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배배양

검색결과 1,900건 처리시간 0.033초

MDCK세포의 tight junction 형성이 Toxoplusmu gondii의 숙주세포 침투에 미치는 효과 (Tight junctional inhibition of entry of Toxoplasma gondii into MDCK cells)

  • 남호우;윤지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8권4호
    • /
    • pp.197-206
    • /
    • 1990
  • MDCK세포간에 형성된 tight junction이 Toxoplasma gondii이 숙주세포 침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 하기 위해 여러 조건의 세포배양을 시행하였다. MDCK세포를 25-well배양기 내의 18-mm cover glass에 $1{\times}10^5,{\;}3{\times}10^5{\;}및{\;}5{\times}10^5$ 개로 분주한 후 배양 1, 2, 3 및 4일에 다수의 Toxoplasma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Giemsa 용액으로 염색한 후 관찰하였을 때, 각 실험군에서 침투한 원충의 숫자는 숙주세포가 포화밀도를 이루면서 급격히 감소하였다. 배양액 내의 calcium 농도를 일반적인 1.8mM에서 $5{\;}{\mu}M$로 낮추어 포화밀도의 MDCK 세포간에 tight junction 형성을 억제하였을 때, 원충의 침투가 약 2배 증가하였으며(p<0.05) 포화밀도 이전의 배양에서는 원충의 침투가 감소하였다. Trypsin-EDTA를 처리하여 포화밀도의 배양에서 tight junction을 소화 시킨 경우, 원충의 침투가 약 2.5배 증가하였으며 (p<0.05) 포화밀도 이전의 배양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 볼 때, 포화밀도의 MDCK세포간에 형성된 tight junction이 Toxoplasma의 침투를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Toxoplasma가 숙주세포로 침투할 때 숙주세포의 막구조에 대한 특이성이 있음을 시사 하며, 상피세포에서는 tight junction 위의 막(apical membrane) 보다 옆 및 아래의 막(basolateral membrane)상의 구조를 이용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생쥐 배아에 미치는 소 수란관 내액의 체외독성 (In Vitro Toxicity of Bovine Oviductal Fluid to the Mouse Embryos)

  • 이영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권1호
    • /
    • pp.29-37
    • /
    • 1998
  • 포유류 배아의 초기발생과정에서 수란관이 하는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소의 수란관내액이 생쥐 2-세포기 배아의 체외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대조군의 경우 5%의 배아만이 체외배양과정 중 퇴화한데 비해 5% 혹은 그 이상의 소의 수란관내액 (bOF)이 함유된 배양액 내에서 배양된 배아는 48시간이 지났을 때 모두 퇴화하였다. bOF를 65 \circ C에서 30분간 가열한 후 배양액에 첨가한 결과 bOF의 독성은 변화가 없었으나 90 \circ C에서 30분간 가열하였을때에는 독성이 거의 사라져 95% 의 배아가 정상적으로 발생하였다. bOF를 chymotrypsin으로 1시간 혹은 24시간동안 처리한 후 배양액에 첨가한 경우에도 독성이 사라져 각각 95.5%의 배아가 상실배 혹은 포배로 발생을 진행하였다. 산화방지제인 10mM 농도의 glutathione (GSH)을 bOF와 함께 배양액에 첨가한 결과 마찬가지로 bOF의 독성이 사라져 91.0%의 배아가 상실배 이상으로 발생한 반면 산화 방지능력이 없는 산화형 GSH(GSSG)를 bOF와 함께 배양액에 처리한 경우에는 bOF의 독성은 전혀 제거되지 않았다. 또한 mercaptoethanol, dithiothreitol, cysteamine 등의 다른 산화방지제도 GSSG와 마찬가지로 bOF의 독성을 제거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로 미루어 소의 수란관내액에는 체외에 노출될 경우 독성을 나타내는 단백질 성분으로 된 물질이 있으며 이 물질의 독성은 대기 중의 산소의 산화작용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 PDF

생물살충제를 위한 곤충병원선충 및 공생박테리아의 in vitro 배양 (In Vitro Culture of Entomopathogenic Nematode with Its Symbiont for Biopesticide)

