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배기밸브

Search Result 15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Numerical Study on the Generation and Propagation of Intake Noise in the Reciprocating Engine (엔진 흡기계의 소음발생 및 전파에 관한 수치연구)

  • 김용석;이덕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6.10a
    • /
    • pp.65-70
    • /
    • 1996
  • 엔진소음을 소음특성에 따라 분류하면 공력소음(Aerodynamic Noise), 연소소음(Combustion Noise), 기계적인 소음(Mechanical Noise)으로 나눌 수 있으며 소음원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면 배기계소음(Exhaust System Noise)으로 나눌 수 있으며 소음원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면 배기계소음(Exhaust System Noise), 흡기계소음(Intake System Noise), 냉각계소음(Cooling System Noise), 엔진표면소음(Engine System Noise)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소음중 엔진 내부의 유동에 의한 흡배기계통으로의 소음방출은 자동차 실 내외 소음의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는데, 이를 줄이기 위해 그 동안 소음기 등의 서브시스템의 형태와 그 위치조정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것이 비용 또는 성능에 영향을 미치므로 본질적인 소음원을 규명해 내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흡배기계의 소음은 엔진의 흡입, 배기행 정시 피스톤의 운동에 의해 팽창 및 압축파 형태의 압력파(pressure wave)로 발생하게 되고, 밸브근방에서는 유동의 박리(separation)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소음기 등의 서브시스템에서도 유동의 박리에 의해 발생하게 되며 특히 배기행정시 발생하는 압력파는 비선형영역에 있게된다. 흡기소음은 배기에 비해 그 크기가 작아서 그동안 등한시 되어왔으나 이것이 소비자의 불평요인으로 작용하므로써 이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수행되어야 한다. Bender, Bramer[1]는 흡배기계 소음의 외부 방사에 관하여 전반적으로 기술하였고 Sierens등[2]은 흡기계에서 1차원 MOC(Method of Characteristics)방법으로 비정상 유동해석을 하고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J.S.Lamancusa 등[3]은 흡기 소음원을 실험을 통해 예측하였고, 흡기소음도 비선형 거동을 보인다고 밝혔다. Yositaka Nishio 등[4]은 새로운 흡기실험장치를 고안하여 공명기(resonator)의 위치 변화에 의한 저소음 흡기계를 설계 초기단계에서부터 적용하려 하였다. 일반적으로 흡배기계의 복잡한 형상 때문에 대부분 실험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 하였고, 수치해석은 피스톤의 운동을 배제한 단순화한 흡배기계의 정상상태 유동해석이 주를 이루어왔다. Taghaui and Dupont 등[5]은 KIVA코드를 사용하여 흡기포트와 연소실 그리고 밸브의 움직임을 동시에 고려한 수치해석을 도입하였다. 하지만 이들이 밸브의 운동을 고려하기 위해 사용한 이동격자는 격자점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지만 그 격자의 수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어서 밸브의 완전개폐를 해석할 수가 없다. 강희정[6]은 단일 실린더와 단일 배기밸브를 갖는 문제로 단순화하여 피스톤과 밸브의 움직임을 고려하므로써 배기행정 후 소음이 어떻게 전파해 나가는가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최소밸브간격과 최대밸브간격 사이에서만 계산이 가능하나 흡기의 경우는 밸브가 닫힐 때 생기는 압력파가 중요하므로 실린더와 밸브사이에 벽면조건을 주어 밸브의 개폐를 모사하였다.

  • PDF

Study on distributing Pressure and Velocity on Exhaust Variable Valve Face of Back Pressure (배기압력이 배기가변밸브 면에 분포하는 압력과 속도에 관한 연구)

  • Kim, Kwon-Se;Choi, Doo-Seu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4
    • /
    • pp.1825-1830
    • /
    • 2014
  • Environmental emission of recent automobile is drastically enhanced that it is one of the obvious assignments of exhaust system. This study is a purpose to establish of influence distribution on maxima and minima through the location of pressure on exhaust variable valve. The experiment are checked with real angles using camera which exhaust variable valve is opened side of point. Data has extracted to opening angles with internal flow, pressure. Exhaust variable valve through the floating analysis was analyzed the characteristic of location point about pressure and velocity. The pressures indicated the reduced results internal pressure within muffler. The velocity indicated an opposite results and vibration state of valve was verified to be operated as high speed from lower section. The conclusion to obtain from this study was found out the result to make the optimum back pressure condition as more increasing pressure distribution on valve face if the velocity location attracted by bottom point in order to improve for engine performance.

