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밭토양

Search Result 75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농약류 (1,2-dichlorobenzene, hexachlorocyclohexane)의 토양 흡착 특성 규명

  • 정현정;이민희;도원홍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338-341
    • /
    • 2003
  • 유기염소계 농약 중 대표적인 살충제 $\delta$-BHC(hexachlorocyclohexane)와 1, 2-DCB (1, 2-dichlorobenzene)에 대한 논, 밭 토양 및 풍화 토에 흡착 배치실험을 통하여 토양 특성과 유기오염물간의 흡착 관계를 규명하였다. 13개의 토양시료에 대하여 pH, CEC, 유기물 함량, 비표면적, 입도분석, 원소조성분석을 통하여 토양의 물리ㆍ화학적 특징이 토양 흡착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유기염소계 농약의 흡착량을 Freundlich isotherm으로 나타내어 흡착분배계수(K$_{d}$)를 산출하였다. $\delta$-BHC는 유기물 함량이 높은 soil-4$_{d}$에서 가장 높은 $K_{d}$ 값을 보였으며, 1,2-DCB의 경우 CEC, 비표면적이 가장 낮은 soil-5에서 낮은 $K_{d}$ 값을 보여 토양 내 유기물 함량과 비표면적이 유기오염물 흡착량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Prediction Model for Accumulation and Decline of Exchangeable Potassium in Upland Soil with Long-Term Application of Fertilizer Potassium (가리질비료(加里質肥料) 연용(連用) 고추재배(栽培) 밭토양(土壤)의 치환성가리함량(置換性加里含量) 변동양상(變動樣相) 예측방법(豫測方法))

  • Jung, Beung-Gan;Yoon, Jung-Hui;Hwang, Ki-Sung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29 no.4
    • /
    • pp.342-346
    • /
    • 1996
  •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ode of changes in exchangeable K contents in the soil under the continued(for three years) application of different levels of K fertilizer(KCl) with and without application of conventional compost(CC) and chicken-dung derived compost (CDC) for red pepper cultivation at two field parcels with different exchageable K contents on Gopyong silty loamy soil. The application of KCl at standard rate for red-pepper resulted in the increase in exchangeable K in the soil after each harvest of the crop. while no application of K and the application of KCl at one half of the standard rate tended to lower the exchangeable K in top soil with the cultivation of the crop. The application of compost in addition to KCl ammplified the difference in exchangeable K in the soil before and after the harvest of each crop. An equation could resonably well predict the exchageable K content in top soil after the years of crop cultivation, under different treatments. were developed.

  • PDF

Soil Loss and Water Runoff in a Watershed in Yeoju (소유역(小流域)에서 토양(土壤) 유실(流失) 및 물 유출양상(流出樣相))

  • Lee, Nan-Jong;Oh, Se-Jin;Jung, Pil-Kyun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1 no.3
    • /
    • pp.211-215
    • /
    • 1998
  • Soil loss and runoff were investigated in a small watershed located in Sangeo-ri, Yeoju-eup, Yeoju-gun, Kyonggi-do. The watershed with the area of 35 ha consists of forest, grassland, uplands and mulberry. V-notch type water tank. flow-meter, automatic water sampler and rain gauge were installed at the main outlet stream. Out of $1.037.9Mg\;35ha^{-1}$ of total annual rainfall. 17.9% was lost via run-off. The total amount of soil eroded was $152.2Mg\;35ha^{-1}$, of which $78.6Mg\;35ha^{-1}$ was suspended load and $73.6Mg\;35ha^{-1}$ ha was sediment load. The soil losses under different land uses were $16.02Mg\;ha^{-1}$ for upland annual Crops. $2.69Mg\;ha^{-1}$ for mulberry field, $0.58Mg\;ha^{-1}$ for grassland and $0.55Mg\;ha^{-1}$ for forest. The predicted soil loss by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was approximately 20% underestimated in forest, grassland and uplands, and 32% underestimated in mulberry field.

