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배색 조화

Search Result 4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Harmony of Skin Color and Cohthes Colors based on Moon-Spencer's Colors Harmony Theory (문-스펜서의 색채조화론에 의거한 피부색과 복장색의 조화에 관한 연구)

  • Park, Young-Sil;Kwon, Mi-Jung;Lee, Jeong-Ok;An, Ok-Hee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8 no.6
    • /
    • pp.40-49
    • /
    • 1994
  • 본 연구의 목적은 문-스펜서 색채조화영역별로 피부색과 복장색의 배색이미지를 분석하여 피부색을 기준으로 한 복장색의 의복이미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피부색과 복장색의 배색은 3가지 차원의 인상으로 구성되었다(평가, 활동, 조화). 둘째, 문-스펜서의 색채조화론을 적용하여 시각적 평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조화영역들은 비슷하게 지각됨을 알 수 있었다. 부조화영역간에는 평가차원과 활동차원이 달리 지각됨을 알 수 있다. 셋째, 샛체조화론의 적용으로 분류되는 조화영역별 배색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동일색상들의 배색은 대체로 미도가 높은 편이었다. 제2부조화색상들의 배색은 미도가 낮았다. 유사색상중 빨강색 계열의 배색은 미도가 높았으며 노랑색 계역의 배색은 미도가 낮았다. 제2부조화색 계열, 청녹색 계열의 배색은 미도가 높은 편이며 남색 계열, 보라색 계열의 배색은 대체로 미도가 높았다. 무채색 계열의 배색은 세련된, 아름다운, 사고싶은, 보기좋은, 마음에 드는, 조화된, 멋있는 피부색과 어울리는, 매력있는, 인물이 돋보이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 PDF

A study on the practical color schemes based ont the use of color systems (표색계를 이용한 실용 색채배색 연구)

  • 김학성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no.16
    • /
    • pp.89-98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proposals of the practical color schemes based on the use of color systems. This study focused on the .\lunsell color system, the Ostwald color system and the ISCC ~BS color names i and then selected the Ostwald color harmony and the Judd color hallTIOny in order to establish the general principles of color schemes. The method of color schemes is worked by' the 10 i hues circle of the .\Iunsell color system and the tone system of the ISCC :\BS color names, because our i country have been adopted the "vIunsell color system for the use of color education and the KS. This method is to make the balanced color schemes easily and effectively through color education ..olor education ..

  • PDF

회화에 표현된 한국전통 복색(服色)의 배색특성에 관한 연구

  • 이미경;김혜연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1.04a
    • /
    • pp.42-43
    • /
    • 2001
  • 색상특성은 각 계열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전반적 으로 고명도.저채도 중심으로 황색계열과 청색계열 은 고명도 위주의 분포특성을 보였다. 이어 반하여 적색계열은 비교적 색조의 영역이 넓었으며 고채도 의 분포특성이 두드러졌다. 자색계열은 저명도.중 채도, 녹색계열은 고명도.저채도 중심이었다. 남.녀복의 색조유형으로서 여복에서는 white보다는 tone 중심의 색조특성이 나타났으며. 남복에서는 white를 제외한 tint의 색조유형이 많았다. 이는 당시대인의 백색지향 의식을 대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음양오행론의 배색원리에 의해 검토한 결과 여복 은 상생이 남복보다 낮게 집계되었으며, 반대로 파버 비렌의 색채조화의 배색원리에 의한 검토 철과는 남 복보다 여복의 적용수치가 높았다. 이것은 감각적인 색채조화 보다는 의례적인 성향이 좀 더 징한 남복이 서구의 색채조화의 척도에 적합하지 않은 결과로 추측된다. 전통복의 배색특성은 남녀가 매우 다른 양상을 보 이고 있었다. 여복의 기본 복식구조인 저고리/치마 는 백/청색계열, 백/황색계열과의 배색이 중심으로서 면적대비 및 명도대비에 의한 조화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반면에 저고리의 배색은 유채색과 백색계열 의 배색으로 채도대비의 성향이 강했다. 남복은 황/백색계열. 백/청색계열로 명도의 차가 크지 않았다. 포/띠의 의복 구성에 있어서는 흑색 또 는 적.자색 등의 세조대(細條帶)로 인해 채도대비, 면적대비, 명도대비의 배색효과를 찾아볼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를 통한 한국인의 색사용의 특정은 복식의 전면에 등장하는 백색지향과 음양오 행설을 그 배경으로 하고 있다. 백색위주의 색사용은 인공미가 배제된 자연미의 추구에 기인한 것으로 토착화된 한국의 색으로 볼 수 있다. 백색은 여러 색을 통합하고 배색된 색채착화된 한국의 색으로 볼 수 있다. 백색은 여러 색을 통합하고 배색된 색채들을 담하게 만드는 것이 특징 으로 한국전통 복식의 배색특성을 주도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회화자료를 근거한 것으로 풍속화의 변색 및 탈색에 의해 당시대의 정확한 색채규명이 어려우며, 실물작품이 아닌 도판을 통한 측 색으로 색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음을 연구의 한계 점으로 언급하고자 한다.

