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배아

Search Result 78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배아줄기세포 유래 심근세포의 페이스메이커 기전 연구

  • Kim, Won-Bae;Kim, Min-Cheol;Choe, Seong-U;Kim, Seong-Jun;Yeom, Jae-Beom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7.03a
    • /
    • pp.703-707
    • /
    • 2017
  • 배아줄기세포 유래 심근세포는 심근경색 등으로 심장이 제 기능을 다 하지 못할 때 치료적 목적으로 주사하여 환자의 심기능을 정상화 시키는 데에 쓰인다. 배아줄기세포 유래 심근세포는 페이스메이커 활동을 보이면서 막전압 고정상태에서도 주기적인 일과성 내향전류를 보이는 특징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에 발표된 배아줄기세포 유래 심근세포의 시뮬레이션 모델을 이용하여 어떻게 하여 페이스메이커 활동이 나타나는지 그 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세포내 모든 이온을 고정하였을 때 모델 세포는 여전히 페이스메이커 활동을 보였다. 근장그물내 칼슘 이온을 고정하였을 때도 모델 세포는 페이스메이커 활동을 보였다. 그러나 Na-Ca 교환 전류를 차단하였을 때는 모델 세포의 페이스메이커 활동이 사라졌는데, 여기서 L-type $Ca^{2+}$ 전류의 칼슘 의존성 비활성화 기전을 제거하자 페이스메이커 활동이 지속되었다. 또한 Na-Ca 교환전류와 L-type $Ca^{2+}$ 전류만으로는 페이스메이커 활동이 보이지 않았으나 L-type $Ca^{2+}$ 전류의 크기를 3배로 증가시키자 페이스메이커 활동이 다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배아줄기세포 유래 심근세포의 페이스메이커 활동은 Na-Ca 교환전류와 L-type $Ca^{2+}$ 전류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Na-Ca 교환전류는 L-type $Ca^{2+}$ 전류가 비활성화되지 않도록 칼슘 이온의 농도를 조절하는 데에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 PDF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배아줄기세포 유래 심근세포의 페이스메이커 기전 연구

  • Kim, Won-Bae;Kim, Min-Cheol;Choe, Seong-U;Kim, Seong-Jun;Yeom, Jae-Beom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7.03a
    • /
    • pp.698-702
    • /
    • 2017
  • 배아줄기세포 유래 심근세포는 심근경색 등으로 심장이 제 기능을 다 하지 못할 때 치료적 목적으로 주사하여 환자의 심기능을 정상화 시키는 데에 쓰인다. 배아줄기세포 유래 심근세포는 페이스메이커 활동을 보이면서 막전압 고정상태에서도 주기적인 일과성 내향전류를 보이는 특징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에 발표된 배아줄기세포 유래 심근세포의 시뮬레이션 모델을 이용하여 어떻게 하여 페이스메이커 활동이 나타나는지 그 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세포내 모든 이온을 고정하였을 때 모델 세포는 여전히 페이스메이커 활동을 보였다. 근장그물내 칼슘 이온을 고정하였을 때도 모델 세포는 페이스메이커 활동을 보였다. 그러나 Na-Ca 교환 전류를 차단하였을 때는 모델 세포의 페이스메이커 활동이 사라졌는데, 여기서 L-type $Ca^{2+}$ 전류의 칼슘 의존성 비활성화 기전을 제거하자 페이스메이커 활동이 지속되었다. 또한 Na-Ca 교환전류와 L-type $Ca^{2+}$ 전류만으로는 페이스메이커 활동이 보이지 않았으나 L-type $Ca^{2+}$ 전류의 크기를 3배로 증가시키자 페이스메이커 활동이 다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배아줄기세포 유래 심근세포의 페이스메이커 활동은 Na-Ca 교환전류와 L-type $Ca^{2+}$ 전류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Na-Ca 교환전류는 L-type $Ca^{2+}$ 전류가 비활성화되지 않도록 칼슘 이온의 농도를 조절하는 데에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 PDF

Derivation of Mouse ES Cells from Isolated Blastomeres in Culture Media Supplemented with LIF (LIF를 첨가한 배양액을 이용한 할구 유래 생쥐 배아줄기세포주의 확립)