  • 유연수;박선호
    • KSBB Journal
    • /
    • 제14권3호
    • /
    • pp.303-308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환경친화적인 무공해생물농약 재발을 위하여 곤충병원성 선충의 in vitro 배양방법을 개별하였다. 곤충병원선 층연 Steinernem$\alpha$ glasen 종으로부터 공생박테리아를 분리하여 동정한 결과 Xenorhabdus nem$\alpha$tophllus 종임을 확인하였으며, X enorhabdus nematophilus는 감염단계 선충의 장내에서와 in vitro 배양 동안에 그 생화학적 특성이에서 차이를 보이는 동 질형화 헨상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균주의 최적바지 조성은 5% yeast extract, 0.5% NaCl, $K_2HPO_4$, $0.02% MgSO_4$.$7H_2O$이였으며, $28^{\circ}C$가 최적배양 온도였다, 초기 pH 6-7에 관계 없이 성장이 진행됨에 따라서 약 90까지 층가하였다. Flask 배양에 비해서 fennentortor양에서 균주의 성장속도가 1.4배 빠르게 나타났으나, 그에 따른 상변회도 빠르게 진행되었다. 한편 Steinem$\xi$ma glaseri익 in vitro 배양을 위 힌 인공배지원으로 chIcken offal, dog food, peanut 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최적의 배지는 농축펀 bovine liver로 조사되었으며, 그 농도논 80%일 때 가장 높은 증식을 보였다. 또한 곤충병원선충으로부터 분리된 공생박테리아를 이용한 혼합배양방법은 공생박테리아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보다 선충의 in vitro 증식속도가 2 배 가량 빨랐으며, 15일만에 약 $5.5\times10^4$/mL 의 선충이 수확되였다.

  • PDF

효율적인 생식선 카이메라 생산을 위한 최적 조건 확립에 관한 비교 연구

  • 김진남;박태섭;송권화;이영목;권혁모;한재용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1년도 제18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 PROCEEDINGS
    • /
    • pp.71-73
    • /
    • 2001
  • 본 연구는 원시생식기 유래 원시생식세포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생식선 카이메라 생산 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전체 실험구에서 301마리가 부화하였으며, 이중 수컷 141마리, 암컷 160마리가 성성숙에 도달하였다. 후대 검정을 통하여 수컷 15마리와 암컷 12마리가 생식선 카이메라로 밝혀졌으며, 생식선 카이메라 생산 효율은 평균 9.0%였다. 실험처리구간 생식선 카이메라 생산효율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p=0.6831), 생식선 카이메라의 공여체 유래 자손 생산 효율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실험처리구간 생식선 카이메라의 공여체 유래 자손 생산효율은 피콜처리 없이 10일간 배양한 원시생식세포를 이식하였을 때 가장 높았고 (49.7%), 피콜처리후 배양하지 않은 원시생식세포를 이식하였을 때 가장 낮았다 (0.6%). 또한, 피콜 처리에 상관없이 10일간 배양한 원시생식세포를 이식한 실험구가 배양하지 않은 실험구와 5일간 배양한 실험구보다 각각 50배와 10배 더 높은 전이효율을 나타내었다 (p<0.0001). 따라서, 수용체 배자에 이식하기전에 실시한 체외배양 기간은 효율적인 생식선 카이메라 생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배양 기간, 피콜 처리 유무 등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하여 생식선 카이메라 생산을 위한 최적 조건을 확립하였다.

  • PDF

저온숙성 방법에 따른 생오미자 당절임 농축액인 오미자청의 파일럿 규모 생산 및 품질특성 (Pilot-scale production of Omija-cheong by low temperature incubation: An assessment of quality characteristics)

