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배설물 분석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에 서식하는 고라니($Hydropotes$ $inermis$) 먹이식물의 미세조직분석법 적용 가능성 연구 (Potential for Application of Microhistological Analysis in Diet Plants of Korean Water Deer($Hydropotes$ $inermis$))

  • 김의경;박영철;김원명;김종국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2-199
    • /
    • 2012
  • 본 연구는 2006년 9월부터 10월까지 고라니가 주요하게 섭식하는 먹이식물에 대한 정보를 얻는데 있어 배설물에 포함된 식물세포의 미세조직분석 방법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고라니 먹이식물의 미세조직분석을 위해 배설물로부터 고구마, 딸기, 콩, 칡 등 4가지 식물의 배설물 식물세포를 준비한 후 이들의 세포를 대조식물세포의 세포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배설물 식물세포의 4가지 식물종의 세포는 모용의 기저 세포의 형태와 선단의 모양, 표피세포의 형태, 기공복합체의 구성 및 세포 모양, 장세포의 나열 형태와 세포에 포함되어 있는 결정체의 유무로 식물의 동정이 가능하였다. 배설물 식물세포와 대조식물세포를 비교 분석한 결과 배설물에서 나온 식물의 세포와 대조 식물세포에서 발견된 식물의 세포는 모용, 표피세포, 기공, 장세포가 모두 동일한 형태를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방법을 적용하여 고라니의 섭식 식물종과 연관된 세포 도감을 작성한다면 향후 고라니 및 유사 초식동물들의 식이습성을 및 기후변화에 따른 행동생태 연구에 유용할 것이다.

일본송사리에서 TCDD 및 PCB 126의 흡수 및 배설 (Uptake and Elimination of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TCDD) and 3,3 ,4,4 ,5-pentachlorobiphenyl(PCB126) in Japanese Medaka(Oryzias latipes))

  • 김영철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31-139
    • /
    • 2002
  • 초기생애단계의 일본송사리를 실험어류로 사용하여 TCDD와 PCB 126의 생물농축정도를 비교 측정하였고, TCDD와 PCB 126의 체외 배설에 대한 동태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생물농축실험은 초기생애단계의 새끼치어 및 어린 물고기에 TCDD와 PCB 126을 여러 농도로 물에 용해시켜 96시간 동안 정체된 상태로 폭로시킨 후 생물농축계수(BCF)와 지방-표준화한 생물농축계수(BCF$_{L}$)를 측정하였다. TCDD와 PCB 126의 일본송사리 초기생애단계의 새끼치어 및 어린 물고기에서 측정된 96-h BCF값 및 96-h BCF$_{L}$값은 폭로된 농도와 상관없이 비슷하게 나타나 반면, 생체크기가 클수록 그 값은 작게 나타났다. 일본송사리 새끼치어, 어린 물고기, 성어의 생체 내 총 지방함량은 각각 5.7, 4.2, 4.6%로 측정되었다. 체외배설 동태실험은 어린 물고기에 TCDD와 PCB 126을 3가지 농도롤 물에 용해시켜 96시간 동안 정체된 상태로 폭로시킨 후, flow-through장치로 공급되는 맑은 물로 옮겨 42일간 사양하면서 0, 7, 14, 21, 28, 42일에 생체 내 TCDD와 PCB 126 잔류량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배설은 1차 반응속도론적으로 이루어졌으며 한 구획모형보다 두 구획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두 구획모형을 사용한 분석에서 TCDD와 PCB 126의 체외배설 반감기(t$\frac{1}{2}$) 및 배설속도상수($\beta$)는 각각 27.2일과 32.3일 및 0.025/d와 0.021/d로 측정되었다.

