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백합속

Search Result 5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Ecological studies of the venus clam Notochione jedoensis (Liscke) on the Daechean areas of Korea (대천산 살조개, Notochione jedoensis (Liscke)의 생태학적 연구)

  • 김용호;김지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330-331
    • /
    • 2001
  • 우리나라 근해산 살조개, Notochione jedoensis (Liscke)는 백합과에 속하며, 우리나라 서남연안과 일본의 혹가이도, 중국의 산동 및 황해 등지의 조간대에서부터 수심 20m 까지의 모래 밭이나 작은 돌이 많은곳에 분포하며, 연안 어민들이 식용으로서의 가치가 높으나 어획되는 양도 많지 않고, 현재 양식도 실시되지 않고 있다. 뿐만 아니라 살조개의 어획량이나 자원의 변동, 생태 및 번식 등을 포함한 양식기술 개발에 요구되는 기초자료가 거의 없는 상태이며, 이에 따라 양식기술의 개발에도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중략)

  • PDF

냉동-해동된 조개류 배의 발생과 생존율

  • 최윤희;김영신;장영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373-374
    • /
    • 2001
  • 조개류 발생배의 냉동보존은 백합, Meretrix lusoria(Chao et al., 1997), 지주담치 Mytilus edulis (Toledo et al., 1989), 참굴 Crassostrea gigas(Renard, 1991; McFadzen, 1992; Gwo, 1995; Naidenko, 1997; Chao et al., 1997)에서 꾸준히 연구되어 왔다. 특히 Crassostrea 속의 발생배에 대한 냉동보존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며, 해동후 일정시간 배양하여 발생배의 생존율을 파악한 결과들이었다. (중략)

  • PDF

화상분석법을 이용한 곰소만산 암컷 가무락조개, Cyclina sinens그의 생식주기 분석

  • 최기호;정의영;이창훈;김용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593-594
    • /
    • 2001
  • 가무락조개, Cyclina sinensi(Gmelin)는 백합과에 속하는 식용 이매패로서 한국, 중국, 일본의 연안에 분포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서ㆍ남해안 해역의 니질에 서식하며(Yoo, 1976), 지금까지 가무락조개에 관한 연구ㆍ조사는 일본 히로시마산 가무락조개의 초기발생(Haragaki, 1966)과 한국산 가무락조개의 인공산란유발ㆍ인공수정 및 성장(Choi, 1971; Choi and Song, 1973; Choi, 1975), 생식주기(Lee and Cho, 1985) 등이 정성분석으로 보고되어 있을 뿐 정량적 분석에 의한 정확한 산란기 등이 제대로 밝혀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중략)

  • PDF

Histological Studies on the Gametogensis and Reproductive Cycle of the Hard Clam , Meretrix Iusoria (백합, Meretrix Iusoria의 생식세포형성과정 및 생식주기에 관한 조직학적 연구)

  • Lee, Ju-Ha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13 no.2
    • /
    • pp.131-141
    • /
    • 1997
  • 전북 김제시 심포에서 1994년 1월부터 12월까지 월별로 채집된 백합 Meretrix lusoria의 생식세포형성과정 및 생식주기를 , 조직학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백합은 자웅이체이고 난생을 하며, 생식소는 내장낭의 간중장선의 하부로부터 족부의 근육부근까지 분포하며, 성숙되면 팽대되지만 방란, 방정 후에는 위축된다. 생식소는 많은 난자형성여포들과 정자형셩여포들로 구성되어 있다. 여포에는 호산성 세포와 미분화간충직들이 들어 있는데, 이들은 초기 생식세포의 영양물질로 제공되고 있으며, 생식소가 발달함에 따라 점차 소실된다. 초기활성기의 난원세포는 직경 10$\mu\textrm{m}$ 내외이며, 초기 난모세포는 난병을 여포벽에 부착한 채 성장을 하여 70$\mu\textrm{m}$ 내외의 완숙란으로 된다. 정원세포가 성장을 하여 정보세포, 정세포를 거쳐 변태를 마친 정자는, 정자형성소낭의 중앙 내강에 정자속을 형성한다. 방란, 방정을 마친 생식소는, 일부 미방출된 생식세포가 퇴화 흡수되면서 비활성기를 지나 이듬해 수온상승과 더불어 새로운 발달을 시작한다. 생식주기는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초기 활성기(1-3월), 후기 활성디 (2-5월), 완숙기(4-8월), 부분 방출기(6-9월), 퇴화 및 비활성기(9-2월)로 구분할 수 있다. 산란은 6월 (22$^{\circ}C$)부터 9월 ($25^{\circ}C$)까지 지속되지만, 산란성기는 7월(27$^{\circ}C$)-8월(28$^{\circ}C$)이다. 생식소지수는 1월에 0.58을 나타내며 5월에 4.60으로 최대값을 나타낸 후, 6월부터 점차 감소하기 시작하여 12월과 1월에는 1.0미만에 머무른다.

