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배기 재순환 시스템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초

직접분사식 디젤엔진에서 아산화질소의 생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 Experimental Study on Nitrous Oxide Formation in Direct Injection Diesel Engine)

  • 유동훈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88-193
    • /
    • 2015
  • 일반적으로 선박용 디젤엔진의 아산화질소($N_2O$)배출률은 이산화황($SO_2$)배출률과 밀접한 상관성을 갖고 있고, 선박에서 사용되는 연료의 다양성은 $N_2O$배출특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받아들여져 왔다. 최근의 연구보고에 의하면 연료 연소에서 발생한 충분한 일산화질소(NO)가 존재할 경우, 배기의 $SO_2$배출률이 $N_2O$생성에 미치는 영향은 NO의 영향보다 막대하게 크다. 그러므로 $SO_2$성분으로부터 기인하는 $N_2O$생성은 NOx저감을 위한 배기가스 재순환(EGR) 시스템에서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본 실험적인 연구의 목적은 $SO_2$유량 증가를 갖는 디젤엔진의 흡기가 배기의 $N_2O$배출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는 것이다. 실험에 사용된 테스트 엔진은 2600rpm에서 12kW의 출력을 갖는 4행정 직접분사식 디젤엔진이고, 운전조건은 75% 부하에서 실시되었다. 0.499%($m^3/m^3$)의 $SO_2$표준가스는 흡기의 $SO_2$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사용되었다. 결과적으로 황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연료는 $SO_2$를 배출시키지 않았고, 흡기 중에 $SO_2$표준가스의 증가에 따른 배기의 $SO_2$배출률은 $SO_2$흡입률과 비교하여 거의 같은 비율이었다. 또한, 흡기의 $SO_2$유량 상승은 $N_2O$배출률을 상승시켜 배기 중의 $N_2O$는 흡기의 $SO_2$혼합기에 의해 생성되었다. 결국 황 성분을 함유한 연료는 연소 중에 $SO_2$를 형성하고 배기 중의 $N_2O$는 연소실에 존재하는 NO와 $SO_2$의 반응에 의해 발생된다고 할 수 있다.

배기가스 재순환을 적용한 희박-과농 연소시스템의 공해물질 배출특성 연구 (The Pollutant Emission Characteristics of Lean-Rich Combustion System with Exhaust Gas Recirculation)

  • 오휘성;이창언;유병훈
    • 한국연소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8-35
    • /
    • 2015
  • In this study, the CH4/air lean-rich combustion system with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was investigated to explore the potential for lowering pollutant emissions. To achieve this purpose, experiments of lean-rich combustion system with EGR were conducted to measure the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lutant emission and flame shape with various equivalence ratios and EGR rates. Here, this study was applied to the fuel distribution ratio of 3:1 for the formation of the lean and rich flames. Additionally,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CH_4$/air lean premixed combustion system. The results show that flame shape of lean-rich combustion system was determined by lean and rich equivalence ratios (${\Phi}_L$ and ${\Phi}_R$) and stratified flame was formed with increasing ${\Phi}_R$. According to the pollutant emission characteristics based on experimental results, the NOx and CO emission index (EINOx and EICO) decreased with increasing EGR rate. Especially, in the range needed to form a stable flame, the reduction rates of EINOx and EICO were approximately 47% and 48% for an EGR rate of 25%, global equivalence ratio of 0.85 and ${\Phi}_L$ of 0.80 compared with lean premixed combustion system (${\Phi}$ = 0.78).

배기가스 재순환이 비예혼합 연소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xhaust Gas Recirculation on Non-premixed Combustion)

  • 유병훈;김진수;이창언
    • 한국연소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6-33
    • /
    • 2014
  •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NO_x$ emission for CH4/air non-premixed flames using the exhaust gas recirculation(EGR) methods, which are the air-induced EGR(AI-EGR) and fuel-induced EGR(FI-EGR) methods.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NO_x$ emission index($EI_{NOx}$) decreased with increasing EGR ratio. In the range needed to form a stable flame, the reduction rate of $EI_{NOx}$ for the FI-EGR method was approximately 29% when the EGR ratio was 20%, and the reduction rate for the AI-EGR method was approximately 28% with 25% of the EGR ratio. According to the flame structure based on numerical results, high temperature regions for the FI-EGR method were narrower and lower than those for the AI-EGR method at the same EGR ratio. Furthermore,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swirl flames, the reduction rate of $EI_{NOx}$ for the FI-EGR method was approximately 49% with 15% of the EGR ratio, while the maximum reduction rate for AI-EGR method was approximately 45% with 25% of the EGR ratio. Consequently, we verified that the FI-EGR method was more effective than the AI-EGR method in reducing $NO_x$ emission for non-premixed flames with EGR. We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relating to hybrid combustion systems, which can be used in the design of combustion systems in the future.

초희박 LPG 직접분사식 엔진에서 질소산화물 저감을 위한 배기재순환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EGR applicability for NOx reduction in lean-burn LPG direct injection engine)

  • 박철웅;조시현;김태영;조규백;이장희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2-28
    • /
    • 2015
  • LPG가 수송용 연료로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휘발유와의 연비격차를 감소시키고 후처리시스템 등에 의한 가격 부담을 낮추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안정적인 희박연소 구현을 통한 연비개선을 얻기 위해 실린더 중앙에 점화플러그와 연료분사기가 인접해 있고, 연료가 분사된 후 바로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분무유도방식의 LPG 직접분사엔진을 개발의 일환으로 연소제어인자의 변화에 따른 연소 특성을 분석하였다. 안정적인 연소를 위해 국부적으로 농후한 혼합기를 형성하는 성층희박연소의 특성상 일정 수준이상의 질소산화물이 배출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질소산화물 저감을 위해 EGR을 적용한 결과 연료소비율과 THC의 배출은 약간 증가하지만 $NO_x$배출은 약 15% 저감되었다. EGR 적용에 의한 연소속도의 감소는 초기 화염발달 시기에 집중되어 나타났으며 흡입공기의 희석효과에 의해 EGR율이 증가할수록 최대 열방출율 및 열방출율 증가 기울기가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