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배출허용기준

Search Result 176, Processing Time 0.059 seconds

Research on emission test procedures and permissible standards of automobile exhaust gases (자동차배출가스 허용한도 및 검사방법)

  • 이문득;김준용;김응서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2 no.2
    • /
    • pp.31-39
    • /
    • 1980
  • 복지사회적 목표에서의 도시계획 및 교통문제는 환경보전의 측면에서 상충되는 관계가 이루어 지고 있다. 특히 대도시에서 자동차의 배출가스에 의한 대기오염은 매우 심각한 관계에 이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앞으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자동차 증가율과 상대적으로 협조한 도 로의 점유율 및 이에 따른 자동차 주행 pattern의 불규칙성을 감안하면 외국과 같은 규제기준의 설정이 필요하다. 자동차 배출가스에 의한 대기오염의 심각성은 배출가스중에 들어있는, 일산 화탄소(CO), 탄화수소(HC), 질소산화물(NOx), 알데히드, 연화합물 및 발암성 방향족화합물 등 으로, 이것은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주고 있다. 이와 같은 실정에서 인간의 건강을 공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기준으로 세계보건기구 WHO 는 1972년 "WHO Technical Report Series, No.506" 에서 SO$_{2}$ 분진 일산화탄소 및 photochemical 에 대하여 기준 목표를 설치하였다.목표를 설치하였다.

  • PDF

혐기-호기 고정생물막공정을 이용한 염색폐수 처리

  • 박영식;안갑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178-180
    • /
    • 2001
  • 본 혐기성 반응기와 호기성 반응기를 사용하여 염색폐수를 처리 할 경우 HRT 24~30시간의 경우 색도는 방류수 수질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으나 외관상 색도를 띄며, COD의 경우 배출수 허용기준을 만족시키기 어려우므로 전처리나 후처리로써 응집. 침전 공정, 오존 및 UV와 같은 고도산화공정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Thermal Resistant Characteristics of Fabric Filters (합성섬유 집진필터의 내열특성 향상 연구)

  • 박현설;박석주;김상도;최호경;임정환;박영옥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2.05a
    • /
    • pp.193-196
    • /
    • 2002
  • 국내 대기오염물질 배출에 대한 규제는 단계적으로 강화되고 있으며, 2005년 이후에는 한층 강화된 배출허용기준치가 적용될 예정이다. 오염물질 배출시설을 보유한 각 산업체에서는 이러한 정부의 대기오염물질 규제 방안에 대처하기 위해 고효율의 오염물질 처리설비를 도입하여야 하며, 이에 따른 비용부담도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저비용 고효율 오염물질 처리설비의 개발은 현재 대기오염물질제어 연구개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핵심사항이다.(중략)

  • PDF

$NO_x$ Reduction by Combustion Control in Power Plant Boiler (발전용 대형 보일러에서 연소 제어에 의한 질소산화물 저감)

  • 천성남;정진안;전병열;엄희문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211-212
    • /
    • 1999
  • 오존경보제가 시행된 이후 오존경보의 발령 횟수 및 발령 지역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대도시 광화학 스모그 생성의 중요한 원인물질 중 하나로 알려진 질소산화물의 배출을 저감시키기 위해 배출허용기준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발전소에서 운영하는 대형 보일러는 고온의 연소영역에서 운전이 이루어지므로 Thermal NOx의 생성이 지배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중략)

  • PDF

Analysis of Water quality in ChungJo dam using EFDC-WASP (EFDC-WASP 연계 모형을 이용한 충주댐유역 수질분석)