지리산국립공원 반달가슴곰의 배설물을 통한 먹이원 분석 (Analysis of Asiatic Black Bear's foods by using Scats in the Jirisan National Park)

  • 정대호;서문홍;송동주;최은혜;이사현;이용학;조재운;송병철;양두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65-873
    • /
    • 2016
  • 지리산국립공원 반달가슴곰은 2004년부터 러시아 연해주, 북한, 중국 동북부 일대와 서식지외 보전기관인 서울대공원에서의 재도입을 통해 복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배설물을 통해 식이물을 분석하여 반달가슴곰의 먹이습성, 지리산국립공원에서의 먹이 자원 환경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2005년부터 2013년 사이에 무선 위치 모니터링이 가능한 반달가슴곰 배설물 78점을 채집하여 먹이원을 분석한 결과 상대출현빈도는 식물이 7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곤충 12.8%, 포유류 5.6%, 기타 3.6%, 조류 0.5%, 절지동물문 0.5%의 순이었다. 또한 수집한 배설물 중 건중량을 측정한 52점 대상으로 먹이 비(ratio)를 분석한 결과 식물이 91.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포유류 3.6%, 곤충류 1.0%, 기타 4.2%의 순이었다. 배설물을 통한 먹이원 분석 연구 결과 지리산에 서식하는 반달가슴곰은 잡식성이며, 동물성 먹이보다 식물성 먹이가 주 먹이원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서시천에서 수달(Lutra lutra) 배설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Feces Distribution of Otter(Lutra lutra) Population in Seosi Stream)

  • 김우열;진선덕;빙기창;박치영;이두표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3권1호
    • /
    • pp.118-127
    • /
    • 2010
  • 본 연구는 전남 구례군 서시천에서 수달 배설물의 분포특성과 밀도를 조사한 것이다. 조사는 7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2006년 1월부터 12월까지 6회에 걸쳐 배설지점수, 구배설물수, 신배설물수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전 구간에서 배설지점수 222지점, 구배설물수 662개(60일 환산 718개), 신배설물수 364개가 관찰되었고 이들 모두 1월에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500m 거리당 평균밀도는 배설지점수가 26.9지점, 구배설물수가 88.6개, 신배설물수가 44.4개로 나타났다. 이들에 대하여 각각 구간별 비율의 월 변동을 분석한 결과 수달이 연중 특별히 선호하는 구간은 없으며 서시천의 전 구간을 고루 이용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문둥이박쥐(Eptesicus serotinus)의 배설물을 이용한 먹이원 분석 (The Diet Composition of the Serotine Bat, Eptesicus serotinus Revealed by Faecal Analysis)

  • 정철운;한상훈;차진열;김성철;김정진;정종철;임춘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68-373
    • /
    • 2015
  • 문둥이박쥐(Eptesicus serotinus)의 먹이원 구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총 25개체의 암컷 성체로부터 배설물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박쥐의 포획은 경북 안동시의 문둥이박쥐 집단 서식지가 확인된 교량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4년 5월부터 9월까지 매월 5개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총 100개의 배설물이 수집되었으며, 고배율 현미경(50 ${\times}$ binocular microscope)을 이용하여 곤충의 목(Order)별로 구기(mouthpart), 다리(leg), 날개(wing), 더듬이(antenna), 딱지날개(elytra) 등 구분할 수 있는 특징을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배설물 분석결과 문둥이박쥐의 먹이원으로 이용된 분류군은 딱정벌레목(Coleoptera), 벌목(Hymenoptera), 파리목(Diptera), 노린재목(Hemiptera) 등 4개였다. 먹이원 가운데 딱정벌레목은 6월을 제외하고 5, 7, 8, 9월 모두에서 확인되었으며, 특히 5월과 7월에는 오직 딱정벌레목만 확인되었다. 그 외 노린재목, 파리목, 벌목은 각각 9월, 6월, 8월에 먹이원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원도 홍천강 유역의 수달 서식지 이용 (Use of stream environment by river otters in Hongcheon river, Gangwon Province, Korea)

  • 이상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02-406
    • /
    • 2015
  • 본 연구는 강원도 홍천강 유역에 서식하는 수달이 선호하는 지역을 파악하기 위해 수달의 배설물을 이용하여 하천환경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수달의 배설물은 영역표시 및 서식지이용에 대한 근거로 활용되기 때문이며, 이를 통한 하천의 주요 서식지를 확인할 수 있다. 내촌천과 군업천의 수달은 2009-2011년 총 8회 기간에 478개의 서식흔적이 발견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조사되었으며 서식지 이용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분산지수를 활용하였다. 두 하천 모두 계절적 이용의 변화가 나타났으며, 분산지수 값 1은 배설물이 집중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하천 이용이 임의적이 아닌 것임을 나타내었다. 수달은 하천 주변의 5m 이내의 지역이며, 어류와 잔목이 풍부한 수변지역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달의 서식지 이용에 대한 정확한 환경조건을 파악하기 위한 모델의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강원도 홍천강 유역에 서식하는 수달의 서식지이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river otter habitat use pattern on Hongchun river in Gangwon province)

