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배수통문

Search Result 18,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Numerical Analysis in Hydrograph Determination for Sluice Gate installed Levee (배수통문이 설치된 제방의 설계수위파형결정에 관한 수치해석)

  • Kim, Jin-Man;Choi, Bong-Hyuck;Oh, Eun-Ho;Cho, Won-Beom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v.14 no.4
    • /
    • pp.1-9
    • /
    • 2015
  • According to national regulations and its commentary, such as Rivers Design Criteria & Commentary (KWRA, 2009), Foundation Structure Guideline and its Commentary(MLTM, 2014 and KGS, 2009), the integrity evaluation of river levee includes slope stability evaluation of both riverside/protected low-land and piping stability evaluation with respect to foundation and levee body along with water level conditions. In this case the design hydro-graph can be the most important input factor for the integrity evaluation, however it is fact that the national regulations do not provide any proper determination methods regarding hydro-graph. The authors thus executed an integrity evaluation of sluice gate in levee by changing each hydro-graph factor, including rising ordinary water level, lasting flood water level, falling water level, and flood frequency, in order to suggest a determination method of reasonable hydro-graph. As a result, the authors suggested that at least over 57 hours of rising ordinary water level and over 53 hours of lasting flood water level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design hydro-graph of sluice gate in levee at Mun-san-jae.

Suitability Examination of Flex sensor and FBG Sensor for Levee Safety Management (제방 안전관리를 위한 Flex센서와 FBG센서의 적용성 검토)

  • Lee, In-Je;Lee, Eun-Tae;Kang, Jeong-Hoon;Kim, Dong-Min;Chang, Ki-Ta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1 no.11
    • /
    • pp.1135-1142
    • /
    • 2008
  • Collapse of the levee surrounding structure(culvert) accounts for l0 % of collapse factors of the river levees. In particular, in 2002, the levee collapse that happened at "Nakdong River" at flood usually happened around culverts. This levee collapse has mechanism that the cavity expands with internal erosion at flood after the pore and cavity are formed between culvert and levee copula which are heterogeneity material. The study regarding the cavity or flowing detection around a culvert for safety management of a river levee is in the proceeding.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 of two sensors could be figured out through an experiment about displacement measure of Flex sensor and FBG sensor and the decision of more suitable sensor was possible for safety supervision of river levee. According to an experiment result, several characteristics of FBG sensor could be known in consistency of the measure data and minute displacement measure part regarding displacement measure and this characteristic may supplement a shortcoming of Flex sensor at this time.

Seepage Behaviors on the Box Culvert Side of Enlarged Levee (하천 보축제체의 배수통문 구조물 측면부 침투 특성)

  • Yang, Hakyoung;Kim, Youngmuk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1 no.4
    • /
    • pp.19-30
    • /
    • 2020
  • This numerical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epage characteristics of the side of the structure in the event of leakage from the structural connection part of the drainage structure installed through the enlarged levee,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piping on the stabilization of the levee by the lateral penetration behavior. To take into account lateral seepage behavior, 2D and 3D numerical analyses were performed on the same model, and the effect of lateral seepage was analyzed to assess the validity of the numerical analysis. As a result, when leakage occurs and a lateral seepage is considered with the gate located on the riverside land, the maximum pore water pressure near the leakage point of the structure has been reduced by half compared to the normal seepage state where no leakage occurred. Excessive variation in the pore pressure was shown at the lower part of the structure, especially if lateral seepage is not considered. As a water level rises to the high water level, it shows the hydraulic gradient was larger than the critical hydraulic gradient, which will be vulnerable to long-term piping. If a gate is located in the inland and side seepage is not considered, the effect of the seepage water such as hydraulic gradient and seepage velocity is underestimated compared with the case of considering side seepage. The maximum hydraulic gradient is relatively small when lateral seepage is neglected if a gate is located in the riverside land and there was might be a risk of piping or loss of material. In addition, the period exceeding the critical hydraulic gradient was interpreted as a short time zone. As a result, it is considered that the possibility of piping can be underestimated if side seepage is ignored.

A Study on River Water Usage by Real-time Discharge Measurement (실시간 유량계측을 이용한 하천수사용량 검토)

  • Cho, Sang UK;Song, Jae Hyeon;Roh, Young Sin;Jung, Sung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49-249
    • /
    • 2018
  • 기존의 하천수사용량 자료의 계측은 하천수 사용자의 취수여건을 고려하여 유량계 외에 가동시간에 따른 환산유량 등의 간접적인 계측방법을 인정하고 있어 자료의 객관화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초음파 유속계를 활용하여 기존에 사용하는 간접적인 계측방법을 평가하고 적절한 환산식을 제공하기 위하여 시험유역을 선정하고 계측시설을 설치 및 운영하였다. 하천수 사용량 수집을 위한 시험유역은 만경강의 고산~봉동 수위관측소 구간과 영산호~영암호 구간 연락수로에 ADVM(Acoustic Doppler Velocity Meter) 초음파유속계를 설치하여 실시간 자동유량측정시설을 운영하였다. 만경강의 고산~봉동 수위관측소 구간은 양수장 1개소 및 취입보 3개소의 농업용수 사용과 취수장 1개소의 공업용수 사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구간 내 약 20개의 배수통문 및 배수통관 그리고 하천변을 따라 수지상으로 다수의 농수로가 존재하고 있어 하천유량 파악이 매우 어렵다. 또한 영산호 홍수조절을 위한 영산호와 영암호 배수갑문 연계 운영을 위해 영산호~영암호 구간의 연락수로 유입량을 파악이 필요하나 영산호와 영암호 배수갑문 운영 및 연락수로의 제수문 운영에 따라 연락수로 유입량 파악이 어렵다. 따라서 고산~봉동 수위관측소 구간은 2015년, 영산호~영암호 구간은 2017년부터 실시간 유량계측을 통해 유량자료를 측정하고 구간 내 하천수사용량을 파악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7년 운영성과를 연구범위로 하였으며, 그 결과 기존에 파악이 어려운 유량자료를 직접적인 계측방법을 통해 자료를 객관화 할 수 있었으며 추가적인 물수지 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하천유량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PDF

