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밭작물

Search Result 582,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Effect of Silicate Fertilizer on Oriental Melon in Plastic Film House (시설재배 참외에 대한 규산 비료 시용 효과)

  • Lee, Sung-Ho;Cho, Hyun-Jong;Shin, Hyun-Jin;Shin, Yong-Sup;Park, So-Deuk;Kim, Bok-Jin;Chung, Jong-Bae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6 no.6
    • /
    • pp.407-416
    • /
    • 2003
  • Although the requirement and optimum soil level of Si for oriental melon are still not well understood, silicate fertilizer is commonly applied to the oriental melon in plastic film houses where soil silicate level is relatively high. In this research the effects of silicate fertilizer on growth, fruit yield and fruit quality of oriental melon, and soi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in plastic film house where the soil available silicate was $212mg\;SiO_2\;kg^{-1}$. Silicate fertilizer was applied in the rates of 100, 200, and $300kg\;10a^{-1}$. The application of silicate fertilizer could not increase the early growth of oriental melon, and also the fruit yield and quality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Available Si and P contents in soils and also Si and P contents in leaf of oriental melon of the different treatm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Si in oriental melon leaf and soil silicate extracted by 1 N sodium acetate, optimum soil available silicate level for oriental melon was found to be around $100mg\;SiO_2\;kg^{-1}$.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dditional silicate fertilization in soils of available silicate higher than $100mg\;SiO_2\;kg^{-1}$ is unnecessary, and such application of silicate can not have any beneficial effect on the growth and fruit yield of oriental melon.

Distribution of Soil Components and Their Relationships in Different Soil Depths in Australian Upland Soil (Narayen Exp. sta., CSIRO) (호주(濠洲) Narayen 시험장(試驗場)(CSIRO) 포장토양(圃場土壤)의 심도별(深度度) 성분(成分) 분포(分布))

  • Ahn, Yoon Soo;Choi, Jyung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25 no.2
    • /
    • pp.168-174
    • /
    • 199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distribution of soil components and their relationships in layer of soil profiles under upland condition. Concentrations of nitrate, chloride, and that sort of thing in soil profiles were tested in a field covering $235m^2$ by core sampling down to 150cm depth. Total nitrogen contents in soil profiles progressively decreased in lower depths down to 150cm. Nitrate concentrations in deeper layers than 110cm, which revealed a similar distribution pattern with total nitrogen down to 110cm, increased with the depth lowering to 150cm, indicationg that nitrate has leached to deep layer. Natural abundance of $^{15}N$ in total nitrogen and nitrate in all the soil profiles showed higher values compared with the other general cultivated soils and trended to get higher in deeper layers. The horizontal variation of $^{15}N$ distribution in the field surveyed was not significant. Chloride concentrations and EC values in soil profiles increased with depth where nitrate was accmulated, and showed a high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m.

  • PDF

Development of a reuse system for agricultural purpose with wastewater in Youljung, Jeju Island (제주 월정 농업용수재이용시스템 개발)

