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배수성

Search Result 1,88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Production of Tetraploid Embryos with Induction of Diploid Gametes in Chicken (닭에서 2배수성 배우자 생성에 의한 4배수성 생명체의 생산)

  • 여정수;정경진;정익정;정선부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17 no.1
    • /
    • pp.1-6
    • /
    • 1990
  • For the production of tetraploid embryos in chicken through induction of diploid gametes. The experiment was found results as follows; 1. Induction of diploid sperm was observed 11% from embryos of normal females and males at 12 days after injection of 0.37mg per 2kg body weight for three days. 2. 3 among 109 embryos from crosses of diploid gametes induced by TEM were found as tetraploid. 3. Genetic structures of tetraploid embryos were indentified as normal 4 pairs chromosomes without certain variation.

  • PDF

Application of Fluent Model for Surface Drainage Analysis on Bridge (교면에서 표면배수 해석을 위한 Fluent 모형 적용)

  • Kim, Jung Soo;Lee, Sung Ho;Cho, Hyun Ho;Han, Chung Suc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51-251
    • /
    • 2018
  • 도로설계기준(2012)에 따르면 노면 배수시설은 측구, 집수정, 배수관, 배수구(빗물받이, 맨홀) 등으로 구성되며 중앙분리대 배수에서 구조가 방호벽일 경우 원칙적으로 집수정과 종배수관, 횡배수관을 설치하여 노면수를 배수한다.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국지성 집중호우로 교량 배수시설의 배수능력 부족으로 교량의 노후화, 노면의 체수와 수막현상을 야기한다. 교량 설계 시, 교량의 외관은 점배수에 의한 배수불량으로 막힘부에서의 식물생육, 부식, 배수구의 오염 등으로 심미성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국토교통부 도로 배수시설 설계 및 관리지침에서는 기존의 집수정으로 유도하여 배수하는 점배수 형태에서 우수의 지체시간을 저감하기 위해 배수구로 즉시 배수되어 배수 효율을 증가시켜주는 선배수시설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선배수 구조의 일반적인 내용만을 기술하고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계기준이 필요하다. 또한 국내에서는 교면 배수를 위한 횡배수구의 배수능력에 관한 설계 개념은 미국의 빗물받이 설계 개념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어서 교량 배수시설의 배수능력 증대를 위한 수치 및 수리실험에 관한 기술적인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도로의 흐름해석 및 선배수를 위한 측구 횡배수관의 흐름개선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배수로 전반의 유향 분석 및 횡유입관 유입부에서의 상세한 흐름해석과 통수능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수리실험을 통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최적 횡배수관의 형상 및 간격 설정에 대한 수리실험의 물리적 및 시간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Fluent 모형(Ansys Workbench 13.0)을 활용한 수치모의를 수행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다상유동 해석을 위해 VOF(Volume of Fluid)방법을 적용하였고, 수치해석 방법으로는 비정상류, 난류 모형으로는 standard ${\kappa}-{\varepsilon}$모형을 적용했다. 도로 형상에 따른 우수유출량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횡경사는 2%로 고정하고 종경사를 2%로 선정하여 수치모의를 통한 배수능력을 분석하고 설계에 직접적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횡배수관의 간격변화 및 배수공의 위치 변화 등에 따른 차집량을 분석하였으며, 개략적인 수리실험 결과와 수치모의의 차집율을 비교 및 분석하여 Fluent 모형의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횡배수관의 유입부에서의 유속 변화 및 유출부에서의 유속이 모의가 가능하므로 배수시설에서 보다 정확한 흐름 해석이 가능하여 보다 적정한 배수능력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soil drainage characteristics of undisturbed soil columns and their responses to rainfall (불교란 토양칼럼에서의 자연강우에 대한 토양배수특성 연구)