  • PDF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tural Soils-1981 (농경지토양(農耕地土壤)의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농약(農藥)의 잔류평가(殘留評價))

  • Park, Chang-Kyu;Ma, Yeon-Si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1 no.1
    • /
    • pp.1-13
    • /
    • 1982
  • Composite soil samples from 236 sites representing paddy field, up-land, orchard and plastic film house were examined for organochlorine residues by GLC-ECD. Detection frequencies and residual levels of most persistent organochlorine residues in the soil samples were found to depend on the cropping practices. Highest organochlorine residues were found in orchard soils and followed, in decreasing order, plastic film house, up-land and paddy field soils. ${\alpha}-Endosulfan$, dieldrin, p,p'-DDD and p,p'-DDT were responsible for the observed high organochlorine residues in the orchard soils. ${\alpha}-BHC$ and ${\gamma}-BHC$ were detected in all 236 soil samples. The mean residue levels of both BHC isomers were, however, remained fairly low. Residues of PCNB and ${\alpha}-endosulfan$ in native soils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present work. PCNB was present in up-land plastic film house soils while ${\alpha}-endosulfan$ was found in all agricultural soils studied. High levels of p,p'-DDT and dieldrin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crops cultivated, amount and duration of the pesticides usage. Need for continued observations on the persistent residue of pesticides in soils, already banned for general use, is emphasized.

  • PDF

Mobilization Characteristics of Indigenous Phosphate by Oxalic Acid and Dilution Factors in Upland Soils (밭토양에서 옥살릭산과 희석요인에 의한 자체 인산의 이동 특성)

  • Chung, Doug-Young;Lee, Kyo-Suk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9 no.1
    • /
    • pp.46-51
    • /
    • 2006
  • Phosphorus accumulation in fertilized soils becomes serious problem for agriculture and the environment. In this investigation, we conducted a laboratory scale investigation to find the most desirable displacement methods of the adsorbed phosphate onto the soil particle surfaces. Soil samples which contained high amount of phosphate were collected at two different depths (0-10 cm and 10-20 cm) from four locations at the moderate highland located in Nonsan, Chungnam. To observe the mobilization of solid-phase phosphate, soil samples were equilibrated with oxalic acid solutions ranging from $10^{-5}$ to $10^{-1}cmol\;L^{-1}$ with the dilution factors of 1:1, 1:2.5, 1:5, 1:10, and 1:20. The mineralized P sharply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oxalic acid was greater than $5{\times}10^{-4}cmol\;L^{-1}$ under dilution factors of 1:1, 1:2.5, and 1:5. The breaking concentration of oxalic acid was lowered to $10^{-4}cmol\;L^{-1}$ and $5{\times}10^{-5}cmol\;L^{-1}$ for dilution factors of 1:10 and 1:20, respectively. The curve fit obtained from the graph can be described by exponential growth when the dilution factors were 1:1, 1:2.5, and 1:5 while the sigmoidal shape for 1:10 and 1:20, showing the mineralization of P were significantly dependent on the dilution factor.

Estimation of R-Factor for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with Monthly Precipitation in North Korea (북한지역의 월강수량과 지역보정계수를 적용한 USLE의 강수인자 R 산출)

  • 정영상;정필균;신제성;임정남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Conference
    • /
    • 2001.06a
    • /
    • pp.15-17
    • /
    • 2001
  • 북한 지역은 산이 많아, 농경지의 많은 부분이 경사지에 이루어져 있다. 경사지는 특성상 토양 유실이 일어나기 쉬운 조건에 있다. 북한 지역에서 토양 유실은 농경지 황폐화의 주된 원인이고, 농업 생산성 감퇴의 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경사지 밭에서 강수에 의한 토양 유실이 심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류, 2000).(중략)

  • PDF

Tilling Properties of Stone Burying Rotarvator (매몰형 자갈밭 로타리의 경운특성)

  • 김상철;박우풍;이운용;김용덕;윤창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7a
    • /
    • pp.128-133
    • /
    • 2003
  • 우리나라는 국토의 약 68%가 산악지형으로 포장의 경사와 토양중의 자갈이 밭작물의 재배와 기계화에 장애가 되고 있다. 포장중의 자갈은 토양의 보습력과 통기성을 향상시키고 경사지에서의 토양침식을 방지하는 긍정적 측면이 있으나, 자갈이 토양 표면에 산재할 경우 작물의 발아와 입모를 억제하고, 작물생육을 위한 토양환경을 조성하는 경운작업 재배관리 작업을 어렵게 하기 때문에, 농민들은 포장내의 자갈을 제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관행 로타리 작업 시에는 자갈이 대부분 토양 표면에 노출됨으로 생육환경 및 기계작업 환경을 더욱 악화시키게 된다. 2cm이상의 자갈이 토양 표면에 있을 경우 기계 파종이나 이식이 어렵고 발아이후의 생육도 좋지 않게 된다. 그러나 지중에 존재하는 자갈은 토양의 투수성을 향상하여 경사지에서 토양침식을 막아주고, 수분과 온도의 보지력을 크게하고 토양 통기성을 향상시키므로 뿌리의 발육을 촉진해 준다. (중략)

