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배나무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1초

사과나무의 겹무늬병(윤문병) 및 사마귀병 (우피병)의 병원균과 병원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White rot and Blister Canker in Apple Trees caused by Botryosphaeria berengeriana)

  • 이두행;양장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2-88
    • /
    • 1984
  • 사과나무의 과실 부패현상과 가지 사마귀현상의 평원균 및 그 병원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사과나무와 배나무의 가지 및 과실, 벚나무${\cdot}$복숭아나무${\cdot}$자두나무${\cdot}$능수버드나무 및 자작나무의 가지 등 7종의 병든식물에시 분리된 것은 Dothierella mali (Botryosphaeria berengeriana 의 불완전세대)가 대부분이었고 사과의 썩은 과실에서는 Alternaria sp.와 Pencicillium expansum도 분리되었으며, 배의 썩은 과실에서는 Phomopsis sp.도 분리되었다. 2. B. berengeriana의 10개 분리균을 4종 재배에 배양한 결과 균사생장, 균총의 모양 및 색깔의 차이에 따라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공시된 분리균은 배지에 특이한 색깔을 나타내지 않았다. 병자각은 자좌속에 형성되었으며, 모양은 구형 또는 편구형으로 흑갈색이었고, 크기는 사과 병조직의 것이 $103.5-287.5\mu\times92.0-287.5\mu$사이었다. 병포자는 보통 무색, 단포, 타원형-방추형으로써 사과나무 가지에서 분리한 균의 크기의 범위는 $4.3-7.2\mu\times20.0-31.5\mu$(평균 $5,9\times25.4\mu$)이었다. 병포자는 발아전후에 1개, 2개 또는 3개의 격막이 생기는 것도 있었다. 배지 또는 접종부위에 형성된 병자각 안에는 소형포자도 형성되었다. 접종식물의 잎과 과실에는 겹무늬의 갈색-흑갈색 병반이 나타났고 사과나무와 배나무의 햇가지에는 사마귀상 돌기가 접종부위에 생기는 것이 있었으며, 복숭아나무 및 벚나무의 가지에는 조피형 동고성 병반이 나타났다.

  • PDF

꼬마배나무이 월동성충 산란 알의 부화 및 유기농업자재에 의한 방제효과 (Emergence Timing of overwintered adults laid eggs and Control Effect by Eco-friendly materials to Cacopsyllapyricola)

  • 조영식;송장훈;임경호;최진호;이한찬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45-455
    • /
    • 2014
  • 배 과원 문제해충의 하나인 꼬마배나무이(Cacopsylla pyricola)의 월동성충이 낳은 알에 대해 10, 13, 18, 22, $25^{\circ}C$에서 부화율을 조사하여 온도와 발육률에 대한 선형모형으로 Y=0.00319X + 0.00615(($R^2=0.809899$)(Y=temp., X=dev. rate))로 도출하였고, 알에 대한 발육영점온도는 약 -1.94로 추정되었다. 포장에서 월동성충이 낳은 알이 50%를 초과하여 부화하는 시기와 2월 1일부터 일일 최고기온 $6^{\circ}C$ 이상의 온도를 누적한 결과, 2008, 2009, 2011년에 각각 429.7, 417.6, 424.3일도였으며, 이는 만개기를 기준으로 만개 3~7일전이다. 한편 아바멕틴 유제, 석회유황합제, 기계유유제, 및 유기농업자재 13종은 월동성충이 낳은 알에 대한 살란 효과는 없는 것으로 생각되고, 배 생육기인 2012년 5월 21일, 6월 5일 2회 살포시 방제가 90% 이상을 보인 유기농업자재는 D사의 Azadiractin A+B, Nimbin, Salanin, Meliantriol, Vepol 등 혼합물 등 4종이었다.

