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배란전 난포

Search Result 29, Processing Time 0.02 seconds

Development of Differential Diagnosis and Treatment Method of Reproductive Disorders Using Ultrasonography in Cows 1. Response of Ovarian Structures to CIDR Treatment at Day 16 of Estrous Cycle in Dairy Heifers (초음파검사에 의한 소의 번식장애 감별진단 및 치료법 개발 1. 처녀젖소에서 발정주기의 16일째에 CIDR의 치료에 대한 난소구조물의 반응)

  • 강현구;강병규;칠한선;중미역언;서국현;손창호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v.15 no.1
    • /
    • pp.131-139
    • /
    • 1998
  • Progesterone을 함유하고 있는 CIDR(Controlled Internal Drug Release)의 질내삽 입은 황체기를 인위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CIDR의 삽입이,삽입시 존재했던 우세난포 (dominant follicle)의 반응과 난포의 발육반응 그리고 2회 또는 3회의 난포주기를 가지고 있는 처려우에서 CIDR의 삽입기간동안 난포의 성장 및 발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비교검 토하기 위하여 배란후 16일째의 처녀우 4마리에 7일동안 CIDR를 삽입하였다. CIDR의 삽입 은 발정의 발현을 억제시켰으며 그리고 발정주기의 길이를 정상 발정주기보다 유의성있게 연 장시켰다($26.3{\pm} 0.5 vs 20.8{\pm}$ 1.5일, p<0.05). CIDR의 삽입시 혈장 progesterone 농도는 $3.6{\pm}$ 2.7 ng/ml 이었으며, 17일과 23일 사이에는 2.1-4.4 ng/ml($3.6{\pm}1.2 ng/ml$) 사이를 유지했다. 혈 장 estradiol-179의 농도는 난포의 발육 및 배란전 배란난포의 성숙을 나타내는 특징적인 변화 양상을 나타래었다. 4마리의 처녀우중 2마리는 CIDR 삽입전 발정주기당 2회의 난포주기를 가진 반면, 나머지 2마리는 주기당 3회의 난포주기를 가졌다. 그렇지만 CIDR의 삽입기간동안 모든 처녀우는 주기당 3회의 발정주기를 가졌다. CIDR의 삽입전 발정주기당 3회의 난포주기 를 갖는 처녀우에서 CRR의 삽입은 세 번째 난포주기에서 배란성 우세난포의 우세기 (dominant phase)를 연장시켰다. 3회의 난포주기를 갖는 2마리에서 CIDR의 삽입후 배란난포 는 존속시간과 우세기가 유의성있게 연장되었다. CIDR의 삽입전 발정주기당 2회의 난포주기 를 갖는 다른 2마리의 처녀우에서 CIDR의 삽입후 우세난포는 곧바로 퇴행되었고 새로운 난 포주기를 형성하였으며, 우세난포의 우세기와 배란난포의 존속기간을 연장시키지 않았다. CRR의 삽입은 CIDR의 삽입후 이어지는 발정주기동안 난포의 발육 및 성장에 영향을 미치 지 않았으며 발정주기의 길이, 난포주기, 혈장 progesterone 및 estradiol-179 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황체기 후반부에 CIDR의 삽입은 CIDR삽입전 발정주기동안 3회 의 난포주기를 갖는 처녀우에서 배란성 우세난포의 발육과 배란까지의 기간을 연장시켰고 2회 난포주기를 갖는 처녀우에서는 우세난포를 곧바로 퇴행시킨후, 새로운 난포주기를 형성 하였다.

  • PDF

Gonadotropin Regulation of Regulator of G Protein Signaling 2 (RGS-2) Expression in the Rat Ovary (백서 난소에서 성선자극호르몬에 의한 RGS-2의 발현 조절)