  • Lee, Kwang-Ya;Kim, Hae-Do;Joo, Jin-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70-470
    • /
    • 2011
  • 환경부 하수재이용사업은 2007년도 하수도법 개정을 통해 공공하수처리시설 처리수의 재이용 의무화를 시작으로 2010년도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의 시행으로 전국적으로 사업이 확대되고 있다. 제주도 월정하수처리장은 2009년도 하수재이용사업지구로 선정이 되어 2010년도부터 농업용목적의 재이용으로 구체적인 설계와 시공이 추진되고 있는 사업지구이다. 제주도에서는 지하수보존을 위해 대체수자원 개발 방안을 시급히 마련중에 있다. 특히, 제주도 농업용수 종합계획수립(제주도, 2004)에는 하수처리수를 농업용수로 이용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할 정도로 지하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진행중에 있으며, 그 일환으로 하수재이용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하수처리수의 농업용수 재이용은 사용된 물을 재이용함으로써 물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유역 또는 해양으로 배출되는 오염원을 억제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농산물 생육에 직접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주변의 수질 생태 토양 환경 및 영농인의 보건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찰과 검증작업이 필요하다. 이 에 서울대와 한국농어촌공사는 안전한 농업용수 재이용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장기간 현장시험을 통해 재이용 재배기술과 함께 보건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고 그 개발기술을 월정사업지구에 적용하게 되었다. 월정하수처리장이 위치한 제주 동부의 월정지역은 농지면적이 밭(374ha)과 과수(12ha)등 제주도의 전형적인 농촌마을으로 주요 재배작물은 마늘과 당근, 쪽파, 콩 등으로서 농업기반시설의 미비로 영농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으며, 2006년도에 발생한 가뭄으로 그 해 평균 수학량의 30%가 감소된 바 있는 지역이다. 제주도 농업용수 종합계획수립(2004, 제주도)에서는 10년에 한발을 기준 으로 $43,000m^3$/일의 용수가 부족할 것으로 분석하였으며 최근 $35,000m^3$/day 규모의 상수도 확보사업 계획 수립하였으나 여전히 농업용수가 부족하다. 방류수의 수질은 방류수수질기준을 만족하지만 염분함량이 높아 직접 농업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적당하기 않고, 농업용재이용방류수 수질기준에 맞도록 재이용시스템을 통해 재처리하여 농업용수로 사용해야 한다. 제주도에서는 이미 제주 서부하수처리장 농업용수 재이용사업(이하 판포재이용사업)'이 완료되어 재이용수를 농업용수로 공급하고 있으며 향후 지속적으로 하수재이용사업이 확대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ffect of Organic Fertilizer as Bio-com Application on the Changes of Soil Microorganisms, Gas Evolution, and Mineral-N Transformation in Submerged Condition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Bio-com 시용(施用)이 토양(土壤)의 미생물상(微生物相) 및 화학성(化學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 Kim, Jeong-Je;Lee, Sang-Kyu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20 no.4
    • /
    • pp.351-357
    • /
    • 1987
  • A laboratory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organic fertilizer as Bio-com$^{(R)}$ on the changes of pH and Eh values, gas evolution, ammonification and nitrification, and microbial population with farmer's compost and refused mushroom compost in submerged paddy condition.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pplication of compost and refused mushroom compost was increased the pH values than that of NPK alone. Organic fertilizer of Bio-com$^{(R)}$ showed the same results of the farmer's compost or refused mushroom compost. 2. Population of soil microbes as bacteria, actinomycetes and fungi was increased by application of compost, refused mushroom compost and Bio-com$^{(R)}$. Moreover, the results were pronounced more with the addition of NPK. 3. The application of Bio-com$^{(R)}$ was effected to the increase of the amount of $NO_3-N$ and the rate of nitrification than NPK, farmer's compost or refused mushroom compost. 4. The amounts of evolved gases as $CH_4$, $CO_2$, and $N_2O$ were not much differed with application of kinds of compost and NPK, but little increasing tendency was observed in application of NPK than that of NPK+kinds of compost.

  • PDF

Effects of Organic Materials and Precipitation on Nitrogen Uptake Efficiency in Sorghum ${\times}$ Sudangrass Hybrid (유기자재와 강수량이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질소이용효율에 미치는 영향)

  • Choi, Hyun-Sug;Lee, Youn;Jung, Jung-Ah;Jee, Hyeong-Jin;Lee, Sang-Min;Kuk, Yong-In;Jung, Seok-Kyu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 /
    • v.20 no.3
    • /
    • pp.357-368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soil inorganic N concentrations and N uptake efficiency of sorghum ${\times}$ sudangrass hybrid (Sorghum bicolor (L.) Moench) as affected by organic nutrient sources from 2009 to 2011. The treatments included chemical fertilizer, compost, oilcake, alfalfa hay mulch, and control. Nutrient applications were made at rates equivalent to approximately 210 kg of actual N per hectare. The precipitation during the growth period from May to September was higher in 2011, followed by 2009, and 2010. Oilcake had the lowest C:N ratio in the raw materials. Compost treatment slowed N-mineralization rate in soil during the measured years. Soil mineral nutrition and dry matter production were not consistently affected by treatments, but the dry matter produc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precipitation from May to September for three years. Chemical fertilizer treatment increased N efficiency in plants in the first two years, observing with lower N efficiency in plants treated with compost for 3 years. Increased precipitation from June to August improved N efficiency in sudangrass plants treated with compost but reduced the efficiency with the chemical fertilizer. Total dry matter production and N efficiency in plants were not affected by the C:N ratio of the raw materials rather than weather condition.

