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학독서교실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경기 지역 학교도서관의 방학독서교실 프로그램 운영 실태 분석 (An Analysis on the Operation of Vacation Reading Guidance Program in School Libraries of Gyeonggi Province)

  • 임성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1-44
    • /
    • 2014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에서 운영되는 방학독서교실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여, 방학 중 독서교실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100개의 학교도서관 사서(교사)로부터 방학독서교실 프로그램에 대한 설문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내용은 1) 방학 중 독서교실 프로그램을 운영하는지의 여부, 2) 독서교실 운영의 목적, 3) 독서교실 참여 대상, 4) 독서교실 운영을 위해 참여하는 사람, 5) 독서교실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 등이다. 분석 결과, 방학 중 독서교실 프로그램은 대부분의 학교에서 운영하였고, 운영 목적은 학생들의 독서흥미를 고취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이에 근거하여 학교도서관의 방학독서교실 프로그램 운영 방안을 다섯 가지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학교도서관의 방학독서교실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에 도움을 줄 것이다.

애독 장려를 위한 공공도서관 방학독서교실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서울 소재 4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Promoting Children's Love of Reading through Vacation Reading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Focusing on Four Public Libraries in Seoul)

  • 정진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95-214
    • /
    • 2014
  • 본 논문은 독서습관 형성과 독서의 생활화라는 목적을 추구하는 공공도서관을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애독을 장려하는 '즐거운 독서'의 개념과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전통적인 어린이 대상 독서프로그램의 하나인 방학독서교실프로그램 전반을 검토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방향제시를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교육청 소속 4개의 도서관으로부터 2013년 겨울과 여름독서교실 자료를 수집하여 (1) 독서교실의 목적, (2) 독서교실기간, 대상, 모집방법 및 수료인원, (3) 독서교실 담당강사, (4) 독서교실 프로그램 내용구성, (5) 독서교실 선정도서, (6) 독서교실 수료증과 보상에 관한 사항들을 검토분석 하였다. 마지막으로 즐거운 독서관련 선행연구 분석에서 도출된 요소를 적용하여 애독을 장려하는 즐거운 독서를 위한 방학독서교실프로그램 실태를 토론 및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공도서관의 독서교실 확대 운영을 통한 어린이 애독문화 확대를 제안하였고 향후 애독 장려관점의 공공도서관의 독서교실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에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