  • 박미나;고은성;이창주;최준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65-771
    • /
    • 2016
  • 전통적인 저온숙성 당절임 방법을 이용한 오미자청의 제조과정에서 최적의 배양시간을 찾기 위하여 파일럿 규모(1톤)의 연구를 시행하였다. 생오미자와 동일한 량으로 투입된 설탕은 배양시간에 따라 과당과 포도당으로 전환되었으며 오미자청에 존재하는 유리당의 조성은 68일 이상의 배양기간에서는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배양기간에 따른 오미자청의 pH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한 반면, 적정 산도와 유기산의 함량은 배양시간 37일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한 이후 68일 이후에는 일정한 조성을 유지하였다. 생오미자에 존재하는 주요 유기산은 숙신산으로 확인되었으며 오미자청에 존재하는 유기산의 조성 역시 생오미자와 유사하였다. 오미자에 존재하는 주요 생리활성물질인 총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화합물은 60일 이상 배양한 오미자청에서 높은 함량을 보이고 138일까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특히, 오미자청에 함유된 총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화합물의 함량은 생오미자 과육에 비하여 각각 9배와 5배 정도 높은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생오미자를 저온숙성 당절임 방법을 적용하여 오미자청으로 제조 가공하는 과정에서 유리당, 유기산 및 생리활성물질 등에 대한 일정한 품질을 확보를 위해서는 최소 60일 이상의 배양기간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전통적인 저온숙성 당절임 방법으로 제조 가공되는 오미자청의 고품질화와 기능성 음료 개발을 위한 제조 가공공정의 표준화에 유용한 정보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Kasugamycin 생산을 위한 연속 청정생물공정 개발 (Development of Continuous Clean Bioprocess for Kasugamycin Production)

  • 김창준;박선옥;장용근;전계택;이종대;김상용
    • 청정기술
    • /
    • 제4권1호
    • /
    • pp.45-59
    • /
    • 1998
  • 방선균인 Streptomyces kasugaensis에 의해서 생산되는 이차대사산물인 kasugamycin 생산성 증대 및 단위 생산량 당 오염물질 배출량 저감을 위한 연속 고정화 배양을 수행하였다. 세포 고정화에 적합한 포자 수확을 위한 포자형성 촉진 배지 개발은 물론 고정화 담체로 사용한 셀라이트에 수확된 포자를 고정화시키는 방법을 확립하였다. 연속 고정화 배양 시 고정화세포의 유출을 방지함으로써 안정된 연속배양을 가능토록 하기위한 decantor 형태의 고정화세포 분리기가 장착된 반응기를 사용하였다. 희석 속도 및 공급액 중의 기질 농도(당 농도, 인 농도)를 변화시키며 생합성된 kasugamycin 생산성 및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을 측정하였으며 이들을 현탁세포를 이용한 회분식 발효에서의 kasugamycin 생산성 및 발효 폐액 중의 COD 값과 비교하였다. 고정화 세포를 이용한 연속배양에서의 kasugamycin 생산성이 현탁세포를 이용한 회분식 발효에 비해 2.5배 높았으며, 동시에 단위 생산량 당 COD가 2.3배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으로부터 연속 고정화 배양이 현탁 회분식 배양에 비해 kasugamycin 생산성 및 오염물질 배출 측면에서 유리한 청정 공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garicus blazei 균사체 배양기술을 통한 효율적인 $\beta$-glucan의 생산 (Effective Production of $\beta$-Glucan by the Liquid Cultivation of Agaricus blazei)

  • 이승현;임환미;김태영;조남석;박준성;유연우;김무성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4-59
    • /
    • 2004
  • 아가리쿠스(Agaricus blazei)버섯의 균사체 배양조건을 최적화하여 유효성분인 $\beta$-glucan의 생성을 극대화시키고자 하였다. 아가리쿠스 균사체 배양시 탄소원과 질소원의 농도 및 종류별 배지를 검토한 결과 배지조성은 glucose 5% (w/v), yeast extract 0.5% (w/v), malt extract 0.5% (w/v), $KH_2PO_4$ 0.1% (w/v), $MgSO_4{\cdot}7H_2O$ 0.05% (w/v)가 최적이었다. 30L 발효조에서의 배양 조건은 pH 5.0, $28^{\circ}C$, 1 vvm, 300 rpm에서 균사체의 생육과 $\beta$-glucan의 생성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위 조건 중에서 세포 외 $\beta$-glucan의 생성을 증가시 키기 위해 초기 glucose의 첨가량을 4%로 낮추어 glucose에 의한 균사체 성장 저해작용을 최소화하는 한편, 배양 70시간 시점에 glucose 3%, yeast extract 0.1%, malt extract 0.1%의 추가 배지를 첨가하여 배양함으로써 batch 배양에 의한 2.8 g/L에 비해 2배 정도 증가한 5.2 g/L의 세포 외 $\beta$-glucan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균사체 내의 세포벽 $\beta$-glucan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해 세포벽분해효소인 lytic enzyme과 단백분해효소인 bromelain의 연속적인 효소반응으로 추출량이 3.5 g/L로 증가하여 균사체의 단순 열수추출에 비해 약 4배의 추출 수율이 향상되었다.