Effects of Fly Ash, Gypsum, and Shell on the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Growth of Chinese Cabbage in Acidic Soils (산성토양에서 석탄회,석고,패각시용이 토양화학성과 배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 Ha, Ho-Sung;Kang, Ui-Gum;Lee, Hyub;Lee, Yong-Bo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17 no.2
    • /
    • pp.164-169
    • /
    • 1998
  • In order to evaluate the utility of the bituminous coal fly ash, gypsum, oyster shell as soil amendments, acid sandy loam soil with low boron content were amended in the upper 15cm with amendments, and then chinese cabbage was cultivated in fall. Amendments treated were, in metric tons per hectare, i ) none(Check) ; ii) 80 fly ash(FA) ; iii) 4shell(SH) ; iv) 56 fly ash+24gypsum (FG) ; v) 40 fiy ash + 24 gypsum +0.8 shell(FGS). On the whole, amendments imoroved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contents of N, P, K, Ca, and B in leaves. Among treatmens, FA prominently neutralized soil pH and increased available $P_2O_5$ ,B but decreased Fe contents in soils. FGS also affected the increment of exchangeable Ca, Mg, and available B. Yield response in fresh weight of chinese cabbage was in order of 85% for FGS>77% for FG>66% FA>5% for SH plants. Reducing sugar and vitamin-C contents of leaves depending on treatments showed the same tendencies as that in yields, whereas crude fiber opposite to theme. In particular, FA, FG, and FGS plants showed normal growth without boron deficiency symotoms which appeared in Check and SH plants.Taken together, FGS was an effective combination enable to maximize the utility of fly ash, gypsum, and shell as soil amemdments, especially in cabbage yield and quality.

  • PDF

Effect of Antibiotic Fermentation Residues on Rice and Tomato Growth (항생물질 발효 부산물이 수도 및 토마토 생육에 미치는 영향)

  • Lim, Soo-Kil;Yang, Han-Chul;Kim, Sung-Bok;Kwon, Hyok-Ji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3 no.1
    • /
    • pp.52-56
    • /
    • 1984
  • In order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wo kinds of antibiotic fermentation residues on rice and tomato growth, yield, yield components, and some indicators for plant growing status were checked including analysi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se two antibiotic fermentation residue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se two antibiotic fermentation residues contain high organic matter ($21.6{\sim}24.2%$), phosphorus ($2900{\sim}4600 ppm$) and exchangeable cations ($55.4{\sim}138.3 meq/100 g$,), showing their pH values of $7.0{\sim}8.0$ range. 2) Both have developed net positive charge rather high and stiffly that exhibits high negative ion adsorption capacities, accordingly showing higher zero point of charges($pH 7.0{\sim}8.0$) than those of common soils. 3) The effect of the two kinds of antibiotic fermentation residues on rice growth was more or less the same comparable to the effect of the other fertilizers applied, showing the maximum yield at the application rate of 40 ㎏/10a. 4) The effect of these antibiotic fermentation residues on tomato growth was also similar to effects on rice plant showing the yield increment upon fertilizer application including two antibiotic fermentation residue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fertilizers. 5) According to the plant growing status, plant height, dry matter, number of effective tillers and grain number per panicle of rice and plant height and fresh weight of plant of tomato showed similar trend with yield of both plants.