  • Lee, Yu-Il;Lee, Eun-Suk;Kim, Sun-Ae;Kim, Mi-Young;Cho, Moon-Kyoung;Chun, Sang-Yo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5 no.2
    • /
    • pp.111-118
    • /
    • 200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hormonal regulation of RGS-2 in the rat ovary. Methods: Immature rats were injected with 10 IU of PMSG to induce multiple growth of preovulatory follicles and 10 IU of hCG to induce ovulation. Northern blot analysis performed for gene expression and in situ hybridization performed for mRNA localization. Results: Northern blot analysis revealed that pregnant mare's serum gonadotropin (PMSG) treatment did not affect RGS-2 mRNA levels. In contrast,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treatment of PMSG-primed rats resulted in an increase in RGS-2 expression within $1{\sim}3\;h$. The major cell-types expressing RGS-2 mRNA were oocytes regardless of follicle size. Interestingly, hCG treatment caused the stimulation of RGS-2 gene expression in granulosa cells of preovulatory and growing follicles. In contrast, cell types expressing RGS-2 protein were theca cells regardless of hCG treatment. Like in vivo, treatment of preovulatory granulosa cells with LH in vitro stimulated RGS-2 levels within 1 h. Interestingly, GnRH antagonist II enhanced the stimulatory action of LH.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e LH/hCG induction of RGS-2 in preovulatory granulosa cells and suggests a role of RGS-2 in Gq protein signaling pathway during ovulation.

Anti-Inhibin Serum 및 Follicular Fluid처리가 한우 난소의 난포발달과 혈중 호르몬변화에 관한 연구

  • 성환후;박성재;노환국;임기순;장유민;장원경;탁태영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1.03a
    • /
    • pp.34-34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한우 난포발달에 있어서 난포액 및 anti-inhibin serum의 생리적 역할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Anti-inhibin serum(AI)은 항원으로서 porcine inhibin-$\alpha$-subunit 19~32의 peptide를 사용하여 adjuvant 용액을 1:3의 비율로 혼합하여 앙고라종 토끼 5두(체중 2.5kg)에게 주 2회 간격으로 접종 후 얻어진 항혈청을 사용하였다. 난포액(bFF; bovine follicular fluid)은 도축장에서 도축되는 한우 난소로부터 직경 1.0cm 이하의 난포로부터 회수하여 스테로이드를 제거하기 위해 10% chacoal so lution(50 mg/$m\ell$, Norrit-A, Fisher Sci., USA)을 처리하여 45분간 배양후 원심분리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실험에 공시하였다. 공시동물은 1산후 정상적으로 발정주기가 반복되는 한우암소 9두를 난소감정후 황체를 확인하여 PGF2$\alpha$제제(lutylase. USA)를 주사하여 발정을 유기한 다음, 난소의 first wave가 시작되는 시기인 배란직후 12시간째부터 4일간 일일 2회 5 $m\ell$씩 총 8회 40 $m\ell$의 AI와 bFF를 각각 경정맥으로 주사하였으며 대조구로서 생리식염수를 주사하였으며 채혈 및 정맥주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경정맥에 카테타를 설치하여 6시간간격으로 총 200시간까지 채혈하였으며 초음파진단기를 이용하여 난포의 발달을 검토하였다. 채혈후 혈중Inhibin, progesterone 및 Estrad iol-17$\beta$농도의 분석은 RIA 및 ELISA법으로 분석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혈중 Progesterone농도는 대조구와 AI처리구에서는 배란후 68시간째부터 유의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나, bFF처리구에서는 배란후 68시간부터 170시간까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이에 반해 혈중 Estradiol-17$\beta$농도는 대조구의 경우 bFF처리구와 비슷한 수준으로 배란후부터 낮은 농도를 유지하였으나, AI 처리구는 배란후 36시간이후부터 108시간까지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가 그 이후 감소되었다. 한편, 혈중 Inhibin농도는 전 구간에서 배란후 84시간까지 불규칙한 농도를 보이다가 bFF처리구에서는 배란후 84시간부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배란후 72시간째에 초음파진단기를 이용하여 난소의 난포발달을 조사한 결과 , 대조구와 bFF처리구에 비해 AI처리구에서 발달난포가 유의적으로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Anti-inhibin serum은 한우 자체에서 분비하는 Inhibin을 특이하게 억제하여 Inhibin에 의해 억제되는 FSH분비가 촉진됨으로써 난포발달과 estrogen의 농도가 촉진되는 것으로 사료되어 anti-inhibin serum이 한우의 과배란유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ontrol Mechanisms of Ovulation by Pituitary Adenylate Cyclase-Activating Polypeptide (Pituitary Adenylate Cyclase-Activating Polypeptide에 의한 배란 조절에 관한 연구)