  • PDF

Determination of sulforaphane in cruciferous vegetables by SIM (선택이온 측정법에 의한 십자화과 채소중의 Sulforahane 함량)

  • Kim, Mee-Ree;Lee, Kun-Jong;Kim, Jin-Hee;Sok, Dai-Eun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9 no.5
    • /
    • pp.882-887
    • /
    • 1997
  •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sulforaphane, S-methylsulfinylbutyl isothiocyanate in 20 cruciferous vegetables of Korean origin was performed. Homogenate of vegetable was extracted with dichloromethane, and the extract, after drying, was subjected to GC/MS analysis, which was based on single ion monitoring (SIM) at m/z 72, 160, 55, 114 and 177. The content of sulforaphane was found to be the highest in the extract of broccoli $(80.2{\sim}617.7\;ppm)$ followed by turnip $(15.4{\sim}23.1\;ppm)$, red cabbage $(9.9{\sim}32.1\;ppm),\;radish\;(5.5{\sim}8.8\;ppm)$ and kale (8 ppm). Among various cultivars of broccoli, broccoli '1243' and broccoli 'Pilgrim' showed higher content of sulforaphane than others. Especially, in the stem of broccoli '1243' and the floret of broccoli 'Pilgrim' the amount of sulforaphane was the highest (>700 ppm). Thus, the content of sulforaphane differed according to the cultivars and the portion of the vegetables.

  • PDF

Two New Records of Marine Hydromedusae (Cnidaria: Hvdrozoa) in Korea (한국 해산 히드라해파리 (자포동물문: 히드라충강) 2미기록종)

  • Jung Hee Par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v.19 no.1
    • /
    • pp.111-117
    • /
    • 2003
  • Some hydromedusae were collected from Shiwhaho (Kyonsgi-do), Korea Strait and Yeosu, Korea during years 2000-2002. They were identified into Sorsia tubulosa (M. Sars, 1835) of the order Anthomedusae, and Liriope tetraphylla (Chamisso and Eysenhardt, 1821) of the order Trachymedusae respectively. They are new to the Korean fauna. The order Trachymedusae is first recorded in Korea. The long tube-like manubrium and four marginal tentacles are characteristics of S. tubuloso. In L. tetraphylla, the four triangle-shaped gonads and their positions upon half of surface of subumbrella, the seven blind centripetal canals in a quadrant and the long fat manubrium are its distinct characteristics. Resulting from this work, the Korean hydromedusae identified so far consist of 13 species of 11 families in five orders.

Effects of 2,4-D Treatment on the Callus Induction of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2,4-D처리가 층층둥굴레(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캘러스 유도에 미치는 영향)