  • Cho, Jae-Won;Lim, Chun-Kyu;Ko, Duck-Sung;Kang, Hee-Jung;Jun, Jin-Hyun
    •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 /
    • v.12 no.1
    • /
    • pp.77-86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ukemia inhibitory factor (LIF) on the derivation of mouse ES cells from isolated blastomeres. Two-cell stage mouse embryos were obtained from superovulated BDF1 female mice. Collected embryos were cultured to blastocyst stage in culture medium supplemented with 0, 1,000, 2,500 or 5,000 U/mL of LIF. Cultured blastocysts were examined by counting the number of cells in the inner cell mass (ICM) and trophectoderm (TE) using differential staining method. When 2-cell embryos were cultured with 2,500 U/ml of LIF, the cell numbers of ICM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mparing with those of the control($21.0{\pm}4.0$ vs. $15.9{\pm}5.0$, P<0.01) and 1,000 U/mL of LIF-containing group ($21.0{\pm}4.0$ vs. $16.6{\pm}4.9$, P<0.05). We used an ES cell establishment medium with 20% Knockout Serum Replacement and 0.01 mg/mL ACTH instead of fetal bovine serum. Establishing efficacy of ES cell lines were the highest in 2,500 U/mL of LIF-containing group as 36.7% (11/30). This culture medium was applied to the culture of isolated blastomeres and to derivate ES cell lines. Three ES cell lines (21.4%) from isolated blastomeres of 2-cell stage embryos were established. In further experiments, we could establish one ES cell line (4.0%) from single blastomere of 4-cell stage embryo. The subcultured ES cells and their embryoid bodies were characterized by analyzing gene expression for undifferentiation and differentiation marker gene using immunocytochemistry and RT-PCR. In conclusion, LIF supplementation in culture medium could increase the cell number in ICM of blastocysts and support derivation of ES cell lines from isolated blastomeres.

  • PDF

Pregnancy and Implantation Rates Related to Serum Estradiol Concentrations of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in Fresh IVF-ET and Frozen-thawed ET Cycles (과배란 유도에서의 혈중 에스트라디올 농도에 따른 신선주기와 동결-융해 배아이식 주기에서의 임신율과 착상율)

  • Kim, Myo-Kyung;Choi, Su-Jin;Choi, Hye-Won;Bang, Kyoung-Hee;Kim, Hye-Ok;Yang, Kwang-Moon;Koong, Mi-Kyoung;Jun, Jong-Young;Jun, Jin-Hy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4 no.3
    • /
    • pp.197-205
    • /
    • 2007
  • Objective: This study evaluated the pregnancy and implantation rates in fresh IVF-ET cycles or frozen-thawed ET (F-ET) cycles based on serum estradiol concentrations of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COH). Methods: Clinical outcomes of 1,565 cycles of fresh IVF-ET with COH and 670 cycles of F-ET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Serum estradiol levels on the day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administration were categorized into Group-A (1,000$\sim$2,000 pg/ml), Group-B (2,000$\sim$3,000 pg/ml), Group-C (3,000$\sim$4,000 pg/ml) and Group-D (> 4,000 pg/ml). Clinical pregnancy (CPR), implantation (IR) and delivery rates (DR) were compared among four groups subdivided into younger (< 35 years) and older ($\geq$ 35 years) women.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Student's t-test and chi-square test. Results: Overall clinical outcomes with fresh IVF-ET and F-ET cycles were similar: 41.2% vs 44.8% of CPR, 18.8% vs 19.6% of JR, and 33.2% vs 34.5% of DR,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linical outcomes of all four groups between fresh IVF-ET and F-ET cycles of younger women according to the estradiol levels. However, the clinical outcomes of F-ET cycles of older women in Group-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resh IVF-ET cycles (51.3% vs 25.0% of CPR*, 18.6% vs 9.9% of IR and 33.3% vs 19.4% of DR;* p<0.05). Conclusion: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supraphysiological levels of estradiol during COH in fresh IVF-ET cycles of older women ($\geq$ 35 years) may be detrimental to implantation environments of endometrium and clinical outcomes, which could be improved by F-ET cycles.

undefined (난자와 배아의 유전자 발현 양상을 분석을 위한 효과적인 Real Time RT-PCR 방법)

  • 정유정;신현상;최혜원;최향순;김남형;전진현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4.06a
    • /
    • pp.205-205
    • /
    • 2004
  • 최근에 개발된 real time RT-PCR 방법은 소량의 시료에서 특정 유전자의 mRNA 발현 양상을 분석하는데 효율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난자 또는 배아와 같이 성숙과 발생단계에 따라 유전자의 발현 양상이 현저하게 변화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시료에서 발현 양상이 크게 변하지 않는 대조군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전자를 이용한 비교, 분석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생쥐의 난자와 초기 배아를 이용한 real time RT-PCR에서 mRNA의 추출방법과 형광 probe의 사용 유무 그리고 대조군으로 사용되고 있는 유전자들에 대한 검증을 시행하였다. (중략)