배나무잎 이상반점증상에 관한 연구 - 2. 원인구명 - (Studies on the Pear Abnormal Leaf Spot Disease - 2. Identification of Causal Agent -)

  • 남기웅;김충회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10-216
    • /
    • 1995
  • Alternaria spp.were predominantly isolated from the abnormal leaf spot lesions of pear cultivars Niitaka and Nijiiseiki. Alternaria isolates from the cultivar Niitaka were not pathogenic to both cultivars, but the isolates from the cultivar Nijiiseiki developed typical lesions of black leaf spots and were identified as A. kikuchiana. However, no typical abnormal leaf spot lesions were produced by the Alternaria isolates. Foliar spray of twelve different agrochemicals including lime sulfur, either alone or in combinations, with 7 times applications from April to July failed to reduced the disease development. Application of 17 different pesticides including fungicides, insecticides and herbicides currently used in pear orchards did not cause leaf injury similar to the abnormal leaf spot. Simulated acid rain of as low as pH 3.0 did not incite any leaf lesions alike the abnormal spot lesions. Mineral contents in the leaves of both cultivar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healthy leaves and those with abnormal leaf spots. When cuttings of pear tree were obtained in February from newly emerged twigs of the healthy or the diseased trees of Niitaka and planted in sand in the greenhouse, only those from the diseased trees developed typical leaf lesions of the abnormal spo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bnormal leaf spots are caused by unknown systemic agents in pear trees, rather than by Alternaria spp., chemical injury or acid rain.

  • PDF

배나무잎 이상반점증상에 관한 연구 - 3. 병원의 접목전염 - (Studies on the Pear Abnormal Leaf Spot Disease - 3. Graft Transmissibility of the Causal Agent -)

  • 남기웅;김충회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17-223
    • /
    • 1995
  • Nature of graft transmissibility of pear abnormal leaf spot disease was examined by various grafting methods in the greenhouse and field. When the diseased and symptomless twigs were collected in winter and grafted in the next spring to the seed-originated healthy root stock, the abnormal leaf spot was developed only in the case of the diseased twigs. Double grafting on a seed-originated healthy root stock, where the diseased and the symptomless twigs were used as 1st and 2nd scions, respectively, developed abnormal leaf spot lesions without exception on the 2nd scions. Tongue-graft with the diseased and the symptomless trees also incited abnormal leaf spots on the both trees. Abnormal leaf spots of were also developed on HN-39, an indicator pear tree, used as a 2nd scion in a double graft test, where the diseased twig and a seed-originated healthy tree were used as the 1st scion and the root stock, respectively. When the diseased twig was top-grafted to the healthy root stock, lesion development of abnormal spot was limited to the grafted twig itself in the 1st year, but expanded to the main branches in the 2nd year, and spread over the whole tree in the 3rd year.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causal agent of abnormal leaf spot disease is transmitted by graft.

  • PDF

배나무잎 이상반점증상에 관한 연구 1. 발생상황과 피해 (Studies on the Pear Abnormal Leaf Spot Disease 1. Occurrence and Damage)

  • 남기웅;김충회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69-174
    • /
    • 1994
  • A new unidentified pear leaf spot disease presumed to first occur in the late 1970's has recently become prevalent over the pear growing areas, and caused the greatest problem for pear production in Korea. The disease began to develop on pear leaves at mid- to late May, peaked at mid- to late une, but stopped further development until September in cool climate. Leaf lesions are 0.9∼2.5 mm in diam., oval or irregular to rectangular in shape, first appeared reddish purple, later changed to dark brown, and to whitish grey in the late season. Lesions were limited to appear only on the mature, hardened leaves, initially from leaf margin or near the leaf veins, and later scattered over the leaf surface. Individual lesions usually did not enlarge, but often coalesced each other, commonly causing shot holes and eventual early falling. The disease was most severe on the major pear cultivars Niitaka and Okusankichi ranged with 4 to 100% infections in trees, depending on the orchards, but not on the cultivar Chojuro. Damages from the disease included lower fruit weight, and higher acid and less sugar content in fruits, resulting in lowering the overall fruit quality. Etiology of the disease including identification of the causal organism is in a separate paper.