Effects of Intake and Exhaust Valve Timing on Combustion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Lean-Burn Direct-Injection LPG Engine (직접분사식 희박연소 LPG엔진에서 흡배기 밸브시기가 연소 및 배기특성에 미치는 영향)

  • Park, Cheolwoong;Kim, Taeyoung;Cho, Seehyoen;Oh, Seungmoo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9 no.1
    • /
    • pp.45-51
    • /
    • 2015
  • In order to meet the enforced emission regulations and reduce fuel consumption, various new technologies are employed in engines. The problem of NOx emissions under a lean mixture condition should be solved, because a lean-burn direct-injection engine can realize stable lean combustion with a stratified mixture, which results in improvements in fuel economy and emission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ntake and exhaust valve timing changes on the performance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a lean-burn LPG direct-injection engine. Under a partial-load operating condition without throttling, an increase in the intake valve opening led to an increase in NOx emissions due to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excess air. The fuel consumption deteriorated with an increase in the exhaust valve opening due to a decrease in the expansion work and an increase in the pumping los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xhaust Valve Spindle for Marine 2 Stroke engines by Inertia Friction Welding Process (마찰 용접을 이용한 선박용 2 행정 기관용 배기밸브 스핀들의 개발 및 적용)

  • Oh, Jung-Seok;Han, Myoung-Seoup;Park, Hee-Cheon;Jeong, Ho-Seung;Cho, Jong-R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s Conference
    • /
    • 2006.06a
    • /
    • pp.29-30
    • /
    • 2006
  • 나이모닉 일체형으로 사용되고 있는 선박용 2 행정 저속엔진의 배기밸브 스핀들을 고온, 고압, 배기가스 및 반복 충격 하중에 노출된 스핀들의 Head부분은 기존의 나이모닉 소재를 적용, 기존 재질의 우수한 성질을 유지하고 설계적으로 나이모닉 소재의 적용이 불필요한 Stem부는 오스텐나이트 계열의 SNCrW 소재를 사용하여 관성마찰 용접 방식으로 접합하여 제품을 제작하고, 접합부의 미세조직 관찰, 성분분석, 인장, 경도, 피로시험 등의 기계적, 금속적 특성평가를 통해 마찰용접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확인하고 양산 생산을 위한 기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titanium alloy engine parts (티타늄합금 엔진부품개발)

  • 김상호;인치범;조원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8 no.3
    • /
    • pp.17-22
    • /
    • 1996
  • 티타늄합금을 사용하여 흡기밸브, 배기밸브, 밸브스프링 리테이너를 시제작하였다. FEM 구조해석결과와 모터링 내구실험결과를 통해 이들 부품들이 신뢰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엔진성능실험을 통해서 고속영역에서 엔진출력 및 토오크가 3-4% 향상되었다. 단 향후 엔진내구실험을 통하여 충분한 내구성검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Computational Approach to Improve Coolant Flow Characteristics for the SI Engine (수치해석적 접근을 통한 불꽃점화 엔진의 냉각수 유동특성 개선)

  • Lee, Sang-In;Park, Sung-Yo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0 no.12
    • /
    • pp.3553-3558
    • /
    • 2009
  •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mprove coolant flow pattern in the gasoline engine. Flow field has been calculated for the coolant passage mainly around the exhaust ports and valves. For the original model, a flow stagnant region has existed between exhaust valves of the second cylinder. To improve coolant flow characteristics, coolant passage area has been re-modeled and optimized. Furthermore, for the improved coolant core model, coolant passage under the exhaust manifold has been added to reduce exhaust-gas temperature. It was found that the flow through a gasket plays a critical role for the flow in the cylinder head and around exhaust valves. Finally, coolant flow around exhaust valves and in the cylinder head has been improved in terms of flow rate distribution.

