Stripline (사각 링 스트립선로를 결합시킨 소형 3층 EBG 구조)

  • An Sung-Nam;Shin Dong-Gu;Kim Sang-ln;Choo Ho-Sung;Kim Moon-Il;Park Ikmo;Lim H.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16 no.3 s.94
    • /
    • pp.300-310
    • /
    • 2005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compact three-layer EBG structure. The unit cell of the proposed EBG structure is composed of a square patch in the upper layer and a square ring stripline in the lower layer that are connected to the ground plane through conducting vias. Reflection phase analysis method and tangential transmission method were considered to accomplish effective EM simulation and measurement. EM simulation results indicate that bandgap characteristics of the EBG structure using both methods is nearly identical. Parametric studies have been performed with the EM simulator to analyze the properties of the EBG structure by investigating the phase shift of the normally incident plane wave, and the transmission measurements between simple monopole antennas positioned near the EBGstructure have been done. The operating fiefuency bandgap of the proposed EBG structure is about 34 $\%$ lower than the conventional EBG structure with the same size. Measured results show bandgap from 0.930 GHz to 0.945 GHz.

Optical Mode Properties of the 2-D Photonic Crystal Slab (2차원 광결정 슬랩 구조에서 광모드 특성)

  • 류한열;황정기;이용희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02a
    • /
    • pp.260-261
    • /
    • 2000
  • 광결정(photonic crystal)은 빛의 파장 크기 정도의 격자 상수를 지닌 1차원, 2차원, 또는 3차원의 주기적인 구조이다. 광결정에는 광밴드갭(photonic bandgap)이라는 빛의 자발 방출이 억제된 진동수의 영역이 존재하는데, 이 영역을 이용하여 빛의 자발 방출을 조절하고 빛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1]}$ 지난 10여년간 2차원, 3차원의 광결정 구조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는데, 최근에는 슬랩 도파관(slab waveguide)에 2차원 광결정을 만든 구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이 구조는 평면 방향으로는 광밴드갭 효과로 광모드를 가둘 수 있고 수직 방향으로는 전반사를 이용하여 모드를 가둘 수 있어서 3차원적인 모드 confinement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림 1]의 (a)에 air-bridge 형태의 2차원 광결정 슬랩(photonic crystal slab) 구조를 도식적으로 나타내었고, (b)에는 본 연구실에서 제작한 구조 표면의 scanning electron micrograph을 나타내었다. 현재 몇몇 연구 그룹에서 이와 같은 광결정 슬랩 구조를 이용한 반도체 레이저를 실현하는데 성공하였다.$^{[2,3]}$ (중략)

  • PDF

Image Denoising using an Asymmetric Analysis Filter in the Wavelet Domain (비대칭 분해 필터를 통한 웨이블릿 영역에서의 영상 잡음 제거)

  • 오준환;최창렬;정제창;김영섭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07e
    • /
    • pp.1723-1726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상세 부밴드에서의 PSNR과 웨이블릿 계수의 계층적 데이터 구조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웨이블릿 영역에서의 신호 해석을 통한 잡음 제거를 연구하였다. 제안된 방식은 기존의 방식들과는 달리 수직 또는 수평 방향의 고주파 성분에 의한 상세 부밴드에서의 에너지 편중을 고려하여 이들의 에너지의 편중에 따른 분해 필터를 적응적으로 설계하고 부밴드의 에너지를 재분배시켜 성능을 향상 시켰으며, 웨이블릿 계수의 상호 의존성을 고려한 지역윈도우 사용해 기존의 방식을 개선하였다.

  • PDF

Analysis of the Guard Band and the Radio Interference between W-CDMA and cdma2000 Systems (W-CDMA와 cdma2000 시스템간의 가드 밴드 및 전파간섭에 관한 분석)

  • 박진아;박승근;조경록
    • Proceedings of the Korea Electromagnetic Engineer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29-33
    • /
    • 2001
  • 본 논문은 IMT-2000용 동기(cdma2000) 및 비동기(W-CDMA) 통신시스템간의 가드 밴드와 전파간섭에 관한 것으로, ITU-R SM.337-4 권고(안)과 수신필터 특성을 반영한 ACIR(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Ratio) 표준규격을 IMT-2000의 특징인 다층 셀 구조에 적용하여 두 시스템간의 가드밴드로 1.5625MHz를 제안했다.

  • PDF

Photonic Band Gap Characteristics by Shape of Lattice with Uniformity Area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격자의 모양에 따른 광자 밴드갭 특성에 관한 연구)

  • 김기욱;오범환;이승걸;박세근;이일항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7a
    • /
    • pp.226-227
    • /
    • 2003
  • 광자 크리스탈 (Photonic Crystals)은 서로 다른 유전체의 주기적인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자기파가 특정한 주파수 범위에서 전파하지 못하고 차단되는 영역인 광자 밴드갭 (Photonic Band Gap)이 존재한다. 이러한 광자 밴드갭의 존재로 인하여 빛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반사거울, 휘어진 도파로(bent waveguide), 레이저, 채널 드롭핑 필터(channel dropping filter) 등 여러 가지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