  • PDF

과수화상병 매몰방재지 토양에서 분리된 8종의 국내 미기록 진균 보고 (Report of Eight Unrecorded Fungi from the Fire Blight Burial Control Soil in Korea)

  • 노형진;서희주;김성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47-460
    • /
    • 2023
  • 식물병원 세균 Erwinia amylovora 의해 발생하는 과수화상병은 사과, 배 등 장미과에 속하는 식물에 심한 피해를 주고 있다. 병의 빠른 확산을 막기 위해 국내에서는 병이 발생한 사과나무와 배나무에 대해 매몰하는 병관리를 실시해 왔다. 방제방법의 안전성을 입증하기 위해 매몰한 이병식물과 이병식물 주변의 토양을 조사하였다. 매몰토양 미생물군 조사과정에서 Bisifusarium allantoides, Botryotrichum Domesticum, Microascus verrucosus, Paraphoma pye, Phaeosphaeria culmorum, Ramophialophora globispora, Sordaria tomentoalba, Striaticonidium brachysporum 등이 국내 미기록종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이들 8종 진균에 대한 형태학적, 분자유전학적 특성을 보고한다.

배 유기재배 과수원의 병해충 관리 실태 및 생물 다양성 (Current Status of Pest Management and Biodiversity in Organic Pear Orchards in Korea)

  • 송장훈;임경호;조영식;이한찬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617-627
    • /
    • 2013
  • 배 유기재배 과수원에서 최근 문제되는 병해충 종류와 재배농가의 병해충 관리수준을 설문조사하고 조류, 양서류, 파충류, 설치류 등 척추동물의 생물다양성을 일반 화학농약 방제농가와 비교하고자 2010년에 포장조사를 수행하였다. 유기재배 과수원 총 22개소에서 설문조사와 포장조사를 한 결과, 유기재배 농가는 유기재배 병해충 관리자재로 석회황합제, 식물추출물 및 미생물 혼합물, 오일류 등을 선호하였으며, 주요 문제 병해충은 검은별무늬병, 붉은별무늬병, 깍지벌레류, 배나무면충, 배굴나방 등이었다. 유기자재 살포횟수는 병해 방제를 위해 9~10회, 해충 방제를 위해 5~6회 수준이었다. 유기재배 과수원이 관행재배에 비해 검은별무늬병 이병율과 이병도는 높았으나, 깍지벌레류 피해는 차이가 없었고 과중은 감소하였다. 양서류, 뱀, 설치류, 꿩 등은 관행재배와 유기재배 과수원 간에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멧비둘기의 경우 유기재배 과수원에서 개체수가 유의하게 많은 섭식활동을 하였다.

배 검은무늬병균 (Alternaria kikuchiana)이 생성(生成)하는 AK독소(毒素)에 대한 배품종(品種)의 감수성(感受性) 진단(診斷) (Evaluation of Pear Cultivar Susceptibility to AK-toxin Produced by Alternaria kikuchiana)

  • 박종성;유승헌
    • 농업과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1-7
    • /
    • 1988
  • 1. 배나무 잎의 병반으로부터 분리한 24개의 Alternaria 균주의 병원성 검정결과 이십세기(二十世紀) 잎에서 분리한 7개 균주만이 감수성 품종(이십세기(二十世紀))에만 병원성을 나타내었고 만삼길(晩三吉), 장십랑(長十郞), 신고(新高)에서 분리한 나머지 균주들은 병원성이 없었다. 2. 병원성 균주의 배양노액(培養瀘液) 중에는 감수성 품종에만 잎멱 괴사(壞死)를 유발시키는 기주특이적(寄主特異的) 독소(毒素)(HST)를 생성함을 알 수 있었으며 비병원성 균주는 기주특이적(寄主特異的) 독소(毒素)(HST) 생성능력이 없었다. 3. 병원균이 생성하는 HST(AK독소(毒素))를 이용하여 배품종간 병해저항성 검정을 실시하였던 바 AK독소(毒素)는 병원균에 감수성인 이십세기(二十世紀)와 신수(新水) 품종에만 독성(毒性)을 나타내었고 만삼길(晩三吉), 장십랑(長十郞), 신고(新高)등의 저항성 품종에는 독성(毒性)을 나타내지 않았다. 4. AK독소(毒素)를 이용하여 배잎의 성숙도(成熟度)(aging)에 따른 병해감수도의 변동을 조사하였던 바 어린 잎일수록 AK독소(毒素)에 대하여 감수성이었으며 성숙한 잎(전엽(展葉) 2주후)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 PDF

