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배출부

검색결과 742건 처리시간 0.032초

POLICY & ISSUES 기획특집_2 - 대기질 관리 선진화를 위한 전산매체 운영현황

  • 홍지형
    • 환경정보
    • /
    • 통권406호
    • /
    • pp.13-17
    • /
    • 2013
  • 2013년부터 1~3종 대기배출사업장의 자가측정에 관한 기록과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의 운영기록부를 전산에 의한 기록, 보존하도록 운영하고 있으며, 2014년에는 4~5종의 대기배출사업장에 대한 대기배출원 조사를 시행할 예정이다. 대기배출원 관리시스템(SEMS)의 전산매체를 활용한 국가 대기배출원조사와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의 운영기록부 전산화 등의 대기 배출원 관리를 통해 대기질 관리의 선진화를 앞당길 것으로 기대가 되고 있다.

  • PDF

생태독성 배출관리제도 5개년 계획(2008-2012)

  • 한국환경기술인연합회
    • 환경기술인
    • /
    • 제6호통권262호
    • /
    • pp.14-21
    • /
    • 2008
  • 환경부는 최근 사용 및 배출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수질유해물질의 독성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미지의 독성물질로 인한 수생태계 위해성 저감을 위해 생태독성 배출관리제도를 도입했다. 이에 따라 2011년부터 산업폐수 배출시설 82개 종류중 석유정제품 제조시설 등 35개 종류의 시설과 폐수종말처리시설에는 생태독성 배출허용기준이 적용되며, 관할 행정기관에서는 각 배출시설에 대해 생태독성 배출허용기준 준수여부를 정기적으로 점검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본지는 환경부 산업수질관리과의 도움으로 새로운 제도를 게재한다.(편집자주)

  • PDF

가축분뇨 해양배출 감축대책

  • 대한양돈협회
    • 월간 양돈
    • /
    • 제29권9호통권337호
    • /
    • pp.170-173
    • /
    • 2007
  • 2012년부터 가축분뇨 해양배출이 전면 중단됨에 따라 농림부는 '07년부터 연간 50만톤 이상 해양배출량을 감축하여 2011년까지 가축분뇨를 전량 육상처리하기 위한 해양배출 감축대책을 수립했다. 다음은 농림부가 마련한 대책을 요약한 것이다.

  • PDF

가축분뇨 해양배출의 현황과 대책 (The Present Conditions and Measures for Ocean Dumping of Livestock Excreta Wastes in Korea)

  • 김광수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197-205
    • /
    • 2007
  • 국내에서 가축분뇨를 폐기물의 해양배출에 관한 현황 및 정부와 업계의 입장을 살펴보고, 정부(해양수산 및 농림부)와 업계(대한양돈협회 및 해양배출협회) 간의 갈등을 해결하는 대책을 검토하였다.

  • PDF

포장과 법률 - 분리배출표시에 관한 지침 일부개정안

  • (사)한국포장협회
    • 월간포장계
    • /
    • 통권209호
    • /
    • pp.118-121
    • /
    • 2010
  • 환경부가 분리배출표시에 관한 지침을 일부 개정, 폐기물의 재활용 촉진을 위한 분리배출 표시 도안 개선을 통해 분리배출의 용이성을 제고하고, 복잡한 표시방법을 개선하는 등 현행 규정의 운영과정에서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 보완한다고 밝혔다. 본 고에서는 주요 내용과 함께 분리배출표시법을 살펴본다.

  • PDF

열전특성 측정 장비 내 수냉식 열배출기의 층수에 따른 열전달거동의 변화

  • 김영석;하수현;강상우;김태성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5년도 제49회 하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92.1-92.1
    • /
    • 2015
  • 열전소재의 열전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샘플 내 상하부 온도구배가 필요하다. 하지만 진공챔버 내에서는 대류효과가 제한되어, 1 mm 이하 두께의 얇은 샘플은 상하부 방향으로 온도 구배를 조성하기 어렵다. 온도 구배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샘플의 두께 방향을 관통하는 열유속이 필요하며, 진공 분위기에서 열유속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히터뿐만 아니라 별도의 열배출기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열전특성 측정 장비 내 수냉식 열배출기의 설계를 위해, 열배출기의 층수를 달리하며 열전달거동을 수치해석적인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열배출기의 층수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동일한 채널길이를 유지시키면서 층수를 달리하는 기하학적인 구조들을 설계하였다. 수치해석을 용이하게 진행하기 위해, 열배출기의 형태는 단순한 bar 형태를 가진 1-5층의 다층 구조 로 설계하였다. 열배출기들 각각의 열전달 효율을 평가하기 위해, 수냉식 열배출기의 열배출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질량유량을 0.1-1 g/s로 변화 시키면서 열전달 거동을 확인하였다. 또한 냉각수의 기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발열체의 온도를 290-370 K로 바꿔 가며 열전달 거동을 확인하였다. 수치 해석결과, 5층의 열배출기가 최대 120 W/cm2 로 높은 단위면적당 열배출량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열배출기 전체의 열배출량을 기준으로하는 열배출효율은 0.6 정도로 낮은 효율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3층의 열배출기의 경우, 열배출 효율이 0.8에 달하며, 2층의 열배출기 보다 열배출 효율이 좋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C-FVM을 이용한 토공장비의 CO2 배출계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2 Emission Factor for Earth-Work Equipment Using C-FVM)