  • 박보현;이상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13-418
    • /
    • 2012
  • 본 연구는 수달이 선호하는 서식환경 알아보기 위하여 수달의 배설물을 이용한 서식 환경 분석과 육안 분석 방법을 수행하였다. 강원도 홍천군 화촌면 일대의 홍천강 상류 수계인 내촌천과 군업천 두 하천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였다. 2009년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2010년 11월 총 8회의 조사기간 동안 총 478개의 수달의 서식흔적 (배설물, 분비물, 족흔 등)을 발견하였다. 수달의 서식흔적이 발견되는 지점의 하천환경은 대체로 하천의 깊이가 얕은 곳(0.5-1m)과 유속이 느린 곳(5m/sec)으로 나타났다. 또한, 바위와 기반암에서 많은 서식흔적을 발견하였지만, 제방과 같은 인공구조물에서는 거의 서식흔적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수달의 서식환경과 식이물 분석을 통한 수달의 생태학적 연구는 수달 개체군의 보전과 수달 서식지의 보호를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양서류 발생란의 물질대사에 관한 연구 2. Amino Acid Pattern 과 Nitrogen End Products 에 관하여 (Studies on the Metabolism of the Amphibian Embryo 2. Patterns of Amino Acids and Nitrogen End Products)

  • 하두봉;이양림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3-38
    • /
    • 1964
  • 한국산 도롱뇽 (Hynobius leechi BOULENGER) 발생배의 질소화합물의 대사를 연구하고져 발생단계에 따른 단백질구성(아미노) 산의 촉진(아미노) 산의 정성적 분석과 질소 배설물(ammonia, urea, uric acid, creatine and/or creatinine, total nitrogen)의 정량분석을 미수정란, 란할배, 포배, 양배, 신경배 및 부화직전의 배에 대하여 행하였다. 1. 발생단계에 따른 발생배내 단백질구성 (아미노산)은 전 단계를 통하여 일양하게 18종씩 검출되어TRh 유리 (아미노산) 은 17 내지 23 종 검출되었으며, 전체적으로 유리(아미노산) 분포상에 큰 변화가 없었다. 2. 발생단계에 따른 질소배설물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같다. Ammonia 와 urea 의 배내 함량은 미수정란에서부터 양배까지 점차 감소하여 양배 이후 부화직전배까지 급격히 증가한다. Uric acid의 함량은 전 단계를 통해 미소하였으며 creating and/or creatininie 은 본 실험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3. 발생단계에 따른 발생배내 ammonia 함량에 대한 sodium azide의 영향은 농도에 따라 이원적인 특이성을 가지고 있었다.

  • PDF

지리산국립공원 세석평전 일대 설치류에 의한 구상나무 피해실태 및 가해 의심종 구명 (A Study on Actual Condition of Damaged Korean Fir(Abies koreana) Caused by Rodents and Identifying Suspected Species in Seseokpyeongjeon Area of Jirisan National Park)

  • 박홍철;김혜리;김지영;김현호;허덕경;이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98-206
    • /
    • 2020
  •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 세석평전 일대 설치류에 의한 수목피해실태를 조사하고, 피해목 주변에서 확인된 설치류 배설물 분석을 통하여 가해 의심종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피해목 조사는 대상지 내 탐방로를 중심으로 접근과 육안관찰이 가능한 지역에 한해 수종에 관계없이 실시하였으며, 가해 의심종 확인을 위해 피해목 주변 설치류 배설물에 대한 미토콘드리아 DNA Cyt-b의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설치류에 의한 피해목은 총 52개체로 모두 구상나무로 확인되었으며, 구상나무가 높은 밀도로 군락을 형성하고 있는 곳에서 집중되어 있었다. 수고 1.5m 이상 구상나무가 40개체가 조사되었으며, 이중 39개체는 피해 입은 가지부만 고사한 것으로 나타나 수목 전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수고 1.5m 미만 구상나무는 12개체가 조사되었으며, 이중 7개체는 완전히 고사한 것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어린 구상나무가 피해를 입을 경우 고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배설물의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결과 구상나무를 가해한 종은 대륙밭쥐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