온산(溫山) 공단지역(工團地域)의 배출(排出)가스 (아황산(亞黃酸))가 농작물(農作物) 수량(收量) 및 식물체내(植物體內) 유황함량(硫黃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to Agricultural Crop Yield and Sulfur Content in Leaves by Sulfur Dioxide Gas Emission from Onsan Nonferric Metal Industrial Complex)

  • 신남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2-56
    • /
    • 1985
  • 아황산(亞黃酸)가스가 배출(排出)되는 공단주변(工團周邊)에서 재배(栽培)되는 배나무와 수도(水稻)의 엽내(葉內) 류황함량(硫黃含量) 및 감수율(減收率)을 조사(調査)하여 아황산(亞黃酸)가스가 수량(收量) 및 엽내(葉內) 류황(硫黃) 축적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간의 관계(關係)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한 실험(實驗)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배나 수도(水稻) 공(共)히 대조지점(對照地點)에 비해 피해지점(被害地點)의 엽내(葉內) 류황함량(硫黃含量)이 높고 감수(減收)가 되는 경향을 보였다. 2) 배나 수도(水稻) 모두 엽내(葉內) 류황함량(硫黃含量)과 감수율간(減收率間)에는 매우 높은 유의상관(有意相關)을 보여 공해(公害)의 영향(影響)으로 감수(減收)가 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3) 류황산화물(硫黃酸化物)(SOx)을 주로 배출(排出)하는 공단주변(工團周邊)에 재배(栽培)되는 배나 수도(水稻)의 공해피해(公害被害)에 의한 보상(補償)을 위(爲)해서는 엽내(葉內) 류황함량(硫黃含量)과 실감수율(實減收率)과의 회귀식(回歸式)을 아황산(亞黃酸)가스 피해지(被害地)에서의 수량감수율(收量減收率) 조사(調査)에 참고(參考)함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쇠비름 즙액에서 얻은 항균성 지방산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fungal Fatty Acids from the Extract of Common Purslane(Portulaca oleracea L.))

  • 박종성;서촌정양;환무보오;편산정인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82-88
    • /
    • 1986
  • 오래 저장해 둔 쇠비를 즙액에서 5종의 항균성 물질이 분리되었으며 이들 물질이 isobutyric acid, butyric acid, isovaleric acid, valeric acid 그리고 caproic acid 등과 C4-C6의 저급지방산으로 동정되었다. 각각의 지방산은 실내실험에서 다소간에 배나무 검은무늬병균(Alternaria alternata Japanese pear pathotype)의 포자발아나 균사신장을 다같이 저해하였다. 포자발아에 대한 각각 지방산의 항균력은 예외없이 균사신장에 대한 그것보다 컸다. 예컨데 200PPM 이하의 농도에서 균사생장을 완전히 저해하는 항균성 지방산은 하나도 없었지만 caproic acid의 50ppm과 valeric acid의 200ppm은 포자발아를 완전히 억제하였다. 또한 생물검정의 결과에서 이들 지방산의 탄소시술의 길이가 길수록 더욱 높은 항균력을 보여주었으므로 탄소사슬의 길이가 항균력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