  • 김병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999-1006
    • /
    • 2014
  • 국토해양부에서 2011년 시설물별 탄소배출량 산정가이드라인을 통해 제시한 토공장비의 $CO_2$ 배출계수는 IPCC 탄소배출계수를 활용하여 연료사용량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하지만 이 방식은 현장의 다양한 조건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한 새로운 배출계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토공장비를 대상으로 농도-유속측정(C-FVM)을 이용한 직접측정방식으로 $CO_2$ 배출량을 산정하고, 국토해양부에서 제시한 배출계수와 비교분석 후 토공장비의 새로운 $CO_2$ 배출계수를 제시하고자 한다.

국내 가축분뇨 해양배출의 현황과 대책 (The Present Conditions and Measures for Ocean Dumping of Livestock Excreta Wastes in Korea)

  • 김광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7-35
    • /
    • 2007
  • 국내에서 가축분뇨 폐기물의 해양배출에 관한 현황 및 정부와 업계의 입장을 살펴보고, 정부(해양수산부 및 농림부)와 업계(대한양돈업협회 및 해양배출협회) 간의 갈등을 해결하는 대책을 검토하였다. 갈등해결을 위한 대책으로서 첫째, 가축분뇨 전량 육상처리의 가능성에 대한 사전 검토, 둘째, 가축분뇨 육상처리에 따른 민원해결방안의 강구, 셋째, 법제화된 규칙의 시행 가능성에 대한 사전검토, 넷째, 양돈업계나 해양배출업계와 같은 관련 업계를 위한 지원 방안의 강구, 다섯째, 국가차원의 폐기물해양배출제도 전면 재검토 등이 제시되었다.

  • PDF

포장과 법률 - '포장재 재질·구조 등급표시 및 분리배출 표시에 관한 고시' 제정(안) 행정예고

  • (사)한국포장협회
    • 월간포장계
    • /
    • 통권331호
    • /
    • pp.88-96
    • /
    • 2020
  • 환경부는 분리배출표시를 재질 중심에서 배출방법 중심으로 변경하여 일반인도 분리배출방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올바른 분리배출을 유도하여 선별 및 재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재생원료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포장재 재질·구조 등급표시 및 분리배출 표시에 관한 고시' 제정(안)을 행정예고했다. 또한 이번 제정안은 각각 존재하던 포장재 재질·구조 등급표시와 분리배출표시 관련 고시를 통합, 업계의 혼란을 줄이려는 목적도 가지고 있다. 다음에 그 주요내용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 PDF

조립라인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볼트 수량 검출기 개발 (Development of bolt quantity detector for productivity improvement of assembly line)

  • 민병로;김덕기;전유태;정준희;이환;유수호;차산이;이대원;오세부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150-150
    • /
    • 2017
  • 조립라인에서 볼트의 수량을 정확하게 검출하는 장치는 작업속도의 향상 및 불량발생을 줄이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현재 조립에 필요한 수량을 작업자의 시각에 의해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증가되고 있으며 특히 조립 과정 중 작업자의 실수로 볼트가 제품의 내부에 침투하여 제품의 소음, 성능저하 및 수명단축을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자의 편의성 및 조립속도 향상을 위해 볼트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수량을 검출하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볼트의 특성에 따라 볼트 선별부의 치수를 수정하면 되도록 하였다. 조립라인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설계는 Auto CAD를 이용하였다. 조립라인의 공간 효율 증가를 위하여 볼트 수량 검출기의 가로${\times}$세로의 크기를 최소로 하여 $220{\times}360{\times}1170mm$로 설계하였다. 받침대는 $60{\times}60$ 프로파일을 이용하였고 다른 구성 부품은 SUS304 재질을 가공하여 조립하였다. 실험은 실험구 마다 100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나타냈으며, 소수점은 시스템에 영향이 없기 때문에 절사하였다. Test 19-27 구간이 배출부가 가장 적게 구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렬부의 각도가 10, $15^{\circ}$의 경우는 볼트와 배출부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구동횟수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20^{\circ}$이상의 각도에서는 볼트가 배출부에 안착하기 전에 하강하기 때문에 반복횟수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최적의 정렬부 각도는 $20^{\circ}$로 나타났다. 볼트의 지름이 3, 5, $7{\phi}$ 일 때 정렬부의 각도에 따른 정렬부의 반복횟수에 대한 결과 값을 한 결과 $20^{\circ}$에서 정렬부의 구동횟수가 가장 적은 것 으로 나타났다. 정렬부의 각도가 큰 경우 구동에 의한 볼트와의 운동에너지의 증가로 반복횟수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