  • Lee Ju-Young;Lee Ki-Chul;Chon Chul-Min;Kim Jae-G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6.04a
    • /
    • pp.379-38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토지이용의 불교란 토양칼럼 시료를 대상으로 토양 물리화학 특성 및 자연강우에 대한 토양배수 양상을 분석하였다. 공극률은 토양컬럼에서의 유효공극률과 투수계수 및 자연강우에 대한 배수율과 대체로 정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미국 통일분류법에 따라 토양을 분류하였을 때 소성성이 낮은 실트질 토양과 점토질 토양은 유효공극률이 낮으면서 배수율도 낮고, 소성성이 없는 실트질이 섞인 자갈(유구-논)과 실트질 모래는 유효공극률이 비교적 높으면서 배수율이 다소 높았다. 불교란 토양컬럼을 완전 포화상태에서 자연배수할 때 대부분의 토양은 50시간 전후로 거의 다. 배수되며 $150{\sim}200$시간 경과되면 거의 모든 토양에서 완전배수가 되었다. 일부 500여시간이 경과되어도 지속적으로 배수되는 토양이 있는데 이는 토양수분보유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배수량으로 가정한 함양량 실측실험에서는 오송(전의)임야 > 무주-밭, 무주-논 > 유구-임야 > 김해-밭 > 유구-논, 유구-밭 순으로 높았으며 이들 시료들의 함양률은 50% 이상이었다. 토성에 따른 자연강우 배수상태를 보면, 소성성이 낮은 실트질 토양의 배수율이 낮고, 실트질 모래는 다양한 배수상태를 보이나 대체로 배수율이 높다. 그리고 1차, 2차 실험에서 선행 강우 5mm 미만은 토양배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석고의 배수성에 관한 계통적 연구

  • 한국양회공업협회
    • Cement
    • /
    • s.61
    • /
    • pp.58-63
    • /
    • 1975
  • 1) 본연구논문은 Zement-Kalk-Gips 1975년도 8월호에 게재된 TH Chavatal씨의 $\ulcorner$Systematische Versucke zur Hydrophbierung des Gipses$\lrcorner$를 번역 발췌한 것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 현재 사용가능한 agent 중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을 선택하여 석고에 장기 배수성을 가지게 하는 것이 가능한가의 여부에 대한 실험 결과이다. 3) 원필자의 실험은 28일간 계속되었으며 $\alpha$형 및 $\beta$형 반수석고에 대해 물의 흡수, 강도변화, 체적의 감소 및 표면의 손상 등에 대해 계통적으로 실험하였다. 4) $\alpha$형 및 $\beta$형 반수석고에 대해 어떤 agent도 안전히 배수성을 가지게 할 수는 없었으며 이 두 석고의 물에 대한 저항은 거의 대동소이하였다.

  • PDF

A Study of stability gaining on tidal gate structure by scouring at soft foundation (연약지반에서 세굴에 의한 배수갑문 안정성 확보를 위한 연구)

  • Choi, Byung-Kyu;Kim, Kyoung-Wook;Jung, Yo-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832-836
    • /
    • 2009
  • 공유수면을 간척 또는 매립하여 국토를 확장하여 산업화 도시화에 따른 토지수요 용도변경에 대처하여 국가발전의 균형을 유지하는 목적으로 수행하는 간척사업 시설중 중요한 시설인 배수갑문은 외수(해수)의 차단 및 내수배제를 통한 침수피해 경감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02년 태풍 "루사" 등 수공구조물의 설계빈도를 초과하는 폭우 발생으로 인한 홍수피해가 발생하고 배수갑문 설계시보다 유입홍수량이 증가하여 홍수시 수위가 계획홍수위 이상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아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배수갑문의 확장사업이 실시되고 있다. 그 첫 번째 사업으로 아산만방조제 배수갑문의 확장을 실시하였다. 아산만방조재 신설 배수갑문의 위치가 연약지반으로 형성되어 있어 신설 배수갑문을 통한 방류시 고속의 수류로 인한 바다측 물받이공 하류부의 세굴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며, 이로 인한 배수갑문의 붕괴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갑문 하류에 정수지형 물받이공을 설치하여 고속으로 방류되는 방류수의 유속을 저감시켜 세굴의 발생이 최소화하여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하였다. 정수지형 물받이공의 효과 및 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3차원 수치해석 FLOW-3D모형을 적용하여 수평물받이공과 정수지형 물받이공의 유속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정수지 말단부에서 정수지 시점부와 비교하여 유속감소는 최대 약 49%, 평균 약 39%의 유속 감세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나 정수지형 물받이공을 통한 세굴 감소효과로 아산만방조제 배수갑문의 세굴에 의한 안정성은 확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velopment of Octagonal Gibbs' model: An application to urban drainage networks (8방향 깁스 모형 개발: 도시유역 적용성을 중심으로)

