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패효과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3초

방패연의 방구멍 효과에 대한 분석 (The Analysis of Wind Hole Effect for The Bangpae Kite)

  • 강치행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2권7호
    • /
    • pp.561-566
    • /
    • 2014
  •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 문화유산인 방패연은 안정적인 장방형 표면에 다양한 그림과 글씨로 예술성을 표현하고 있으며 가운데 방구멍이 있음으로 해서 우수한 비행성능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방구멍이 연의 성능에 미치는 공기역학적인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비율의 방패연 모델에 대한 공력 측정과 방구멍을 관통하는 공기흐름을 가시화하는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분석한 결과 방구멍은 경계층 분리를 제어하는 날개 고양력 장치의 슬롯 시스템과 유사한 기능을 발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우리 조상들이 서양의 비행기 발명 이전에 고양력장치의 원리를 이해하여 연의 비행 성능 개선에 효과적으로 적용하여 왔다는 것을 증명한다.

스팬 방향 곡선 상반각과 방구멍을 갖는 전통 방패연의 풍동 실험 연구 (A Study of Wind Tunnel Test of a Korean Traditional Bangpae Kite with the Wind Hole and Spanwise Curved Dihedral)

  • 강치행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9권9호
    • /
    • pp.866-87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스팬방향으로 곡면 상반각과 방구멍을 갖는 전통 방패연에 작용하는 공기력을 풍동실험을 통해 측정하였다. 방구멍이 없는 평판 연의 경우 ${\alpha}=35^{\circ}$에서 $C_{Lmax}$=1.2이고 실속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반면에 방구멍을 가진 전통 방패연에서는 ${\alpha}=30^{\circ}$에서 $C_{Lmax}$=1.05를 가지지만 명백한 실속현상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반경이 커짐에 따라 실속각 이후의 양력 및 항력 곡선이 완만하게 변하였다. 곡선 상반각이 커질수록 항력 곡선에 비해 양력 곡선이 차이가 커졌으며 방구멍 반경이 작을수록 상반각의 효과는 크게 나타나고 방구멍 반경이 클수록 상반각의 효과가 거의 일정하게 나타났다.

세계사에서의 무기발달과 전술 전략의 변화 VII-(1)

  • 허중권
    • 국방과기술
    • /
    • 11호통권261호
    • /
    • pp.62-71
    • /
    • 2000
  • 5세기 초반 로마인들은 아드리아노플 전투의 재앙스러웠던 교훈으로 인하여 그들의 군사제도를 조정하는 데에 열중하였는데, 그들은 특히 훈족 기마 궁수병의 효과에 감탄하였다. 이것은 페르시안과의 전투 경험과 결합되어 로마 기병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로마 기병은 처음에는 경무장이었고 조직과 훈련면에서 야만인 페데라티와 구분되었다. 로마의 기병은 서서히 무거운 갑옷을 입게 되고 창, 칼 및 방패를 활과 함께 휴대하기 시작하였다.

  • PDF

세계사에서의 무기발달과 전술 전략의 변화 VII-(2)

  • 허중권
    • 국방과기술
    • /
    • 12호통권262호
    • /
    • pp.58-69
    • /
    • 2000
  • 5세기 초반 로마인들은 아드리아노플 전투의 재앙스러웠던 교훈으로 인하여 그들의 군사제도를 조정하는 데에 열중하였는데, 그들은 특히 훈족 기마 궁수병의 효과에 감탄하였다. 이것은 페르시안과의 전투 경험과 결합되어 로마 기병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로마 기병은 처음에는 경무장이었고 조직과 훈련면에서 야만인 페데라티와 구분되었다. 로마의 기병은 서서히 무거운 갑옷을 입게 되고 창, 칼 및 방패를 활과 함께 휴대하기 시작하였다.