  • Lee, Yu-Il;Kim, Hyoung-Choon;Kim, Mi-Young;Chun, Sang-Yo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2 no.2
    • /
    • pp.101-111
    • /
    • 2005
  • 배 경: Pituitary adenylate cyclase-activating polypeptide (PACAP)은 양의 시상하부에서 추출된 신경펩타이드 호르몬으로 난소에도 존재하여 배양된 과립막 세포에서 스테로이드합성과 cyclic AMP 형성을 촉진함이 보고되었다. 목 적: 흰쥐 난소를 실험 모델로 사용하여 배란시 황체화호르몬 (luteinizing hormone; LH)에 의해 유도된 PACAP과 PACAP 수용체의 유전자 발현양상과 신호 전달경로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미성숙 흰쥐의 배란전 난포를 체외 배양하면서 LH로 처리하고 PACAP 및 PACAP수용체의 유전자 발현을 보기 위해서는 Northern blot 분석과 in situ hybridization (ISH)을, 그리고 단백질 수준의 PACAP 검색을 위해서는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분석을 이용하였다. 결 과: LH 처리 후 Northern blot상의 PACAP 유전자 발현은 6~9시간에 일시적으로 최고치에 도달하였으며 ISH로 보아 과립막 세포에서 발현됨을 알 수 있었다. ELISA 분석 상 PACAP 단백질도 LH처리 후 6~12시간에 최고치를 나타내었으며, PACAP 수용체 mRNA 역시 3~9시간에 최고치로 과립막 세포에서 발현되었다. Adenylate cyclase (AC) 억제제인 MDL12330A 처리시 LH로 발현된 PACAP mRNA가 감소되며, AC의 활성제인 forskolin 처리에는 LH시와 유사한 PACAP mRNA의 발현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protein kinase C (PKC)의 억제제인 chelerythrine과 2-0-tetradecanolphorbol-13-acetate (TPA) 처리로는 PACAP 의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5-lipoxygenase의 억제제인 MK886이나 nordihydroguaiaretic acid (NDGA)로 처리한 결과 LH로 유도된 PACAP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되었으나, cyclooxygenase의 억제제인 indomethacin은 별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MEK와 p38의 억제제인 PD98059와 SB203580도 LH로 촉진 된 PACAP의 유전자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결 론 : 배란전 난포에서 PACAP과 PACAP 수용체의 유전자 발현은 모두 LH의 폭발적 분비에 의해 유도되어 일시적으로 과립막 세포에서 나타나 배란을 위한 국소적인 조절 작용을 할 것으로 추정되며, LH로 촉진된 PACAP 유전자 발현을 위한 신호전달은 cAMP-PKA, lipoxygenase 및 MAP kinase 경로를 통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Laparoscopy Application to Determine Estrous Cycle in Korean Black Goats (복강경을 이용한 한국흑염소의 성주기 판정)

  • Yang, H.S.;Jang, S.K.;Yong, H.W.;Cho, J.K.;Shin, S.T.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22 no.1
    • /
    • pp.69-74
    • /
    • 200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strous cycles by macroscopic observation of the ovarian changes using the laparoscopy and to make use of these results for embryo transfer in Korean black goat (Copra hircus aegagrus). Laparoscopic examinations of the ovaries were performed from 2 days after $CIDR^(R)$ removal to 22 days after ovulation. The serial morphological changes of follicles and corpus luteum (CL) were observed. CL was classified corpus hemorrhagicum(CH), corpus luteum (CL) and corpus albicans (CA) by its maturation and regression. On the day before ovulation (Day 0), Graafian follicles (GF) were found on one or both ovaries. On the day (Day 1) and $2^{nd}$day (Day 2) of ovulation, and ovulation depression (OD) and an early stage corpus hemorrhagicum $(CH_1)$ were observed at the site of GF, respectively. On Days 3 to 4, more developed and enlarged corpus hemorrhagicum $(CH_2\;and\;CH_3)$ arised from the ovulation of the GF with well vascularization. On Days 5 to 6, it was identified that mature corpus luteum $(CL_3)$ was grown on the ovary, and fully developed CL with adjacent follicles were occupied most part of the ovary on Days 17 and 18. Then the size of CL was diminished, and completely luteal regression $(CL_1\;or\;CA)$ with new large follicle was identified on Days 20 and 22. From these results, the 4 stages of the estrous cycle in Korean black goats were 1) estrus (Day 0) for 1 day, 2) metestrus $(Day\;1{\sim}4)$ for 4 days (stage of CH development), 3) diestrus $(Day\;5{\sim}16/17)$ for 12 or 13 days (luteal stage), and 4) proestrus $(Day\;17/18{\sim}20/22)$ for 4 or 5 days (stage of luteal regression and follicular growing). Laparoscopy for observation of ovarian changes was invasive than laparotomy. Additionally, it had advantages of reduced adhesion and quick operation time. It was considered that laparoscopic examination of ovarian changes will be useful for embryo transfer in the Korean black goats.