  • PDF

Extraction and Use of Aesthetic Mesure from Image and Video (영상과 비디오에서 미도값의 추출 및 활용)

  • Shin, Kwang-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1a
    • /
    • pp.61-62
    • /
    • 2012
  • 문 스펜서는 색채조화 문제를 각각 색채 조화의 범위, 면적 효과, 배색의 미도로 나누었다. 기존의 색채 조화론의 부족한 점을 제거하여 보다 과학적이고 정량적인 조화이론을 전개했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과 비디오에서 일정 부분을 미도 계산에 활용하였다. 감각 기관이 외계로부터 자극을 받아 감각 지각을 생기게 하는 감수성을 말하는 감성으로 취급되는 색채조화 및 부조화의 문제를 수치적으로 계산하였다. 비디오 영상에서 두 가지 색을 식별하여 미도가 좋은 배색인지 아닌지를 나타내었다.

  • PDF

Extraction of Aesthetic Measure from Various Stabilized Image (다양한 정지영상에서 미도값의 추출)

  • Shin, Seong-Yoon;Lee, Hyun-Chang;Rhee, Yang-W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7 no.6
    • /
    • pp.1342-1347
    • /
    • 2013
  • Color harmony of Moon and Spencer is based on the Munsell color harmony theory. This harmony theory is established in the three of harmony and disharmony, the harmony of the area of effect, and Aesthetic Measure of harmony and disharmony. Aesthetic Measure here is how to obtain the quantitative expression of the degree of harmony. American scholar Burkhoff were analyzed with the proposition that beauty of Moon-Spencer is with the order in complexity. In this paper, the good and bad of coloration was divide elements of the order and the complexity. Aesthetic Measure is divided into elements of the complexity from elements of the order. This is utilized in the calculation shown in the various image, problem of color harmony and disharmony, which is treated as a sensibility was calculated by numerically. Thus Aesthetic Measure show was good or bad coloration by determining the color in the various image.

Aesthetic Measure of Video Image (비디오 영상에서 미도 값)

  • Shin, Kwang-Seong;Shin, Seong-Yoon;Rhee, Y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10a
    • /
    • pp.129-130
    • /
    • 2011
  • 문 스펜서는 색채조화 문제를 각각 색채조화의 범위, 면적효과, 배색의 미도로 나누었다. 그리하여 기존의 색채 조화론의 부족한 점을 제거하여 보다 과학적이고 정량적인 조화이론을 전개했다.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 영상의 미도 계산에 활용하여, 감성으로 취급되는 색채조화 및 부조화의 문제를 수치적으로 계산하였다. 그리하여 비디오 영상에서 색을 판별하여 미도가 좋은 배색인지 아닌지를 나타내었다.

  • PDF

The sensibility evaluation of Tone in Tone combination and Tone on Tone combination (톤 인 톤 배색과 톤 온 톤 배색의 감성 평가)

  • Kim, Ji-Hye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3 no.2
    • /
    • pp.301-308
    • /
    • 2010
  • The sensibility effects of color combinations was studied utilizing tone on tone combination and tone in tone combination. A total of 24 color combinations were rated by 10 college students using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Excel statistics program 2004. Analysis method was factor analysis. The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Color combinations utilizing tone on tone and color combinations utilizing tone in tone was evaluated a very different impression. Thus these were found to have an influence on sensibility effects of color combinations. In comparison with appearance of color combination using colored paper and that of product to apply to color combination using colored paper, it was showed to be evaluated mostly similar impression. However By characteristic with product, shape, size and texture, appearance of color combination is likely to be evaluated very difference impressi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ill serve as a basis of color combination image or color design.

  • PDF

The Methods of Harmony in Color Combination of Environmental Color for Apartment -Focused on Iksan City- (아파트 환경색채의 배색 조화 방법 -익산시를 중심으로-)

  • 김주미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6 no.3
    • /
    • pp.329-34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methods of harmony in color combination of environmental color for apartment in order to improve the image of the urban landscape. For this study, apartment in Iksan City was selected is a sample and twenty two apartments were analyzed. This framework of this study is A. Hard and L. Sivik's color combination model based on Natural Color System. This study examines various theories on environmental color perception and new approaches to color aesthetics, and tries to present perceptual properties that can be applied to environmental color design First, the principle of color harmony feeling in based on nuance and tone. Therefore, to control brightness and chromaticness with are related with nuance is important in color combination. Second, the aesthetic experience in color preception can be defined as a combined effect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lor attributes. Third, color harmony theory is one of the areas that can be benefit a great deal from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 add empirical study such as this can be used as a basis for environmental color design and evalu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