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배관특성

검색결과 497건 처리시간 0.033초

스프링클러 배관의 부식 특성과 대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osion Property of Sprinkler Pipe and the Solution)

  • 김동성;조원철;김병선;이태식
    • 한국재난관리표준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87-92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화재소화장치로써 가장 효과적이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스프링클러 배관의 노후화시 나타날 수 있는 부식특성과 방지대책에 대해 연구했다. 본 연구를 위해 스프링클러배관으로 주로 사용되는 강관의 특성과 부식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했다. 부식은 주로 배관의 노후화와 시공오차에 기인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스프링클러 배관의 시료를 채취하여 외형검사, 비파괴검사 및 기계적 성질 변화 분석 등 다양한 방법으로 배관 부식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스프링클러 배관의 부식특성과 부식 최소화 대책 수립에 대한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배관 용접부에 존재하는 결함의 피로수명 평가 (The Fatigue Life Prediction of Defect in Pipeline Weldment)

  • 김영표;김우식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19권5호
    • /
    • pp.460-465
    • /
    • 2001
  • 본고에서 피로균열성장에 대한 일반사항과 배관용접부 결함의 피로수명평가 방안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고압의 가연성 가스나 액체를 수송하는 배관이 피로에 의해 파괴되는 경우에는 엄청난 재산과 인적 손실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관운용회사들은 배관의 안정적인 운용을 위하여 다양한 환경에 노출되어있는 배관의 피로특성을 정확히 평가해야 한다.

  • PDF

탈황설비 배관내 유동장 해석 및 압력손실 계산 (Flow Analysis and Pressure Loss Calculation in the Ducts of FGD System)

  • 고성모;이진욱;황금호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199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1-25
    • /
    • 1998
  • 탈황설비 배관내 연소가스의 삼차원 유동장에 대한 전산해석을 수행하였다. 복잡한 형상으로 주어진 배관내의 유동장 특성을 관찰하고 압력손실을 계산하였다. 특히 안개깃의 설치유무에 따른 유동장 특성 변화 및 압력손실 감소효과를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안내깃의 설치에 따라 유량배분이 적절하게 되고 압력손실이 현저하게 줄어듬을 알 수 있었다. 배관에서의 압력손실을 계산하여 배관설계 및 송풍기 용량 산정의 적절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천연가스 주배관의 재료물성 및 용접방안 (Material Properties and Welding Procedure of Natural Gas Pipeline)

  • 김우식
    • 한국가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스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9-44
    • /
    • 1997
  • 한국가스공사에서 건설중이거나 관리중인 천연가스 주배관의 길이는 날로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배관의 건전성확보를 위한 배관 재료물성 및 용접부위 특성 평가를 다양하게 실시하였다. 그 결과 현재 사용중인 배관은 모재와 각종 용접공정에 의한 용접부위의 기계적 특성이 각종 규격에서 제시하고 있는 권고치를 초과하는 높은 안전성을 보이고 있으며, 금속 조직 및 강도학적인 측면에서 충분한 건전성을 확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도시가스 배관 검사용 자기누설 비파괴검사 시스템의 결함 검출신호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bout defect signal of MFL type NDT System for Inspecting City Gas Pipelines)

  • 김희민;유휘룡;노용우;박관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5년도 제46회 하계학술대회
    • /
    • pp.868-869
    • /
    • 2015
  • 지하 매설된 가스배관을 정기적으로 검사하기 위해서 가스 공급 및 용역업체에서는 주로 비피과검사 탐상장비인 MFL(Magnetic Flux Leakage) PIG(Pipeline Inspection Gauge)를 사용한다. 기존의 MFL PIG는 배관 내 유체(가스,오일 등)의 전후차단 압력의 흐름을 이용해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피그를 진행시켜 배관의 결함 유무를 평가하는 시스템이다. 하지만 10기압 이하의 낮은 운영압력과 T 분기관과 같이 급격한 곡관부가 존재하는 직경 16인치 이하의 도시가스 배관에는 기존의 시스템을 적용하기 어렵다. 이처럼 기존 MFL PIG의 적용이 불가한 도시가스 배관(직경 16인치 이하)을 활주하기 위해서는 우선 비파괴검사 시스템을 견인할 수 있는 추진 로봇이 필요하고 추진로봇에 적합한 자기누설 비파괴검사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비파괴검사 장비의 센서 시스템은 결함신호를 탐지하여 결함의 발생유무 및 결함의 형상을 판별하는 성능도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16인치 도시가스 배관의 검사를 위한 자기누설 비파괴검사 시스템의 기초설계와 대상 시스템의 자기적 특성을 분석한다. 또한 배관 외벽의 결함 발생 유무에 따른 자기누설 신호의 크기 및 분포변화를 3차원 유한요소법을 이용해 해석하여, 결함 검출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둔다.

  • PDF

천연가스배관용 ERW강관 (ERW Steel Pipe for Natural Gas Pipeline)

  • 김우식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19권3호
    • /
    • pp.261-266
    • /
    • 2001
  • 본 고에서는 배관 재료일반과 용접공정에 대해 ERW강관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국내 가스배관에서 ERW강관이 사용되는 것은 외경 24인치 이하 배관이며 그 이상 크기의 배관에서는 SAW강관이 사용된다. 배관의 안전성 및 건전성 확보를 위하여 가장 주의를 가지고 평가해야 할 대상은 손상 및 결함의 발생 비율이 가장 높은 심용접부 및 원주용접부 이다. 이들 배관 용접부의 건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모재와는 다른 특성을 지닌 용접부위에서 다양한 금속학적, 역학적 인자들의 영향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평가를 실시하여야 한다. 용접부위 품질확보는 가스배관의 안전과 안정적운용에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다.

