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배당체

Search Result 249,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식품 발효중 기능성 물질의 생전환 및 기능성 변화

  • Ji, Hyeon;Wi, Hye-Jeong;Hwang, In-Gyeong;Park, Gyeong-Rae;Choe, Eun-Gyeong;Ji, Geun-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Cookery Science Conference
    • /
    • 2005.10a
    • /
    • pp.9-1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프로바이오틱스로 사용하는 유용 미생물과 식용으로 안전하게 사용 가능한 미생물 자원을 이용하여 배당체의 전환 연구를 실시하여 전환체의 새로운 생리활성 작용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주요 소재로는 인삼의 사포닌 배당체, 길경의 platycodin 배당체, 호로파의 사포닌 배당체, 칡과 두유의 이소플라본 배당체 등이었다. 사용 균주로는 bifidobacteria, lactobacilli, leuconostocs, yeasts, aspergilli 등이었다. 유산균 중에는 Bifidobacterium sp. Int-57의 전환능이 우수하였고 식용 곰팡이 중에는A. niger의 전환능이 우수하였다. 다양한 미생물 또는 효소를 이용한 전환체에 대하여 아질산 소거능, 항산화능, a-glucosidase와 a-amylase 저해능 등을 조사하였을 때 일반적으로 전환 후의 활성이 중가하였다. 길경 사포닌은 전환 후에 세포 독성이 줄어들었으며 관능성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 결론적으로, 프로바이오틱스와 식용 미생물을 이용하여 천연물 중에 존재하는 배당체의 생리활성 및 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어 새로운 기능성 식품의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대두와 인체생리(2)-대두 이소플라본의 체내흡수

  • Kim, Seong-Ran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14 no.4
    • /
    • pp.3-12
    • /
    • 2001
  • 이소플라본은 대두와 대두가공제품에 들어있으며 화학적으로 두가지 형태 즉 아글리콘(aglycone)과 배당체(glucoside)로 존재한다. 본 논문은 사람에게 대두의 이소플라본이 흡수되는데 아글리콘과 배당체가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이소플라본을 저농도(0.11mmol)로 1회 투여했을 때 아글리콘형은 섭취 2시간 후에 혈장의 이소플라본 농도가 최고치에 도달하였으며 배당체형은 섭취 4시간 후에 최고치에 도달하였다: 이때 피험자는 4명의 남성(41세)과 4명의 여성(45세) 이었다. 또한 8명의 피험자〔남성 4명(40세), 여성 4명(47세)〕를 대상으로 고농도(1.7mmol) 이소플라본을 1회 섭취시킨 후 혈장의 이소플라본 농도 변화를 비교하였으며, 아글리콘 섭취 후 혈장 이소플라본의 최고 농도는 배당체로 섭취한 경우보다 5배가 높았다. 저농도와 고농도의 두 실험에서 모두, 제니스테인과 다이드제인의 섭취수준은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혈장의 제니스테인의 농도가 다이드제인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8명의 남성(45세)을 대상으로 4주간의 장기간 이소플라본(0.30mmol/ 일)을 섭취시킨 후 혈장의 이소플라본 농도를 측정하였다. 2주와 4주째에 혈장내 농도는 배당체형보다 아글리콘 섭취 후에 100%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소플라본 아글리콘은 배당체보다 사람에게 더 빠르고 더 많은 량이 흡수되었다. 이소플라본 아글리콘이 풍부한 제품은 이소플라본 배당체가 풍부한 제품보다 관상 심장질환 등 만성질환 예방에 더 효과적일 수 있을 것이다.

  • PDF

항암성 Ginsenoside류의 합성

  • 임광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4.04a
    • /
    • pp.226-226
    • /
    • 1994
  • 천연의 Triterpene이나 Steroid의 01igo당 배당체는 항균작용, 소염작용, 항암작용등의 유용한 생리활성을 가지는것이 많다. 따라서 이들 화합물군으로 부터 신의약품이 개발될 가능성이 매우크다 하겠다. 그러나 천연물은 그 작용이 약하거나 순수하게 다량 분리하기가 쉽지않다. 생리활성이 강하고, 부작용이 적은 배당체를 이용가능한 양만큼 다량을 순수하게 얻기 위하여는 합성의 기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천연의 총배당체 (배당체혼합물)로부터 aglycone을 얻고 여기에 g1ycosidation 반응으로 당을 결합시킴으로써 천연 또는 비 천연성 배당체를 합성하고 생리활성을 검토, 신물질을 창출하고자 한다. Aglycone으로는 Ginsenosides의 aglycone인 20(s)-protopanaxadiol 및 20(S)-protopanaxatriol, Soyasapogenol B, Oleanlic acid를 사용하고, 목표로하는 생리활성은 항암작용, 항군작용, alcohol 흡수 저해작용을 지향한다.