Id3 mRNA Expression on Folliculogenesis in Rat Ovary (쥐 난소에서 난포 발달에 따른 Id3 mRNA의 발현)

  • Hwang, Seong-Soo;Ko, Yeoung-Gyu;Lim, Hyun-Joo;Seong, Hwan-Hoo;Yoon, Jong-Taek;Min, Kwan-Sik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v.31 no.3
    • /
    • pp.181-186
    • /
    • 2007
  • Inhibitor of DNA binding protein or inhibitor of differentiation(Id) is largely considered as positive and/or negative regulators of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giogeneisis, and apoptosis. The four Id genes(Id1, Id2, Id3, and Id4) were known in mammal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expression and function of these genes in reproductive physiology. Among the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xpression pattern of Id3 mRNA on folliculogenesis in rat ovary. After PMSG administration, the ovaries were obtained at 3, 6, 12, 24, 36, and 48hrs, fixed, dehydrated, and paraffin embedded. For in situ hybridization, anti-sense and sense Id3 cRNA probes were prepared and applied to the ovarian section. The ovarian sections were coated with NTB-2 emulsion. After that, the slides were developed and counterstain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The hybridization signal was estimated on a scale of 1+ to 4+. In oocyte, the intensity of Id3 mRNA in primordial and primary follicles was scored at ${\geq}2+$, but the intensity was less than 1+ in secondary, dominant, and preovulatory follicles. In granulosa cells, the Id3 mRNA was strongly expressed(3+ or 4+) in dominant and preovulatory follicles. Taken together, Id3 mRNA was expressed specifically at follicle stages and follicular tissue and might be closely related with follicle development.

Effects of Aromatase Inhibitor on Reproductive Hormone Profiles and Ovulation Induction (방향화효소억제제의 생식호르몬 분비와 배란유도에 대한 효과)

  • Kim, Sook-Hyun;Kim, Jeong-Ah;Park, Joon-Cheol;Bae, Jin-Gon;Shin, So-Jin;Kwon, Sang-Hoon;Cho, Chi-Heum;Yoon, Sung-Do;Cha, Soon-Do;Kim, Jong-In;Rhee, Jeong-Ho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5 no.2
    • /
    • pp.143-153
    • /
    • 2008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omatase inhibitor on reproductive hormone profiles and evaluate it's ovulation inducing capability in anovulatory infertile women. Methods: We quantified the blood levels of reproductive hormones from 30 healthy normal cycling women in natural cycle (control) and letrozole medicated cycle (study). LH, FSH, estradiol, testosterone, DHEA-S were quantified on third, 11th, 21th day in both cycles, and on 21th day, progesterone was added. Sixth anovulatory infertile women received either letrozole or clomiphene citrate for ovulation induction (n=30 in each groups). We compared the clinical parameters such as ovulation rate, pregnancy rate, the day of LH surge, number of follicles and endometrial thickness, cervical mucus amount, spinnbarkeit, mean diameter of follicles on the day of LH surge. Results: Letrozole had no effect on the LH, FSH, estradiol, DHEA-S secretion but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 in testosterone level on day 11 and progesterone level on day 21 in letrozole medicated cycle compared than control cycle ($0.40{\pm}0.16$ vs $0.28{\pm}0.11\;ng/ml$, p=0.002, $18.18{\pm}13.07$ vs $8.38{\pm}7.64\;ng/ml$, p=0.001, respectively). In comparison between letrozole and clomiphene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vulation rate, pregnancy rate, number of mature follicle, mean diameter of follicles, but showed earlier LH surge, thicker endometrium, more cervical mucus, and higher spinnbarkeit in letrozole group ($12.12{\pm}2.46$ vs $14.52{\pm}3.18$ days, p=0.006, $10.48{\pm}1.23$ vs $8.52{\pm}0.93\;mm$, p=0.000, $2.04{\pm}0.61$ vs $1.57{\pm}0.59$, p=0.012, $6.00{\pm}1.12$ vs $4.95{\pm}1.61\;cm$, p=0.003, respectively). Conclusion: Letrozole may augment folliculogenesis and improve the endometrial condition for implantation in normal cycling women. Ovulation efficacy of letrozole in anovulatory women was comparable to clomiphene citrate and letrozole may be more physiological in ovulation in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