게이트 밸브 출고누설검사 시스템 설계

  • In, Sang-Ryeol;Min, Byeong-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8a
    • /
    • pp.47-47
    • /
    • 2010
  • 게이트 밸브는 진공 시스템 구성에 있어서 빠질 수 없는 중요한 부품 중 하나로 공간을 구획하여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진공 상태와 대기 개방 상태가 공존하도록 만들어 주며 진공펌프와 같은 주요 기기들의 탈착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해 준다. 게이트 밸브는 열린 상태에서는 저항이 최소화되는 반면 닫힌 상태에서는 마치 마구리 플랜지로 막은 것처럼 완벽한 차단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게이트 밸브 상용제품은 개스킷이 닿는 밸브 시트가 한쪽에만 마련되어 있으므로 디스크 기계구조가 충분한 압력을 발휘하지 못한다면 어느 쪽이 대기압인가에 따라 디스크를 미는 힘의 크기가 변하여 기밀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 밸브의 누설검사는 순방향과 역방향 모두에 대해 시행해야 한다. 양방향 누설검사를 위해 한쪽 밸브 공간을 배기하고 반대쪽 공간에 헬륨을 뿌리는 작업을 교대로 하려면 배기시간의 단축과 신속한 잔류 헬륨기체 제거가 필수적이다. 게이트 밸브 제조 공장에서 상품을 출하하기 위한 시험검사라는 것을 전제로 합리적인 시간 내에 정확한 누설검사를 일관성 있게 할 수 있는 적절한 누설검사 시스템을 설계하고 측정절차를 상용 게이트 밸브에 대해 적용해 보았다.

  • PDF

A Numerical Analysis for Fuel Consumption by Improvement of Intake/Exhaust Valve Timing in a Common Rail Diesel Engine for a Generator (커먼레일 디젤엔진의 흡배기밸브 타이밍 개선을 통한 연비절감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 Kim, Seung Chul;Kim, Chung Kyun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6 no.2
    • /
    • pp.32-38
    • /
    • 2017
  • The common rail diesel engine used in this study uses mechanically driven camshaft for the operation of intake and exhaust valves, and the timing of valve opening and closing is fix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vehicle. However, the electric generator engine operates at a constant speed and partial load. Therefore, in order to optimize the design of common rail diesel engine for power gene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diesel combustion and emissions according to the change of valve timing were examined and calculated in terms of fuel economy. The valve timing of the diesel engine influenced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by changing the intake and exhaust flow and it was considered that the fuel efficiency of the generator could be improved.

Performance Development of Coolant Core for Range Extender Engine Using CFD Simulation (전산유체해석을 통한 RE엔진 냉각수 코어의 성능 개발)

  • Kim, Chang-Su;Park, Sung-Yo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5
    • /
    • pp.2075-2080
    • /
    • 2013
  • A Coolant core for Range Extender engine has been developed using CFD technique. Coolant by-pass has been added to the improved model to reduce temperature near and between exhaust valve. Due to the increased coolant flow-rate both around the second cylinder block and between exhaust valves, improved model shows no significant stagnant flow compared with base model. Finally, the improved model shows improved heat transfer coefficients near exhaust valves, and 5% reduced pressure-drop through the coolant core. Reduced pressure-drop may increase the fuel efficiency by reducing the load of a coolant pump.

Feasibility of Backfire Control and Engine Performance with Different Valve Overlap Period of Hydrogen-Fueled Engine with External Mixture (흡기관 분사식 수소기관의 밸브오버랩 기간 변화에 따른 기관성능과 역화억제 가능성)

  • Huynh, Thanh Cong;Kang, J.K.;Noh, K.C.;Lee, J.T.;Lee, J.H.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 /
    • v.18 no.1
    • /
    • pp.67-74
    • /
    • 2007
  • 고효율의 실현이 가능한 흡기관 분사식 수소기관의 역화 억제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밸브 오버랩 기간의 변화에 따른 제반 기관성능과 역화가 발생되는 역화한계 당량비를 실험적으로 해석하였다. 실험에는 기계식 연속 가변밸브 타이밍 시스템이 부착된 연구용 수소기관을 사용하였다. 밸브 오버랩기간은 배기밸브 개폐시기를 고정하고 흡기밸브 캠의 위상각을 조절하여 변화시켰다. 해석결과 밸브 오버랩 기간의 감소에 따른 제반기관성능은 통상의 기관과 유사하지만 역화한계 당량비가 확장되어 초기 단계이지만 수소기관의 역화발생에 밸브오버랩 기간이 관여하는 것이 보였다. 기관 회전수 1600 rpm, WOT의 실험 조건에서 밸브 오버랩 기간을 $20^{\circ}CA$에서 $0^{\circ}CA$로 감소시킨 경우 역화한계당량비는 약 45% 정도 확장되고 정미 토크는 16%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