  • PDF

Enzymatic Synthesis of Polyphenol Glycosides by Amylosucrase (재조합 아밀로수크라아제를 이용한 효율적인 폴리페놀 배당체의 합성)

  • Park, Hyun-Su;Choi, Kyoung-Hwa;Park, Young-Don;Park, Cheon-Seok;Cha, Jae-Ho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1 no.11
    • /
    • pp.1631-1635
    • /
    • 2011
  • The capability of synthesizing polyphenol glycosides was examined using recombinant amylosucrase from the hyperthermophilic bacterium Deinococcus geothermalis. Based on the action mode of amylosucrase, sucrose and twenty-one polyphenols were used as a donor and acceptors respectively. The transglycosylation reaction by amylosucrase produced one or two major polyphenol glycosides depending on the type of polyphenols used. The synthesized polyphenol glycosides were detected by thin-layer chromatography. The structures of the newly synthesized polyphenol glycosides were predicted based on the transglycosylation mechanism of the enzyme. According to the acceptability of the polyphenol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polyphenol as an efficient acceptor were evaluated. The results indicate that amylosucrase is an efficient catalyst for the enzymatic synthesis of polyphenol glycosides, which have high potentials in food, cosmetics, and pharmaceutical industries.

A Study on Glycoside Synthesis Using Alginate-enclosed Microspheres (Alginate-enclosed Microspheres를 이용한 배당체 합성에 관한 연구)

  • 김해성;김우식
    • KSBB Journal
    • /
    • v.8 no.4
    • /
    • pp.320-327
    • /
    • 1993
  • Latex microspheres of styrene/acryl copolymer with acrylamide functional group were used for the stable covalent immobilization of an enzyme applicable for enzymatic synthesis of glycoside. The latex microspheres were coated with polyethyleneimine to establish structural and functional properties relevant to the covalent Immobilization with a high retention of activity. Polythyleneimine-coated microspheres satisfactorily immobilized the invertase for methyl fructoside synthesis, and model reaction were formed into alginate-enclosed microspheres biocatalyst. Using the alginate-enclosed microspheres biocatalyst, the yield of model glycoside was obtained as high as 52.2% at concentration of aqueous 30%(v/v) methanol and 0.291mo1/1 sucrose solution with 2U/ml of activity.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he latex microspheres were successfully applied to enzymatic synthesis of glycoside.

  • PDF

Quercetin Glucoside Profiling of Fresh Onion (Allium cepa) and Aged Black Onion Using HPLC-ESI/MS/MS (HPLC-ESI/MS/MS를 이용한 생양파와 흑양파의 퀘세틴 배당체 분석)

  • Chung, Dong-Min;Kwon, Sun-Hwa;Chung, Young-Chul;Chun, Hyo-Ko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1 no.3
    • /
    • pp.464-467
    • /
    • 2011
  • Quercetin is a major flavonoid present in onions, which acts as an antioxidant. Quercetin exists both as a free compound and conjugated with carbohydrates, primarily as glucosides in onion. Aged black onion was made through a 30 day aging process in which the onions were kept in an environment of $60^{\circ}C$ and high humidity (90% RH). Quercetin and quercetin glucosides were assayed in onion bulbs before and after the aging process,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 trap mass spectrometry (HPLC-ESI/MS/MS). Quercetin mono- and diglucosides were identified in fresh onion bulbs, whereas quercetin aglycone was the only form present in aged black onion bulb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quercetin mono- and di-glucosides present in fresh onions undergo complete deglycosylation during the aging process. Such profiling will provide a rapid method that can be used to assess changes in the two major quercetin glycosides during the aging process of onion bulbs.