  • PDF

농촌어메니티에 기초한 농촌자원의 중요도 평가 및 순위적 관계 분석

  • 박창석;전영옥;조영국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2.05a
    • /
    • pp.120-123
    • /
    • 2002
  • 본 연구는 농천어메니티의 개념을 토대로 농촌주민과 도시민의 가치라고 할 수 있는 정주기능으로서의 생활자원화와 방문가치로서의 관광자원화로 구분하고, 이를 토대로 도시민과 농촌주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농촌자원의 중요도와 순위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자원을 자연적 자원과 문화적 자원, 사회적 자원으로 구분하여 37개 자원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농촌자원은 농촌어메니티를 형성하거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대상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이러한 농촌자원은 농촌주민과 도시민이 지닌 가치에 기초하여 생활자원적 가치와 관광가치적 가치를 동시에 혹은 차등적으로 지닐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은 농촌자원에 대한 중요도 평균에 대한 차이검증(t-test)을 수행한 결과 전체 자원의 56.8%에 해당하는 21개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결과에 의해 지지를 받는다. 셋째, 농촌자원에 대한 순위적 상관관계분석에서도 전문가와 전체집단에서 생활자원과 관광자원에 대한 순위상관관계가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위의 두번째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농촌자원의 개발 방향과 가치부여가 자원의 속성에 따라 차등적으로 진행되어져야 함을 보여준다. 다섯째, 농촌자원의 유형을 생활자원화와 관광자원화에 대한 중요도의 표준화 점수에 기초하여 4개 유형(유형 I~IV)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유형별 자원중요도를 고려하여 농촌마을의 개발목적에 비추어 생활자원형이나 관광자원형과의 연계를 통해 마을의 정체성과 특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를 고지도와 지리지.읍지를 통하여 살펴봄으로써 변한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을 분석하여 시대상의 복원과 지역사회의 정체성 확립에 일조하고자 한다.곡물의 여러 줄기가 합수하고 물이 역류하지 않으며 잘 감아도는 곳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명당의 기본적인 원리는 장풍(藏風)과 득수득파(得水得破)이다. 장풍과 득수란 '국'(局), 즉 산줄기와 수계로 이루어진 일정한 범위 속에 만물이 생태계 속에서 살아가는 모습인 '체형(體形)'의 의미가 나타나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는 시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면적의 52%를 점유하여 감자 재배지의 핵심지를 이룬다. 4. 한국 감자 재배지역 중심지의 지리적 특징은, 높은 산지지역의 산록완사면에 밭작물로 재배된다는 점과 교통이 불편한 지역으로서 도시화와 산업화 지역의 그늘 지역이 대부분이다. 강원도의 감자 재배지는 감자재배에 적합한 자연환경과 화전농업의 전통, 감자 재배기술의 전파,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지원하는 각종 연구소 분포와 영농지도, 씨감자 생산과 협동조합의 판로 개척, 도로 개설과 포장 등의 인문지리적 요인이 영농조건을 개선하고 감자 판매를 위한 시장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남한 최대의 감자 재배지역을 형성하였다. 제주도는 산지지형과 따뜻한 기온으로 2기작이 가능하고, 감자가공 공장설립과 교통발달에 따른 육지 시장과의 접근이 용이해졌기 때문에 남한에서 2번째로 큰 감자재배지역이 되었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그람양성균에서 효과적이었으며, 농도별 항균력시험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저해율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첨가농도를 달

  • PDF

예천군지역의 역사적 변천과정 -고지도와 지리지의 비교분석

  • 이한방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2.05a
    • /
    • pp.99-105
    • /
    • 2002
  • 변화의 속도가 느려서 장기지속적인 전체사의 바탕을 형성하고 있는 지리적 환경에 대한 적응결과로서의 지표경관을 도면상에 표현한 고지는 당시대인들의 세계관과 공간인식을 반영하고 있다. 인간을 둘러싼 지리적 환경은 장기적으로 벼하는 구조이다. 장기지속의 구조사는 지리지와 고지도에 잘 표현되어 있다. 지리지와 고지도에 대한 문헌조사와 현지야외답사를 통하여 경관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지역성과 한국전통지역사회의 원형을 파악하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자들에 의하여 정상기의 동국지도,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북방영토인식, 군현지도, 시대상의 복원과 지리환경 인식, 회화의 측면에서 본 고지도, 지명과 영토문제, 서양식 세계지도의 전래과정등의 연구주제들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기왕의 연구는 고지도에 대한 전체적인 현황 파악과 해제, 전체적인 유형 분류, 특정주제에 대한 고지도 이용 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고 구체적인 지역사회에 대하여 고지도를 통시대적으로 비교 분석한 연구는 드문 편이다. 사라져가고 있는 전통경관과 자연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은 촌락경관이 남아 있는 지역사회경관에 대한 고지도와 지리지를 활용한 연구가 시급하다. 고지도는 옛 지명, 산천, 도로, 역원, 행정구역, 역사적 위치의 파악과 문화경과 복원의 기초자료로서의 의미가 크므로 지역사회 단위의 연구가 필요하다. 19세기 말엽에 편찬된 읍지와 지도는 서양과 일본의 침략으로 변모되기 이전의 한국 각 지역의 모습을 추적하고 복원하는데 긴요한 역사적 자료이다. 현대 한국지역사회의 바탕을 이루고 있는 지난 400년간의 지역변화를 고지도와 지리지.읍지를 통하여 살펴봄으로써 변한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을 분석하여 시대상의 복원과 지역사회의 정체성 확립에 일조하고자 한다.곡물의 여러 줄기가 합수하고 물이 역류하지 않으며 잘 감아도는 곳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명당의 기본적인 원리는 장풍(藏風)과 득수득파(得水得破)이다. 장풍과 득수란 '국'(局), 즉 산줄기와 수계로 이루어진 일정한 범위 속에 만물이 생태계 속에서 살아가는 모습인 '체형(體形)'의 의미가 나타나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는 시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면적의 52%를 점유하여 감자 재배지의 핵심지를 이룬다. 4. 한국 감자 재배지역 중심지의 지리적 특징은, 높은 산지지역의 산록완사면에 밭작물로 재배된다는 점과 교통이 불편한 지역으로서 도시화와 산업화 지역의 그늘 지역이 대부분이다. 강원도의 감자 재배지는 감자재배에 적합한 자연환경과 화전농업의 전통, 감자 재배기술의 전파,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지원하는 각종 연구소 분포와 영농지도, 씨감자 생산과 협동조합의 판로 개척, 도로 개설과 포장 등의 인문지리적 요인이 영농조건을 개선하고 감자 판매를 위한 시장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남한 최대의 감자 재배지역을 형성하였다. 제주도는 산지지형과 따뜻한 기온으로 2기작이 가능하고, 감자가공 공장설립과 교통발달에 따른 육지 시장과의 접근이 용이해졌기 때문에 남한에서 2번째로 큰 감자재배지역이 되었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그람양성균에서 효과적이었으며, 농도별 항균력시험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저해율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첨가농도를 달리하여 미생물의 생육도를 측정한 결과, fraction II磎꼭\ulcorner경우 그람양성균에 대해 500 ppm 이상에서 뚜렷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서 뚜렷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min/+}$계 수컷 이형접합체 형질전환 마우스에 AIN-76A 정제사료만을 투