  • PDF

버즘나무방패벌레(Corythucha ciliata)의 배자발육과 후배자발육에 미치는 tebufenozide의 영향 (Effect of tebufenozide on embryonic and postembryonic development of sycamore lace bug, Corythucha ciliata(Hemiptera: Tingidae))

  • 최미현;김정화;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74-80
    • /
    • 1999
  • 버즘나무방패벌레(Corythucha ciliata)에 대한 비스테로이드성 탈피호르몬 작용제인 tebufenozide가 배자 발육과 후배자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Tebufenozide가 알에 대해서 살란효과를 보였으며($LC_{50}=4.0$ ppm), 약충의 영기별 감수성은 차이가 없었다($LC_{50}=2.3{\sim}6.0$ ppm). Tebufenozide를 종령 약충에 처리했을 때 우화율, 수명 및 생식력은 농도가 높을수록(10 ppm) 감소하였다. 우화후 시일 경과에 따른 약제 처리효과에서 농도가 높을수록 산란전기는 지연되었고 성충수명, 산란수 및 부화율은 반대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난소발육도 억제되었다.

  • PDF

버즘나무 방패벌레에 대한 신규 합성 물질의 방제효과 (Control effect of the newly developed insecticidal protectant on Sycamore lace bug, Corythucha ciliata (Hemiptera : Tingidae))

  • 박현철;김근기;김용균;이상몽;손홍주;최인수;신택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6호통권86호
    • /
    • pp.828-830
    • /
    • 2007
  • 우리나라에서 발생하고 있는 버즘나무의 주요 해충인 버즘나무 방패벌레의 효과적인 방제를 위해 개발된 신규 합성물질과 기존 나무 해충 방제용 약제인 Carbaryl과 Pirimicarb의 방제효과를 검정하였다. 신규 합성물질의 48시간 경과 후의 방제율이 성충과 약충 각각 98.9%와 97.5%로서 기존 살충제인 Carbaryl의 84.6% 및 85.6%, Pirimicarb의 83.0% 및 90.7% 보다 높았으며, 실험 약제에 대한 감수성 조사 결과에서 신규 합성 물질의 LC$_{50}$값이 1.5 ppm으로 가장 낮아 역시 방제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다음이 Carbaryl이 3.7 ppm, Pirimicarb이 30.4 ppm순으로 살충효과를 나타내었다.

포화된 암반에 굴착된 원형공동의 수리-역학적 거동 (Hydro-mechanical Behavior of a Circular Opening Excavated in Saturated Rockmass)

  • 이연규;신희순
    • 화약ㆍ발파
    • /
    • 제23권2호
    • /
    • pp.23-35
    • /
    • 2005
  • 지하수로 포화된 암반내의 공동을 굴착하면 공동 주위에서 응력의 재분배로 인하여 초기 공극수압의 변화가 발생한다. 이러한 공극수압의 변화는 다시 암반의 역학적 거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공동 주변 암반에서 굴착으로 인해 형성된 공극수압이 소산과정에서 암반의 거동은 공극수압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은 해석과 차이를 보이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굴착직후 짧은 시간 동안에서 공동주변에서 발생하는 응력재분포와 공극수압변화 양상을 수치해석적으로 검토하였다. 공극수압을 고려하지 않는 탄성해석과는 달리 굴착직후 짧은 시간동안에는 공동 벽면의 직후방에서 최대접선응력이 형성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요추유합술에서 응력방패 현상 감소를 위한 케이지의 유한요소해석 : CFRP 케이지와 티타늄 케이지 비교 연구 (Finite Element Analysis of Instrumented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Cages for Reducing Stress Shielding Effects: Comparison of the CFRP cage and Titanium cage)

  • 강경탁;전흥재;김호중;염진섭;박경미;황인한;이광일
    • Composites Research
    • /
    • 제25권4호
    • /
    • pp.98-10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척추체 간 유합용 케이지의 응력방패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강성 차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최근 의료 임플란트 분야에서는 탄소섬유강화 폴리머를 이용하여 좋은 결과를 보여 왔다. 그러나 생체 역학적으로 이 재료에 대하여 요추체의 안정성과 골 이식재가 받는 응력에 관련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이전에 유효화한 요추체 (L2-L5) 비선형 유한 요소 모델을 이용하여 L4-L5 분절의 케이지의 강성 차이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탄소섬유강화 폴리머와 티타늄 케이지를 이용한 후방 요추체 유합 모델을 만들었다. 자가골 보다 강성이 작은 탄소 섬유강화폴리머 케이지는 인접 분절의 하종판에 응력이 적게 걸리며, 골 이식재에 응력은 증가시켰다. 위의 결과로 탄소섬유강화 폴리머 케이지는 응력 방패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골 유합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국산 야생버섯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 및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Korean Wild Mushrooms Extracts)