  • PDF

중대 뇌동맥 폐색 뇌졸중 (Focal Ischemia) 동물 모델 쥐에 대한 인간 배아줄기세포 이식 효과

  • 윤지연;심인섭;김은영;정길생;이원돈;박세필;임진호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4.06a
    • /
    • pp.270-270
    • /
    • 2004
  • 이 연구는 Ⅰ) 혈관 폐색에 의한 인지 및 기억장애 동물모델에서 뇌졸중 치료제로써 인간배아줄기 세포의 신경세포 보호효과 및 작용기간을 밝히며, Ⅱ) 행동 약리학적 연구를 통해 기억력증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밝히고 혈관 폐색에 의한 동물모델에서의 기억기능 증진 및 세포효과를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중대 뇌동맥 폐색에 의한 쥐의 동물모델은 Sprague Dawley계 흰 쥐(260∼300 g)의 국소 중대뇌동맥을 일시적으로 폐색시켜 만들었다. 본 연구(미국 국립보건원에 등록된 MB03세포)에 사용된 인간배아줄기세포는 3×10⁴ cells/㎠ 밀도의 배양접시 내에서 4일 동안 embryoid bodies(EBs)의 형성을 위해 집합체를 이루도록 유도하였다. (중략)

  • PDF

TGF-$\alpha$로 분화 유도된 인간 배아줄기세포 이식에 따른 파킨슨 동물 모델 생쥐의 행동 개선

  • 이금실;김용식;신현아;조황윤;김은영;이원돈;박세필;임진호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4.06a
    • /
    • pp.271-271
    • /
    • 2004
  • 본 실험은 TGF-a를 처리하여 분화가 유도된 인간배아 줄기세포를 파킨슨 동물모델에 이식하여 숙주세포에서의 생존 및 이식효과를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TGF-a로 분화된 세포의 이식효과를 판정하고자 배양시 TGF-a처리군과 처리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분화를 유도한 인간배아 줄기세포를 hoechst33342로 표지 하여 병변 유발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측 선조체내에 4×10⁴개/2ul가 되도록 이식하고(이식 위치: AP 0.7, ML 2.0, DV3.4) 이식 후 2, 4주에서 행동학적 변화를 관찰하고 4주에 동물을 희생시켜 4% PFA를 이용하여 뇌 조직을 고정하고 뇌 조직은 40㎛ 두께로 동결 절편을 만들어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여 신경세포로의 분화 및 TH 발현 여부를 관찰하였고 분화의 표지물질로 nestin, NF200, GFAP, TH를 사용하여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중략)

  • PDF

DNA Methylation in Development (배아 발생에서의 DNA 메칠화)

  • Choe, Jin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v.5 no.2
    • /
    • pp.100-104
    • /
    • 2008
  • DNA methylation is one of many epigenetic mechanisms that regulate gene expression in the human body. From the view of epigenetics, there are two phases of development, one for germ cell development and another for embryo development. This review will discuss the basic mechanism of methylation, its role in gene expression, and the role of methylation in embryonic reprogramming. Methylation of genes is very critical to embryo development and should be explored further in order to increase our understanding of development.

  • PDF

OBSERVATIONS ON EMBRYONAL DEVELOPMENT OF HUMAN LARYNX (사람 배아의 후두발달에 관한 형태학적 관찰)

  • Choi, Gun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1.06a
    • /
    • pp.13-13
    • /
    • 1991
  • 후두는 호흡기가 시작되는 부위로 후두의 태생학적 연구는 타장기에서와 같이 정상 후두의 해부학적 이해, 후두 기형의 병인의 이해 및 치료에 기초 자료가 된다. 그러나 사람 배아의 후두 발생에 관한 연구는 재료확보가 용이하지 않고 해부학적 난이성으로 매우 드물다. 이에 저자는 사람 배아의 후두 발달을 연구하고자 배령이 확인된 20례의 배아(배령 4 주에서 8 주 까지)의 연속절편에서 광학현미경하에 후두 발달의 형태학적 관찰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배령 4 주에 median pharyngeal groove, laryngotracheal sulcus 와 tracheoesophageal septum 이 관찰되었다. 2. 배령 5 주에 hypopharyngeal eminence, epithelial lamina of larynx와 arytenoid swelling이 관찰되었다. 3. 배령 6 주에 hyoid condensation과 tracheoesophagealfistula가 관찰되었다. 4. 배령 7 주에 epiglottis 가 확인되었고 hyoid bone, thyroid lamina 와 cricoid cartilage 의 condensation 및 muscular condensation 이 관찰되었다. 5. 배령 8 주에 laryngeal cartilage의 chondrification과 ventricle이 관찰되었으며, vestibulotracheal canal과 pharyngotracheal canal 의 교통은 관찰되지 않았다.

  • PDF

Identification of Myelination using Schwann Cells and Neuron Cells (슈반세포와 뉴런세포을 이용한 수초화의 확인)

  • Kim, Ji-Young;Sa, Young-Hee;Hong, Seong-Kar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10a
    • /
    • pp.989-992
    • /
    • 2014
  • Myelination using Schwann cells and neuron cells was performed in rat. Schwann cells and neuron cells from dorsal root ganglion (DRG) of rat embryos (E16) were cultured, respectively. The embryonic DRG cells purified were cultured and anti-mitotic agents were added. Purified the embryonic Schwann cells were cultured and added to the embryonic DRG cells purified. A purified population of myelination in vitro system was accomplished and identified formation of myelination using antibody of neurofilament prote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