  • PDF

하나로 냉중성자원 헬륨 이중배관의 특성

  • 최호영;김민수;손우정;이문;한재삼;조성환;허순옥;안국훈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1년도 제40회 동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361-361
    • /
    • 2011
  • 하나로 냉중성자원(CNS: Cold Neutron Source)은 원자로 수조내 반사체 탱크에 위치한 수직 조사공에 설치되어 하나로 노심에서 발생하는 열중성자를 감속재인 액체 수소층을 통과시켜 냉중성자를 생산한다. 생성된 냉중성자는 유도관을 통하여 냉중성자 산란장치에 공급되어 이용 연구에 활용된다. 감속재로 사용되는 수소는 헬륨냉동계통의 운전에 따라 수소가 수조내기기 집합체(IPA: In Pool Assembly) 내로 이동되어 액화되어지므로, 극저온의 헬륨가스의 흐름이 중요하다. 헬륨냉동기에 의해 만들어진 극저온인 헬륨은 IPA 내의 수소와 열교환을 하기 위해서 배관을 통해 이동되며, 열손실없이 전달하기 위하여 헬륨 배관은 진공층이 형성된 이중배관으로 설계되어 있다. 헬륨 이중배관은 공급 및 회수 배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헬륨 배관의 외관에 진공층을 20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제작 및 설치되었으며, 각각의 진공도를 유지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하나로 냉중성자원 헬륨 이중배관의 특성과 헬륨냉동계통의 운전 및 정지시 온도 변화에 따른 이중배관 진공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 PDF

소방 배관용 브라켓의 변형특성에 관한 수치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n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bracket for fire pipe system)

  • 김경섭;김청균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회 자료집
    • /
    • pp.312-31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배관계에 가해진 압력으로 인하여 변형된 배관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브라켓에 대하여 여러 가지 형상으로 모델링하여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브라켓의 형상변화가 변형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 하였고, 배관시스템의 브라켓의 강도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산업공학에서 쓰였던 다구찌방법을 도입하여 최적화 설계를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PDF

가스배관 원주자동용접 공정 개발 및 기계적 특성 평가 (Girth Welding Proced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Gas Pipeline)

  • 김우식;김영표;김철만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09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4-84
    • /
    • 2009
  • 파이프라인을 건설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술이 배관 용접기술이다. 즉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는 작업이 공사 진척도를 결정하기 때문에, 이를 얼마나 경제적으로 신속하게 수행해 나가느냐하는 것은 건설기간 및 건설비용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이다. 가스배관 시공 원주용접 방법은 여러 가지 있는데, 현재 국내에서는 전량 수동용접을 채택하고 있다. 이 방법은 국내 가스배관을 건설한 초기부터 적용해온 것으로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취약한 국내 자동화기술과 열악한 도로 매설 시공여건에서 적용하기 용이한 방안이다. 그러나 우수한 용접기량을 보유한 용접사가 점차 부족해지고, 배관시공 시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줄이기 위한 필요성이 점차 커지면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로서 자동원주용접방안이 있다. 이 기술들은 해외 가스배관에 이미 오래전부터 적용되어 용접부위 신뢰성과 품질 우수성을 확보하고 시공비용절감을 달성하고 있다. 자동용접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용접절차를 수립하여 절차인증시험을 수행하고, 기존방안과 동일이상의 품질이 확보되며 효율성을 겸비해야만 한다. 국가 기본에너지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적기 시공이 필요하고, 1 km당 10 억원 이상이 소요되는 배관시공비용 중 약 1/3이 용접비파괴검사 비용인 점을 감안할 때 품질이 확보되면서 경제적인 시공방안이 있다면 이를 적용하는 것이 국가 산업 경제적 측면에서 필요한 일이다. 이와 관련된 연구에서는 국내 가스배관 원주용접에 적용 가능한 용접공정을 검토하고, 용접절차를 수립하여 절차인증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추가로 배관 원주 자동용접부위에 대한 기계적 특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현재 국내 건설여건과 비파괴검사 기준을 만족시키고 안전성과 효율성을 겸비한 방법으로는 초층과 2층은 수동 GTAW를 적용하고 나머지 층은 반자동 FCAW를 적용하는 방안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전 층을 자동 GTAW로 용접하는 방안은 품질은 확보되지만 효율성측면에서 대형배관에는 적용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해외에서 많이 사용되는 자동 GMAW 방안은 국내 비파괴검사기준을 만족시키기 어려워 검토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용접방법에 대한 용접공정개발과정과 원주용접부위 기계적 특성을 검토하여 최적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배관진동 해석기술

  • 이현
    • 원자력산업
    • /
    • 제16권8호통권162호
    • /
    • pp.68-77
    • /
    • 1996
  • 한전 전력연구원은 최근 월성 원자력 1호기 주증기관 배관 설비의 안전성 및 운전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킬 `배관진동 해석기술`을 개발하였다. 이 기술은 소음진동연구팀이 연구에 착수한지 2년만에 성공한 것으로, 10년 이상 진동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월성 원자력 1호기 주증기 배관의 유체 유동, 구조물의 동적$\cdot$정적 특성을 규명, 진동 감쇠 장치를 설치하게 됨으로써 배관의 최대 진동값이 허용 기준치 이하로 줄어들어 시스템 신뢰성 및 원전 설비의 안전성을 크게 높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전력연구원은 앞으로 이 기술을 월성 1호기 나머지 2개 라인 및 타 발전소에까지 적용시켜 대형 배관 구조물의 해석 기술을 선진국 수준으로 향상시킬 계획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