  • Kim, Seok Hyeon;Hwang, Sun Ho;Kim, Kyeung;Shin, Sat Byeol;Kang, Moon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39-439
    • /
    • 2018
  • 충주호는 충청권의 생 공 농업용수로 이용되는 광역상수원이며, 2016년 기준 연간 약 3만6천톤이 방류되어 남한강 전체 수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현재 충주호는 상류 유역의 오염원이 적게 분포하여 1급수의 수질기준을 만족하고 있으나, 상류 유역의 개발로 오염원 유입이 증가할 경우 호소 내 수질 및 남한강 전체 수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충주댐 상류 유역의 오염부 하량 변화에 따른 수질변화를 예측하고, 현재수질 유지를 위한 허용 오염부하량을 산정할 필요가 있다. 한편, EFDC-WASP 연계모델은 수리학적 계산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이를 수질모델에 사용할 수 있어 다수의 연구자들에 의해 호소의 수질 모델링이 이루어졌으며 적용성이 많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EFDC-WASP 연계 모형을 이용하여 충주댐 상류유역의 배출부하 변화에 따른 호내 수질특성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모의구간은 충주댐의 유입지점부터 방류지점까지로, 수치해석을 위한 격자망은 총 800여개의 격자로 구성하였다. 수위자료는 한강홍수통제소에서 제공하는 충주댐 수위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수질자료는 환경부 호소 측정지점인 충주호1,2,3 의 자료와 하천 측정지점인 제천A과 한강B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모의기간은 2013-2015년으로 2013년은 모델의 안정기로, 2014년은 보정, 2015년은 검정에 각각 활용하였다. 보검정된 모델을 활용하여 유입부하량 변화에 따른 수질변화를 모의하였고, 1급수 수질을 만족하는 허용부하량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향후 호소 상류유역의 개발에 따른 수질변화 예측과 허용부하량 산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tudy on Fuel Specificity and Harmful Air Pollutants Factor of Agglomerated Wood Charcoal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성형목탄의 연료특성과 유해인자에 대한 연구)

  • JEOUNG, Taek Yong;YANG, Seung Min;KANG, Seog Go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8 no.2
    • /
    • pp.253-266
    • /
    • 2020
  • This study selected three types of agglomerated wood charcoal (Agglomerated wood charcoal with charcoal powder, Carbonized wood briquette, Ignition-type of perforated charcoal) that are in circulation in Korea among fuel-type wood products and analyzed the fuel characteristics, harmful substance content, and emissions of air pollutants generated by combustion. The first results showed that charcoal-grilled carbon, which is the raw material of charcoal, produced higher CO than saw-billed carbon. The second result is that the emission standards of air pollutants generated by the combustion of molded wood coal are not up to the emission standards of nitrogen oxides and sulfur oxides in the entire product, compared with the emission criteria of the atmospheric environment preservation method (based on 2019, carbon monoxide: 200 ppm, nitrogen oxides, 150 ppm sulfur oxides: 100 ppm), but the carbon dioxide moulding and carbon dioxide levels were not up. Based on the analysis of combustion gas generated during combustion derived from this study, future research is needed for comparing with the emission standards of pellets, which are wood products for fuel, among the existing biomass burning standards and for reducing carbon monoxide generated during incomplete combustion of agglomerated wood charcoal.

Performance Enhancement of Flue Gas Desulfurization System with Structural Constraints in 500 MW Coal Fired Power Plants (구조적 제약조건을 갖는 500 MW 석탄화력발전소 탈황설비의 성능개선)

  • Kim, Jong-Sung;Yoo, Hoseon
    • Plant Journal
    • /
    • v.15 no.4
    • /
    • pp.30-35
    • /
    • 2019
  • To meet both increasing social demand for reduction of fine dust and the strengthened air pollutant emission standards, this paper indicated performance enhancement of FGD with structural constraints in 500 MW coal fired thermal power plant's. Through modifying internal facilities for flue gases to make swirl in the absorption tower, it made turbulence and increased the efficiency of material transfer, the reaction area and time with the limestone slurry. Therefore, it could reduce dust and enhance the performance of collecting the SO2. As a result, desulfurization efficiency was improved from 91.61% to 98.43% and dust removal efficiency was improved from 77.4% to 87.08%. Emission density is 7.85 ppm of SO2 and 4.67 mg/㎥ of dust. This is a level that satisfies emission limit of 25 ppm of SO2 and 5 mg/㎥ of dust which are the air pollutant emission standards of 2023. The performance enhancement method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effectively applied to other coal-fired power plants with similar constraints.

