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배나무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7초

조경수에 발생되는 병해-향나무에 피해가 심한 녹병

  • 이상현
    • 조경수
    • /
    • 통권104호
    • /
    • pp.26-27
    • /
    • 2008
  • 녹병은 향나무뿐만 아니라 산당화, 꽃사과, 산사나무, 명자나무 등 조경수에도 많이 발생되며, 조경수목으로서의 미관적 가치를 크게 떨어뜨리고 잎 뒷면에 발생되는 녹포자퇴는 사람들에게 혐오감을 준다. 또한 배나무, 사과나무 등의 과일의 상품성과 생산량을 크게 저하시켜 농가에 큰 피해를 준다. 녹병은 일반적으로 농가에서는 붉은별무늬병으로 잘 알려져 있는 병해이다.

  • PDF

과수의 병해방제와 살균제의 효과적인 사용법

  • 이두형
    • 농약과 식물보호
    • /
    • 제5권8호
    • /
    • pp.2-7
    • /
    • 1984
  • 우리나라에 제일 먼저 도입된 과수는 사과이며 그후 경제적인 과수원이 조성된것은 1901년이고 국가적인 차원에서 시험연구사업이 시작된 것은 1906년부터이다. 과수병의 연구는 1910년 부터 배나무 붉은별무늬병을 비롯하여 몇가지 병에 대한 약제방제시험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본격적인 농약으로서의 살균제는 석회보르도액이며 1945년 이전까지 주로 과수원에서만 사용되어 왔다.

  • PDF

농업기술 - 우박피해 후 배나무 어떻게 관리할까요?

  • 임순희;안정구
    • 농업기술회보
    • /
    • 제49권3호
    • /
    • pp.37-38
    • /
    • 2012
  • 우박에 의한 배 과수원의 피해가 매년 발생하고 있으나, 피해 후 이듬해 수세회복을 위한 연구결과가 부족하여 농가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과실생장 초기인 6월초에 우박피해를 받은 배 과수원의 피해 정도에 따라 충실한 꽃눈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을 알아본다.

  • PDF

배나무적성병 병반조직의 몇가지 가수분해효소의 활성 (Activities of Several Hydrolytic Enzymes in the Pear Leaves Affected by Rust Fungus, Gymnosporangium haraeanum Sydow)

  • 김기청;조백호;국정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39-142
    • /
    • 1978
  • 적성병균에 감염된 배나무 잎에서 건전부위, 병반인접부위 및 병반부위별로 몇가지 가수분해효소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ellulase (Cx), Invertase 및 $\beta-amylase$의 활성은 감염부위에서 보다 건전부위에서 더 높았고 모두 pH 7.0부근인 중성측에서 최대활성이 나타났다. 2. Pectinmethylesterase, Polygalacturonase 및 Phosphatase의 활성은 병반인접부위에서 높았다. 3. Pectinmethylesterase의 활성은 건전부위와 병반 및 그인접부위 간에 pH에 따라 심한 활성차리가 인정되었다.

  • PDF

배나무 잎검은점병의 피해상황과 방제 (Incidence of Pear Black Necrotic Leaf Spot and its Control by Top-Grafting)

  • 남기웅;명인식
    • 식물병연구
    • /
    • 제8권4호
    • /
    • pp.254-257
    • /
    • 2002
  • 배나무 잎검은점병에 대한 방제대책을 검토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 병은 배 주산단지에 고루 발생하고 있으며 주 재배 품종인 신고에서 약 5.6% 정도 발생되었다. 농약에 의한 방제 효과는 없었고, 병 발생이 심한 나무는 수량 및 품질이 떨어지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방제대책으로 경제적 갱신시기는 표준수확량의 70% 수준 이하일 때 즉 발병율이 80%이상일 때 저항성 품종으로 갱신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이 병이 심하게 발생하고있는 신고품종에 저항성품종인 수황배와 화산배를 고접갱신 한 결과 2년 차까지 병 발생이 관찰되지 않았다.

정아배양에 의한 산돌배나무의 기내번식 (Micropropagation Using Shoot Tip Culture of Pyrus ussuriensis Maximowicz)

  • 문흥규;이성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4호
    • /
    • pp.452-457
    • /
    • 2008
  • 산돌배나무의 기내번식 기술을 개발하고자 유묘의 정아를 재료로하여 기내 식물체 증식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효과를 시험하였다. 정아를 MS 배지에 BA 단독처리 혹은 BA+NAA 혼용처리 결과 대부분 줄기는 1-2개로 유도 되었으며 처리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줄기의 생장과정에서 정아괴저가 흔히 관찰되었으며 다경이 유도되는 줄기에서는 과수화 현상이 나타났고 줄기의 기부에는 캘러스가 형성되었다. 줄기의 증식 과정에서 BA+NAA 처리구에서 약 20%의 자발적인 발근이 이루어 졌다. 다경으로부터 얻어진 줄기는 gelrite 경화배지에서 기내발근이 저조하였으며, 기외삽목시 100 mg/L IBA 처리로 50%까지 발근되었다. 발근묘는 순화 후 정상적으로 생장하였다.