Flavonoid Glycosides from Needles of Taxus cuspidata(Taxaceae) (주목 잎의 후라보노이드 배당체)

  • Ham, Yeon-Ho;Park, Wan-Geun;Han, Sang-Sup;Bae, Yo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5 no.2
    • /
    • pp.45-51
    • /
    • 1997
  • 주목 잎을 채취하여 건조하고 아세톤-물 (7 : 3, v/v) 의 혼합액으로 추출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및 수용성 부분으로 분리하고 Sephadex-LH 20으로 충진한 칼럼을 이용하여 2개의 flavan 단량체와 2개의 후라보노이드 배당체를 단리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용성 추출물은 대부분 (+)-catechin 과 (-)-epicatechin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수용성 부분에서는 quercetin-3-0-arabinopyranosyl-($1"'{\rightarrow}6"$)-${\beta}$-D-glucoside와 quercetin-3-O-rutinoside 인 두 개의 탄수화물로 구성된 배당체를 분리하였으며 주목에서는 이들 화합물은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이들의 구조결정을 위하여 박층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고 $^1H$-NMR과 $^{13}C$-NMR 스펙트럼을 기존의 스펙트럼과 비교, 분석하여 정확한 구조를 규명하였다.

  • PDF

CHEMICAL STUDIES ON CRUDE DRUG PROCESSING RED GINSENG AND WHITE GINSENG (생약에 관한 화학구조-홍삼 및 백삼-)

  • Kitagawa Isao
    • Proceedings of the Ginseng society Conference
    • /
    • 1984.09a
    • /
    • pp.159-168
    • /
    • 1984
  • 생약의 화학적 특성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짐에 따라 우리는 홍삼 및 백삼의 화학성분을 상대적으로 규명하였다. 홍삼은 극성이 약한 분획에서 5개의 새로운 배당체(20R-ginsenoside $Rg_{2},\;Rh_{1};20R$, 20S-ginsenoside $Rg_{3}; ginsenoside\;Rh_{2}$와 새로운 아세칠렌 화합물(Panaxytriol)을 함유하는 특징적인 성분들이 gins - enoside Rh1, Rg2와 함께 분리되었다. ginsenoside Rh2는 배양된 종양세포에 대해 세포독소 효과를 보여주었다. 백삼은 수용성 분획에서 특징적인 성분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여기에서 malonly-ginsenosides Rb1, Rb2, Rc 및 Rd로 명명된 새로운 배당체 성분이 분리되었다. Malona-ginsenosides는 백삼에서는 주요한 배당체이지만, 홍삼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 PDF

Extraction of Quercetin and Its Glucosides from Onion Edible Part Using Solvent Extraction and Various Extraction Assisting Methods (용매 추출과 병용 추출법을 이용한 양파 과육으로부터 quercetin 관련물질의 추출)

  • Jin, Eun Young;Park, Young-Seo;Jang, Jae Kweon;Chung, Myong-Soo;Park, Hoon;Shim, Kun-Sub;Choi, Young Jin
    • Food Engineering Progress
    • /
    • v.13 no.2
    • /
    • pp.147-153
    • /
    • 2009
  • Quercetin is one of the main flavonoids from onion. To use quercetin as a functional component for onion food products, the effects of various extraction assisting methods such as juicing methods, microwave, ultrasound and enzyme treatments on the yield of quercetin and its glucosides were investigated. For conventional solvent extraction, the highest yield of quercetin and its glycosides was achieved with 0.8 mL/g of 60% methanol at 50$^{\circ}C$ for 15 min. The juicing methods using mixer and screw showed no influence on the yield. Microwave and ultrasound treatments showed 2.14 times and 2.06 times more quercetin yields than non-treated extraction, respectively. For cellulase and viscozyme treatments, the highest yields of quercetin were achieved with 0.5 mL/g of 1% enzyme-0.1M sodium acetate (pH 5.2) buffer solution. Cellulase and viscozyme treatment improved quercetin yield 1.65 times and 2.29 times more than non-treated one, respectively.

Chemical Study on the Leaf of Prunus davidiana

  • Park, Jong-Hee;Kim, Jin-Soo;Lee, Jun-Do;Park, Hee-Juhn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0 no.1
    • /
    • pp.6-10
    • /
    • 1997
  • From the leaf of Prunus davidiana, naringenin and its glucoside, kaempferol and its glucoside, kaempferide glucoside, quercetin glucoside and d-catechin were isola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