  • Hwang, Junshik;Seo, Y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97-97
    • /
    • 2015
  • 최근 몇 년간 발생한 도시홍수 피해의 주요 원인은 배수관망의 통수능 부족 때문이다. 2010년과 2011년에 연이어 발생한 서울시 침수피해의 주된 원인도 통수능 부족이라는 것을 관련된 보고서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진행중이거나 계획중인 주요 침수지구의 '하수관거 종합정비 사업'은 주로 합류식 우수관거의 통수능 확보를 위한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침수지역의 관거 통수능 확보를 위한 관경확대는 관거확대 공사비용, 공사에 따르는 교통정체, 주거지역 시민의 피해, 제한된 공사비 등 여러 측면에서 제한될 수 있다. 배수망의 평면계획은 배수망의 유출반응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 경우 관경확대 이외의 다른 대안으로 합류식 우수관거의 평면계획을 새로이 검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덟 방향 깁스모형을 개발하여 기존의 네 방향 깁스모형과 비교하여 배수관망을 더욱 정확히 표현하도록 하였으며, 개발된 깁스모형을 활용하여 신월지구의 배수망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깁스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신월지구의 최적 배수관망 평면계획을 SWMM 모델에 적용하여 기존 배수관망 시스템과 최적 배수관망 시스템의 효율성을 검토하고 도시유역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깁스모형의 도시 배수망에의 적용성을 높임과 동시에 배수망의 평면계획을 이용하여 유출량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 Evaluation of Resistances in Porous Asphalt Concrete Mixtures due to Repeated Cyclic Freeze-Thawing (배수성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물의 반복 동결융해 저항성 평가)

  • Jo, Shin Haeng;Kim, Nakseo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2 no.1D
    • /
    • pp.33-39
    • /
    • 2012
  • More and more pavements are suffering from damage these days due to the below-zero winter temperatures and frequent snowfalls. From this research, the freeze-thawing mechanisms of pavements will be observed, and the freeze-thawing resistance of porous asphalt concrete mixture is to be evaluated according to various assessment methods.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hrough applying rigid and flexible pavements to freeze-thawing resistance experiments, which include various experiments such as deformation rate measurements, Lottman tests, repeated cyclic freeze-thawing experiments, stripping resistance tests and so on. Test results revealed that the porous asphalt concrete had less deformations according to temperatures compared to dense-graded asphalt concrete due to the 20% void gap.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reeze-thawing repetition experiments which are effected by moisture, the porous asphalt concrete mixture showed superior resistance to repeated cyclic freeze-thawing compared to other asphalt concrete mixtures due to the drainage and the voids within the specimen.