  • PDF

우리 나라의 감자재배 중심지

  • 이학원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2.05a
    • /
    • pp.77-80
    • /
    • 2002
  •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우리나라 감자재배지역의 분포 특징과 그 중심지를 밝혀 보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감자가 외국에서 우리나라에 전파해온 경로와 한국 내에서 의 전파경로를 알아보고, 7개 지역의 감자재배지역의 특징, 우리나라 감자재배의 생산량, 재배면적, 재배농가, 각 시기별 감자 재배지의 중심지와 남한의 감자재배 중심지를 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내용은 주어진 자연환경에 인간이 어떻게 적응해가면서 살아가는지를 공부하는 지리학의 전통적인 개념인 자연과 인간과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 중등학교 및 대학에서 공부하는 한국지리 교육과정의 학습자료로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과 1970년부터 1995년까지의 전국의 시.군별 감자재배지역의 입지계수를 구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감자가 한국에 처음으로 재배된 것은 1824년(조선조 순조24년) 인데, 전파과정을 살펴보면, 안데스산지의 페루(1500년대) $\longrightarrow$ 에스파냐(1532년) $\longrightarrow$ 중국(1650년) $\longrightarrow$ 한국(1824년)순으로 전파되어온 북방전래설과 영국의 감자가 1832년 충청도의 서산으로, 일본 감자가 1920년에 수원으로 전파되었다는 남방전래설이 있다 2. 감자는 한국 전 지역에서 재배되는 중요 농작물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지형이 남북으로 깊게 뻗은 반도국이므로 위도와 지형 차이에 따라 기온과 고도가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러한 자연적인 요인의 영향이 가장 큰 요인이 되어 고랭지 여름재배지역.중산간 봄재배지역.중부평야 봄재배지역 남부평야 봄재배지역 남부해안 2기작 재배지역.남부 겨울재배지역.제주 가을 월동재배지역 등 7개 지역으로 구분되어 재배된다. 3. 우리나라(남한)의 감자 재배지의 중심지는 강원도 고랭지 여름재배지역과 제주도 가을 월동재배지역, 소백산맥과 진안고원이 만나는 부근 산지지역의 남원군.구례군 거창군.고령군과 남해안의 밀양군.양산군이다. 강원도 지역과 제주도 두지역이 전테 재배면적의 52%를 점유하여 감자 재배지의 핵심지를 이룬다. 4. 한국 감자 재배지역 중심지의 지리적 특징은, 높은 산지지역의 산록완사면에 밭작물로 재배된다는 점과 교통이 불편한 지역으로서 도시화와 산업화 지역의 그늘 지역이 대부분이다. 강원도의 감자 재배지는 감자재배에 적합한 자연환경과 화전농업의 전통, 감자 재배기술의 전파,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지원하는 각종 연구소 분포와 영농지도, 씨감자 생산과 협동조합의 판로 개척, 도로 개설과 포장 등의 인문지리적 요인이 영농조건을 개선하고 감자 판매를 위한 시장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남한 최대의 감자 재배지역을 형성하였다. 제주도는 산지지형과 따뜻한 기온으로 2기작이 가능하고, 감자가공 공장설립과 교통발달에 따른 육지 시장과의 접근이 용이해졌기 때문에 남한에서 2번째로 큰 감자재배지역이 되었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