New Directions of Particulate Control Technology (새로운 집진기술 동향)

  • 김용진;정상현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v.11 no.3
    • /
    • pp.221-231
    • /
    • 1995
  • 산업발달에 따라 불가피하게 생성되며, 대기오염의 주종을 이루면서 인체에 가장 유해한 분진입자는 산업체의 오일(oil) 및 석탄연소 보일러, 자동차, 제철/제강 및 시멘트 플랜트 등으로 부터 배출되는 미세입자(fine particle)들이며, 앞으로 이들의 제어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인 관심의 대상이 될 것이다. 한 예로, 석탄연소 화력발전소로부터 1$\mum$ 이하의 입자들의 배출량은 무게비로는 1% 이하이지만 입자수의 비율에서는99%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은 매우 높은 중금속 함유량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인체의 호흡시 심각한 문제를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이러한 미세입자들은 대기중에 부유하고 있다가 비(rain)에 의하여 세정되어 수질오염까지도 유발시킨다. 1992년 2월 공포된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에 따라 분진배출 허용기준이 장기 입법예고 되므로서 1995년 1월과 1999년 1월의 2단계에 걸쳐 현재 적용 받고 있는 분진배출 규제치보다 훨씬 낮은 선진국 수준의 분진배출 규제가 요구되고 있으며, 분진이 배출되는 인근지역주민의 민원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연돌로부터 분진배출이 눈에 감지되지 않을 정도까지 분진배출농도를 관리해야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집진장치의 효율도 중유전소 Boiler 의 경우는 90% 이상, 석탄전소 Boiler의 경우는 99.5% 이상의 고효율이 요구되고 있다.

  • PDF

Water Quality Impact Assessment in Korea - Comparing with the Integrated Control of Pollutant-Discharging Facilities - (수질분야 환경영향평가의 개선방안 - 환경오염시설의 통합관리와 대비하여 -)

  • Lee, Jong Ho;Cho, Jae Heo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6 no.5
    • /
    • pp.331-343
    • /
    • 2017
  • The important changes in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in Korea can be summarized as the enactment of Act on the Integrated Control of Pollutant-Discharging Facilities. Therefore water quality impact assessment should be reexamined and be revised. This study examines the present water quality impact assessment items (permissible discharge limits, standards for effluent water quality including Total Pollutant Load Management System) and considers the land use regulation for water quality conservation and NVZs(Nitrate Vulnerable Zones of EU and England). It also considers lately adopted standards(maximum discharge standards,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s, and marginal discharge standards etc) based on Act on the Integrated Control of Pollutant-Discharging Facilities and then compares Korean BAT and its counterpart control technology of U.S.A. And it also compares the items of water quality impact assessment with those of Integrated Control of Pollutant-Discharging Facilities, based on EIS reporting items. This study suggests five improvement measures for water quality impact assessment. First reflection of discharge impact analysis on impact prediction and assessment, second reflection of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s on agreed standards in the EIA procedure, third, reflection of diversified BAT on mitigation measures in the EIA procedure, forth introduction of land use regulation such as NVZs, finally strengthening linkage between water quality items and land use items etc.

A Study on Design Condition of SCR System with 1000Nm$^3$/h Pilot Plant (1000Nm$^3$/h 파일럿 플랜트를 이용한 SCR설비의 설계조건에 관한 연구)

  • 장인갑;선칠영;김정일;문길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469-470
    • /
    • 2003
  • 질소산화물(NOx)은 대기오염물질이며, 우리나라 대기환경기준 설정항목중 6대 집중관리항목으로 취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질소산화물에는 NO, NO$_2$, NO$_3$, $N_2$O, $N_2$O$_3$, $N_2$O$_4$, $N_2$O$_{5}$등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대기중에서 검출되는 것은 $N_2$O, NO, NO$_2$ 등이며, 이 중에서 관리대상은 NO와 NO$_2$이다. 최근 정부에서는 질소산화물의 배출을 억제하기 위해 2005년 이후부터 배출허용기준을 대폭 강화할 것을 입법 예고하고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