A Cytogenetic Study on Induction of Diploid Spermatozoa in Poultry (가금류 정자 세포의 배수성 유기를 위한 세포 유전학적 연구)

  • 김철욱;손시환;전익수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23 no.1
    • /
    • pp.1-7
    • /
    • 1996
  • In order to produce polyploid quail, the patterns of spermatogenesis and induction of diploid spermatozoa were analyzed by administration of spindle fiber inhibitor agent. Colcemid at the dose level of 37 $\mu\textrm{g}$ /100 g BW was Injected intraperitoneally to 50 Japanese quail males for 3 consecutive days. Five to 20 days after the first colcemid injection, the metaphase spreads from mitotic spermatogonia, primary spermatocyte and secondary spermatocyte were observed. By cytogenetic analysis, 9.4% of spermatogonia and spermatocyte cells in germ cells from the treated males was found to be polyploid cells. As compared with colcemld treated, the males with non-treated colcemid had only 2.3% polyploid cells in germ cells. The induction of diploid germ cells was highest in 10 days after the first colcemid injection and was lowest in 5 days after the first colcemid injec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between 10 to 15 days before maturation of the spermatozoa, the male germ cells were most sensitive to colcemid treatment. Spindle fiber inhibitor agent was also more sensitive to mitotic division of spermatogonia than meiotic division of primary and secondary spermatocyte.

  • PDF

Diagnosis and of Improvement of Brined Drainage Problems on Fairway Soil (페어웨이 지반 토양의 배수불량 원인분석과 개선방안)

  • Lee, Jung-Ho;Lee, Jong-Min;Joo, Young-Kyoo
    • Proceedings of the Turfgras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1.02a
    • /
    • pp.11-21
    • /
    • 2011
  • 경기도 여주군의 R골프장에서 페어웨이 건설 시 토양조사 및 적절한 토양개량이 실시되지 않아 배수불량지역의 발생한 것으로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원인 분석결과 토양 경화로 인한 토양 물리성이 악화되어 있어, 투수에 의한 토양 하부층으로의 배수능력이 저조하여 배수 불량의 직접 원인이 되었다. 또 재배 지역의 토양과 이식 지역의 토성이 달라 이식 후 토양에 이질층이 형성되어 수분의 하층 이동이 원활하지 못해 배수 불량의 원인되고 잔디의 생육이 나빠지게 되었다. 배수불량의 결과로 인해 토양 내 산소가 부족하게 되어 토양이 환원 상태가 되면서 혐기성 미생물의 생육이 증가하고, 메탄가스가 축적되고 악취를 유발시키며 토양의 공기순환이 자유롭지 못해 식재된 잔디의 뿌리 생장에 악영향을 주어 결과적으로 잔디 생육이 불량하게 되는 연쇄적인 문제가 발생하였다. 골프장 운영 중 잔디 지반의 문제로 잔디 생육 불량을 초래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인들을 제거하기 위해 골프코스 건설시 모재 토양의 사전 조사 및 잔디 지반으로서의 적합성에 대하여 반드시 실험 분석하여야 하며, 건설 후 지반의 배수불량을 개선하기 위해서 배수구 설치, Sand capping, 잔디 보식, 토양개량재의 사용, 배토 등 경종적 관리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배수불량지역의 개선과 잔디생육 정상화를 시행하였다.

  • PDF

Evaluation of Applicability of Platform Fill Horizontal Drain Pipe System (선재하 수평배수관망 시스템의 적용성 평가)

  • Yoo, Chanho;Han, Yeonjin;Kang, Sooyoung;Baek, Seungcheol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3 no.3
    • /
    • pp.77-83
    • /
    • 2012
  • The most of horizontal drainages, which is composed of the aggregates made of sand and crushed stone, are used to improve the soft ground. However, where the aggregates are used as the horizontal drainage, it often brings about the delay of consolidation. For this reason, the horizontal drain pipe system is applied to properly improve the soft ground using a drainage pipe instead of horizontal drainage. This system is direct drain method for disappearing the excess porewater pressure which is caused by placing of fill on the soft ground. The large-scale field test was conducted in order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and constructability of the horizontal drain pipe system. The settlement characteristics of improved ground with horizontal drain pipe system was observed. It is also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oft ground improvement method to confirm its effectiv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