  • 김현정;이인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62-668
    • /
    • 2004
  • 13종의 한국산 야생버섯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의 검토는 S. typhimurium TA98과 TA100을 이용한 Ames 실험계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직접변이원인 MNNG에 대해 산속그물버섯 아재비와 구름버섯의 메탄올 추출물은 TA100에서 90-94%의 강한 항변이원성을 보였고, 갓버섯과 구름버섯의 열수 추출물도 58-61%의 저해효과를 보였다. 간접변이원인 B(a)P에 대해서는 TA98과 TA100에서 구름버섯과 턱받이금버섯 메탄올 추출물이 가장 강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고, 열수 추출물중 잔피막흑주름버섯과 수원무당버섯은 TA98에서 60-70% 정도의 저해활성을, 갓버섯은 TA100에서 45% 정도의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볼 수 있었고, 나머지 버섯시료는 저해활성을 거의 보이지 않았다. 한편 야생버섯 메탄올 추출물 0.5mg/mL 투여시 결장암세포인 HT29에 대해 그물버섯, 산속그물버섯아재비, 방패외대버섯, 황소비단그물버섯, 구름버섯, 턱받이금버섯, 덕다리버섯에서 55-78% 이상의 억제 효과를 보였고, 1 mg/mL의 시료농도에서는 11종의 버섯에서 50% 이상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간암세포인 HepG2에서 대해서는 방패외대버섯 메탄올 추출물 1 mg/mL에서만 58.4%의 저해능을 보였고, 나머지 시료에서는 45% 정도의 낮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혈액암세포주인 U937의 경우도 그물버섯, 산속그물버섯아재비, 수원무당버섯, 황소비단 그물버섯, 밀버섯, 잔피막흑주름버섯 메탄올 추출물에서 60% 이상의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구름버섯 열수추출물의 경우 HepG2와 U937에 대해서 53-65% 정도의 비교적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고, 대부분의 버섯 열수 추출물은 40%이하의 낮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정상 임파구에 대해서 야생버섯 추출물 0.5-1 mg/mL 농도에서 75-80% 이상의 생존율을 보여, 야생버섯 추출물을 1 mg/mL 농도로 처리할 경우 암세포에 대한 높은 억제효과에 비해 정상세포에 대해서는 비교적 낮은 독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버즘나무방페벌레의 약제방제(藥劑防除)에 관(關)한 연구(硏究) (Chemical control of Sycamore Lace Bug, Corythucha ciliata(Say))

  • 김철수;박지두;변병호;박일권;채정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3호
    • /
    • pp.384-388
    • /
    • 2000
  • 최근 버즘나무류에 문제가 되고 있는 버즘나무방패벌레 방제를 위한 약제시험을 수간주사방법을 이용하여 실시한 결과 모노포, 포스팜, 이미다크로프리드, 치아메톡삼 및 아세타미프리드 처리에서 각각 99.6%, 88.9%, 98.9%, 99.7%와 100%의 높은 살충율을 보였다. 수간주사한 약제의 약효지속성을 조사한 결과 1개월 이상 경과한 약제처리 잎에 공시충을 접종하여도 높은 치사율을 보여 본 해충의 생태특성상 년간 2-3회 이상에 걸쳐 방제해야 되는 수관살포법에 반해 수간주사법은 1회 처리로 방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방제인력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수간주사 시 적용할 수 있는 경급별 적정약량 기준표 작성을 위해 흉고직경 크기에 따라 $1.0m{\ell}/DBH\;cm$, $1.5m{\ell}/DBH\;cm$, $2.0m{\ell}/DBH\;cm$의 약량을 수간주입한 결과 흉고직경 20cm 이하에서는 DBH cm당 $1.0m{\ell}$의 약량으로 95% 이상의 살충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30-50cm에서는 $1.5-2.5m{\ell}$의 약량을 필요로 하였으며 50cm 이상의 대경목에서는 그 이상의 약량이 소요되었다. 한편 버즘나무방패벌레 수관살포약제 선발을 위하여 성충과 약충이 동시 가해하는 6월 하순에 3개 약종에 대한 엽면살포시험을 실시한 결과 에토펜프록스 20%EC, 에토펜프록스 10%WP, 할로스린 1%EC 처리에서 99% 이상의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