  • PDF

Comparison of Hydrologic Soil Groups with Classification Method (분류방법에 따른 수문학적 토양유형 비교)

  • Jung, Kang-Ho;Hur, Seung-Oh;Sonn, Yeon-Kyu;Park, Chan-Won;Ha, Sang-Keun;Kim, Nam-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97-105
    • /
    • 2007
  • 수문학적 토양유형은 복잡하게 세분되어 있는 토양의 종류를 수문학적인 목적에 따라 단순화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미농무성 토양보전국에서 고안한 개념이다. 우리나라 토양을 이 방법으로 구분하고자 하는 몇번의 시도가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정 등(1995)이 분류한 수문학적 토양군이다. 이는 토양의 침투 투수특성에 대한 실측자료가 부족한 우리나라의 실정을 감안하여 토성속(textural family), 배수등급(drainage class), 불투수층(impermeable layer), 투수성(permeability)의 네가지 토양특성을 분류특성으로 하여 각각에 1-4점 범위로 점수를 매긴 후 합산한 점수를 기준으로 수문학적 토양유형을 분류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토양의 한계침투속도에 따라 수문학적 토양유형을 분류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방법으로 분류할 때 기존의 방법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고자 하였다. 정 등(1995)의 분류방법은 개념상 몇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먼저 토양의 수리특성은 같은 토성속이라 하여도 토양생성 과정과 토지이용 방법에 따라 그 차이가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해 고려하지 못하였으며 다음으로 지표유거가 많아 배수가 양호한 토양의 강우 유출을 과소평가한다. 또한 얕은 토심에 존재하는 불투수층이 존재하는 경우 토양의 수리특성에 관계없이 적은 양의 강우에도 유출이 발생하므로 별도의 제한인자로 간주하여야 한다. 토양의 한계 침투속도를 이용한 분류방법은 이러한 문제점을 상당 부분 개선할 수 있다. 토양의 한계침투속도를 산정하기 위해 현장에서 지표 한계침투속도와 투수속도를 측정하였으며 이 자료를 확장하여 해석하기 위해 입자특성을 이용한 Pedo Transfer Function을 개발하였다. 토심 50 cm 포화시 토양 투수성을 한계 침투속도로 가정하였으며 50 cm 이내에 암반층과 지하수위가 존재할 경우 투수성에 관계없이 D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새로운 방법으로 분류한 결과 기존의 분류와 몇가지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가장 큰 차이는 대부분의 논토양이 느린 한계침투속도의 영향으로 D유형에 속한 것이다. 산림토양과 밭토양은 기존 방법과 마찬가지로 A, B유형이 많았으며 암반층을 고려하기 전에는 기존 분류에 비해 강우 유출 가능성이 적은 쪽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암반층이 존재하는 토양을 고려한 결과 A 또는 B 유형에 속하던 상당수의 산림토양이 새로운 분류에서 D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지표 유거가 많아 배수등급이 매우양호로 분류되던 토양은 정 등(1995)의 분류와 비교하여 대부분 강우 유출 가능성이 큰 쪽으로 조정되었다. 새로운 수문학적 토양유형을 이용할 경우 낮은 토심에서 암반층이 발견되는 산림토양이 분포한 유역이나 산림, 밭 등에 식질 토양이 많이 분포하는 유역에서는 기존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보다 강우 유출량이 높게 평가될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강우 유출량 실측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지속적인 보정을 하여야 할 것이며 특히 불투수층의 존재시 일괄적으로 D유형으로 분류된 토양의 경우 깊이에 따라 C 또는 D 유형으로 세분하여 조정할 필요가 있다.

  • PDF

Filter Clogging of Leachate Collection and Removal System at Waste Landfill (불량폐기물 매립지 및 주변토양 오염도에 관한 연구)

  • 김동우;한영수;이재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0.11a
    • /
    • pp.310-313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사용 종료된 매립지 재사용을 위해 정비를 실시 중인 전국 매립지 중에서 충남 공주시 금홍동에 위치한 사용 종료된 매립지를 대상으로 하여 사업 지구 및 그 주변지역의 환경질 평가를 위하여 토양에 관한 오염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시료는 매립지 내 1개 지점과 주변 논 2개 지점, 밭 1지점으로 총 4개 지점에서 채취하였다. 토양시료의 분석항목은 토양환경보전법에서 제시하는 총 11개 항목으로 하였으며, 실험방법은 토양오염공정시힘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토양환경보전법상 농경지에 대한 우려기준과 비교하여 전 항목이 기준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질의 면에서 된다면 이 매립지 부지는 일반적인 용도의 토지로써 사용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