Model Experiment for Evaluating Internal Erosion Resistance Around Embankment Box-culvert Using Biopolymer T reated Soil (바이오폴리머 혼합토를 활용한 제방 통문 주위 내부침식 저항성 평가를 위한 모형실험)

  • Kim, Minjin;Moon, Junho;Kim, Chanhee;Kim, Younguk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2 no.12
    • /
    • pp.65-70
    • /
    • 2021
  • River-side Embankment collapse involves various causes. The embankment collapse due to internal erosion around embedded structures reaches up to more than 10% in Korea. Many studies are being attempted to prevent from the collapse of the embankment rooted from overtopping and instability as well as internal erosion. One of them is th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biopolymers. The application of biopolymers to soils are divided into enhancing strength, vegetation and erosion resistan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biopolymer treated soil on erosion resistance. The main goal of the study is to obtain basic data for real-scale experiment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biopolymer treated soil embankment including a review of the collapse pattern in the model embankment with various test conditions. The optimized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selected by examining the erosion patterns according to each induction path with three compaction degree of the model embankment.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internal erosion rate in the embankment to which the biopolymer treated soil was applied is greatly reduced, and it could be concluded that it might be applied to the actual embankment. However, in this study, the conclusion was drawn only within the scaled-down model embankment. In order to practically apply the biopolymer treated soil to the embankment, the study considering the scale effect would be needed.

A Study on Previous Plan for Levee Leakage Monitoring Sensors (제방누수감지센서 설치를 위한 사전계획 연구)

  • Park, Kyoung-Won;Jung, Kwan-Su;Lee, Gwang-Man;Hwang, Eui-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69-673
    • /
    • 2012
  • 제방안전성 모니터링은 제방파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근래에 미국은 2005년 허리케인 카타리나에 의해 2,000여명의 인명손실을 경험하였고 2011년 3월 일본은 도후쿠지역의 초강력 지진에 의한 쓰나미로 인해 수만명의 인명과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의 침수로 지금까지 방사능 누출 차단작업을 벌이고 있다. 국내에서는 4대강 복원사업으로 주요 국가 하천 구간에서 홍수 및 체제 불안정에 의한 제방붕괴사고위험이 현격하게 줄어들었으나 제방의 안전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즉 신설된 보 주변, 배수통문 신설구간 그리고 제방누수 예상지점 등에서는 아직 안전한 상태라고 확신할 수 없으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섬유를 이용하여 개발한 간극수압 및 온도 센서 등을 위험예상지점에 설치하고 정보시스템을 통하여 어떻게 관리 할 것인가에 대한 사전 검토를 계획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방에 센서를 설치하기 전에 주요 검토사항에 대하여 연구분석하였다. 주요 검토사항에는 설치하고자 하는 지점의 제방거동 메커니즘 예측, 왜 계측시스템을 설치하는지에 대한 목적에 대한 평가, 설치 지점의 제방의 토질공학적 문제점 파악, 모니터링 대상 매개변수 혹은 항목 선정, 조사대상 항목의 변화정도를 예측하여 거동 범위 확정, 적정 계측기기 설치 지점을 선청, 계측기기 선정, 자동화 혹은 실시간 정보시스템에 필요한 사항 결정, 관측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의 기록 계획, 정보의 타당성 확보를 위한 필요사항 정립, 비용의 결정, 장기 예측 계획, 정기 검 보정 및 관리 계획, 자료수집 및 관리계획, 자원의 공조 및 생애주기 비용 등을 포함하였다.

  • PDF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of River Infrastructures for Life-Cycle Management (생애주기관리를 위한 하천 시설물 성능평가모델에 관한 연구)

  • Yun, Gwan Seon;Kim, Boram;Kim, Hyung-Jun;Yoon, Kwang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98-298
    • /
    • 2020
  • 하천 혹은 그 인근에 설치된 시설물은 수문, 통문, 제방, 댐, 보, 배수펌프장, 상·하수도, 하구둑 등이 존재한다. 이러한 하천 시설물은 홍수나 가뭄 등 수해를 저감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많은 하천 시설물은 노후화, 기후변화, 하천환경변화 등으로 구조적 혹은 기능적 안정성의 저하가 우려되는 실정이다. 시설물 유형별 고령화율을 살펴보면, 댐, 하천, 상하수도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준공연수가 30년을 초과한 하천 시설물은 약 40%를 넘어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천시설물의 관리 구조는 시설물 설치단계까지만 치중되었으며, 이후 계획 재수립 단계까지의 평가 및 모니터링, 유지관리, 정보관리 등에 이르는 선순환 구조가 미흡한 실정이다. 시설물의 노후화에 따라 유지관리 비용이 증가하며,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시기에 시설물 점검 및 유지보수가 매우 중요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국가주요시설물은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으며, 시설물통합정보관리시스템(Facility Management System; FMS)에 안전등급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FMS의 하천 시설물 안전등급 현황을 기반으로 시설물의 효과적인 생애주기관리를 위해 하천 시설물의 성능평가모델을 제안하였다. 성능평가모델은 하천 시설물의 사용연수에 따른 안전등급의 예측이 가능하며, 관리자 측면에서 예산투입 등의 의사결정 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