산돌배나무(Pyrus ussuriensis Maximowicz) 열매의 항산화 물질 분리 및 구조 (Pur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tive Components from the Fruits in Pyrus ussuriensis Maximowicz)

  • 김명조;임요섭;송원섭;김이훈;유창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03-307
    • /
    • 1999
  • 예로부터 식품으로 사용되어온 산돌배나무 (Pyrus ussuriensis) 열매를 대상으로 항산화 활성 성분을 찾기 위하여 그 MeOH추출물의 EtOAc분획을 대상으로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1, 4-dibenzenediol, chlorogenic acid 및 quercitrin등 세종의 화합물을 분리하고 DPPH free radical소거법을 이용하여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이중 quercitrin은 a-tocopherol 및 BHA보다 낮은 활성 $(RC_{50}=20{\mu}g)$을 보였으나 1, 4-dibenzenediol $(RC_{50}=0.4{\mu}g)$ 와 chlorogenic acid $(RC_{50}=4{\mu}g)$는 강한 활성을 보였다.

  • PDF

기온 상승에 따른 '신고' 배나무의 만개일 변동 예측 (Estimation of Changes in Full Bloom Date of 'Niitaka' Pear Tree with Global Warming)

  • 한점화;조광식;최장전;황해성;김창국;김태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6호
    • /
    • pp.937-941
    • /
    • 2010
  • 기온 상승이 '신고' 배나무의 만개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배시험장의 시간별 기온자료로 발육지수를 산정하고, 기상청 관측자료에 있는 67개 지역의 최고 최저 온도에 의한 발육속도로 평년 만개일 분포 및 온도상승에 따른 만개일 변화를 추정하였다. 나주지역에서 '신고' 배나무의 발육지수는 0.9593이었다. 천안지역의 만개일 관측자료와 발육지수에 따른 예측자료와의 차이가 0-7일 범위였고, 일치한 해가 35.3%였다. 67개 지역의 평년 만개일은 4월 4일부터 5월 28일까지 분포하였다. 예측 만개일이 평년기온 보다 $5^{\circ}C$ 상승할 때까지 대부분의 지역에서 빨라졌지만 $3^{\circ}C$ 상승부터 남쪽의 해안가 지역에서 늦어졌으며, $4^{\circ}C$$5^{\circ}C$ 상승하면 제주, 고산(제주도 서부), 서귀포 지역에서는 개화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3월 기온 상승 시 예측 만개일의 변화가 가장 컸고, 4월, 2월, 1월 및 12월 순이었다. 기온상승에 따라 우리나라 배 재배 주산지의 만개일이 빨라질 것으로 전망되었다.

국내 배나무 꽃에서 분리한 Aureobasidium pullulans MHAU2101의 화상병 발생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Aureobasidium pullulans MHAU2101 Isolated from Domestic Pear Blossom Against Fire Blight)

  • 오현석;최효원;이용환;이승엽;이미현;오상근
    • 한국균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31-341
    • /
    • 2022
  • 본 연구는 국내 배나무 꽃에서 분리한 효모의 형태학적 특성 및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종을 동정하고, 사과와 배의 미숙과와 꽃사과의 꽃을 대상으로 화상병 발병 억제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효모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기존 A. pullulans의 특성과 일치하였으며, large-subunit (LSU) 26S ribosomal DNA의 D1/D2 영역과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영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A. pullulans (MHAU2101)로 동정되었다. E. amylovora를 미숙과에 접종하기 전에A. pullulans MHAU2101을 처리할 경우 사과와 배의 미숙과에서 모두 화상병 병징이 나타나지 않았다. 꽃사과 꽃에서 화상병 방제 효과를 검정한 결과, A. pullulans MHAU2101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해 꽃 감염률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대비 64%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또한A. pullulans MHAU2101 처리구는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암술과 화통 모두E. amylovora의 밀도가 낮았으며 특히 화통에서 밀도가 낮은 특징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국내 배나무 꽃에서 분리한A. pullulans MHAU2101이 화상병 발병을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꼬마배나무이 (Cacopsylla pyricola) 저항성 배 육종재료 탐색 (Screening of Pyrus Species Resistant to Pear Psylla (Cacopsylla pyricola))

  • 신일섭;김동순;홍성식;김정희;조강희;김세희;김현란;김대현;홍세진;황정환;황해성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91-496
    • /
    • 2011
  • 꼬마배나무이 (Cacopsylla pyricola)에 저항성 품종육성을 위한 육종재료를 선발코자 월동형 성충수, 단과지내의 산란수, 과총엽내의 약충수 및 수관 전체적인 그을음 발생정도를 15개 종 및 종간잡종 133개 유전자원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월동형 성충수는 Pyrus. calleryana 4.6마리, 단과지내 산란수는 P. calleryana 0.3개, 과총엽내 약충수는 P. calleryana 0마리, 그리고 그을음 발생정도는 P. betulaefolia, P. calleryana, P. communis, P. hybrid (P.pyrifolia × P. communis), P. lindleyi 0으로 발생 및 피해정도가 가장 낮았으며 종간의 차이가 뚜렷하였다. 전체적으로 대목으로 이용하고 있는 콩배인 P. calleryana와 P. betulaefolia가 조사 대상 유전자원 중 가장 높은 항객성(antixenosis)을 보였으나 품질개량에 많은 기간이 요구됨에 따라 실용적으로는 서양배(P. communis) 중 'Conference', 'Cascade', 'Bosc', 'Winter Nelis'가 가장 낮은 발생 및 피해정도를 보여 꼬마배나무이 저항성 품종 육성을 위한 좋은 육종재료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