유용 2차 대사산물의 생산을 위한 약용식물의 증진과 형질전환 I. 기내배양을 통한 병풀 엽병의 식물체 재분화

  • 김광수;백윤웅;고경민;황성진;임형탁;황백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8권2호
    • /
    • pp.211-215
    • /
    • 1995
  • 병풀(Centella asiatica)의 엽병 조직절편에서 유도된 배발생 캘러스로부터 체세포배 발생에 의하여 소식물체의 재분화를 이루었다. 엽병 조직절편을 1mg/L 2,4-D와 1mg/L kinetin이 조합 처리된 MS 기본배지에 치상하여 85%의 효율로 배발생 캘러스를 유도할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배발생 캘러스를 5mg/L NAA와 1mg/L kinetin이 첨가된 배지로 옮겼을 때 체세포배의 형성은 87%까지 이루어졌다. 체세포배는 기본배지의 농도를 절반으로 줄이고 0.2 mg/L NAA와 0.2 mg/L kinetin이 첨가된 배지조건에서 기관분화를 거쳐 소식물체로 재분화되었다.

  • PDF

항산화제와 Buthionine Sulfoximide(BSO) 의 첨가배양이 돼지 체외수정란의 체외발육에 미치는 효과

  • 최영진;박진기;장원경;박춘근;정희태;김정익;장현용;양부근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46-46
    • /
    • 2002
  • 본 연구는 돼지의 미성숙 난포란을 체외에서 성숙, 수정시킨 후, 생산된 체외수정란을 NCSU 23 체외배양액에 항산화제 (NAC, ebselen 및 glutathione) 와 glutathione 합성억제제인 BSO의 첨가가 돼지 체외 수정란의 체외 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Glutathione 합성 억제제인 BSO가 돼지 수정란의 체외 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0, 1.0 및 5.0mM의 BSO 을 첨가하여 상실배기 이상 발육된 체외 발육 성적은 각각 35.9, 15.7 및 8.4%로서 BSO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체외배율성적을 나타냈으며 (P<0.05), NAC 1.0mM, ebselen 10μM 및 glutathione 100μM 과 BSO 1.0 mM 을 각각 첨가하여 체외 배양을 실시한 경우, 상실배 이상 발육된 체외 발육율은 40.5, 44.2, 36.0 및 10.9%로서 항산화제 첨가구가 BSO 첨가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체외 발육 성적을 나타냈다 (P<0.05). 모든 처리구에서 체외 수정 후 생산된 배반포기 수정란의 세포수에는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중략)

  • PDF

자당 수용액을 이용한 Thalictrum rugosum 식물세포배양에서의 berberine 생산성 증진 (Enhanced Berberine Production in Sucrose Solution by Plant Cell Suspension Cultures of Thalictrum rugosum)

  • 김동일
    • KSBB Journal
    • /
    • 제7권3호
    • /
    • pp.222-228
    • /
    • 1992
  • Thalictrum rugosum세포배양에서 세포증식 및 berberine생산에 미치는 자당 수용액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순수한 자당 수용액내에서는 무시할만한 세포증식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berberine생성의 증가가 있었다. 자당의 농도가 높은 경우 세포의 수분 함유량이 매우 낮아졌으며 세포당 berberine생성량은 4배나 증가되었다. 최적 자당 농도는 8%로 확인되었다. 8%자당 수용액상에서의 회분배양 결과, 이 방법의 장점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접종후 최소 5일 이상은 지나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비타민, 생장조절제, 무기염류 등의 첨가는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