  • Park, Min Wan;Bae, Kee Hwa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32-32
    • /
    • 2018
  • 층층둥굴레(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는 백합과(Liliaceae) 둥굴레속(Polygonatum)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이다. 둥굴레속의 근경은 점액질이 풍부하고 전분질, 아미노산, 알카로이드 등의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식품학적으로도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리고 새순과 여린줄기는 식약청 식품원재료서비스에 등록된 식용가능 식물자원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층층둥굴레는 경기도 황학산수목원에서 2년, 5년생과 종자를 분양받아 종자는 기내에서 발아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야생의 개체를 무균적으로 기내도입하기 위해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를 0~1.5%까지 달리하여 멸균한 결과, 유의적 차이는 없으나 1~1.5%처리가 비오염율이 20% 내외로 조사되었다. 층층둥굴레 캘러스 유도에 미치는 옥신류 호르몬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멸균된 근경을 절단하고 옥신류 호르몬의 종류와 농도가 각각 다르게 처리된 MS배지에 치상하여 배양한 결과, 2,4-D 0.5mg/L 처리구에서 캘러스 유도율이 87%로 가장 높게 조사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층층둥굴레의 기내배양 방법을 통해 효과적으로 모본과 동일한 층층둥굴레의 대량생산 체계를 만들 수 있는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더불어 관련 산업계의 소재다양화 측면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보여진다.

  • PDF

Vegetation Types and Diversity Patterns of Pinus densiflora Forests in South Korea (우리나라 소나무림의 식생형과 종다양성 패턴)

  • Cho, Hyun-Je;Lee, Chang-B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0 no.1
    • /
    • pp.118-123
    • /
    • 2011
  • Pine (Pinus densiflora) forests of 315 sites were classified by applying the phytosociological method, TWINSPAN and DCA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The floristic composition and diversity patterns of the vegetation types analyzed and documented. The vegetation types were classified 8 groups including 4 groups of Quercus mongolica type and 4 groups of Quercus serrata-Smilax china type. Taxonomically, Compositae was the most diverse family (21 genus, 45 species) and followed in order of Liliaceae (18 genus, 34 species), Rosaceae (17 genus, 34 species), and Leguminosae (15 genus, 25 species). The patterns of species richness, diveristy and evennes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vegetation types. In altitudinal pattern of species diversity, species richness monotonically decreased but species evenness increased with increasing altitude.

Chemical Constituents of Bulb of Lilium lancifolium Thunberg and Lilium tsingtauense Gilg (참나리와 하늘말나리 인경의 성분분석)

  • Park, Tae Young;Seo, Kyoung-Sun;Choi, Seongkyu;Yun, Kyeong Won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7 no.2
    • /
    • pp.125-132
    • /
    • 2014
  • In this study,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bulb from Lilium lancifolium and Lilium tsingtauense were investigated. The content of moisture, crude protein and fiber of bulb from L. tsingtauense was higher than that of L. lancifolium, whereas the content of crude ash and nitrogen free extract of bulb from L. lancifolium was higher than that of L. tsingtauense. HPLC analysis revealed that total free sugar and amino acid content of bulb from L. tsingtauense was higher than that of L. lancifolium. There was no remarkable difference in proximate composition between the two species. The content of p-coumaric acid and ferulic acid was 1.93 mg% and 0.25 mg% in ethyl acetate fraction of L. lancifolium, on the other hand, 2.94 mg% and 0.46 mg% in ether fraction of L. tsingtauen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ulb of L. tsingtauense can be considered as promising oriental medicine resource likewise L. lancifolium.

서해산 일본재첩, Corbicula japonica의 서식환경과 분포

  • 류수헌;이정열;류동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2.10a
    • /
    • pp.249-250
    • /
    • 2002
  • 일본재첩(Corbicula japonica)은 부족강(Pelecypoda), 백합목(Veneroida), 재첩과 (Corbiculidae)에 속하는 종으로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재첩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건천을 제외한 대다수 하천의 하구역에 서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재첩에 관한 연구는 주로 번식과 산란(이와 정, 1980; 권 등, 1987, 곽 2000; 김과 유, 2000a, 2000b; 김 등, 2002b)을 중심으로 일반적인 생태와 환경(정, 1977; 김 등, 2002a) 및 분류(조 등, 1998), 자원학적 조사(박과 이, 1968; 주와 김, 1982)와 저질의 선택성과 잠입(강과 양, 1999)을 중심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정확한 적정 염분과 세부적인 서식환경 및 생태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