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파호안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고파랑에 수리학적으로 유리한 복합구조 방파호안

  • Go, Gwang-O;Bae, Jeong-Ho;Park, Gu-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7.12a
    • /
    • pp.170-172
    • /
    • 2007
  • 미포만 공유수면 매립공사는 방파호안 854.5m를 축조하고 부지 $100,514.3m^{2}$를 매립하여 현대중공업(주)의 조선용 블록 제작장 및 적치장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2004년 2월 해양 수산부 설계자문을 실시하고, 2004년 5월 실시계획 인가를 득하여 사업을 추진하여 오던 중, 최근의 이상파랑 및 태풍 내습 (2005년 8월, 태풍 나비)등으로 인하여 피해가 발행하는 동 사업시행자인 현대중공업(주)에서 사업계획의 일부 변경(공구분할)올 요청하여 1공구(미포만 북방파제 보강)공사만을 2005년 8월말로 완료하였다. 미포만 공유수면(II-Block) 매립공사(2공사)는 파량 내습시 피해발생 사전예방 및 상향된 심해설계파 등에 안전한 구조물 축조로 배후매립부지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호안의 마루높이를 상향하고 케이슨 및 피복재 중량을 증대하여 설계 및 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고파랑, 대수심 지역의 방파제(호안) 최신설계사례 (동해항 3단계 방파호안(2공구) 축조공사)

  • Lee, Ui-Gyu;An, Tae-Jun;Lee, Seon-R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199-202
    • /
    • 2018
  • 현재 대규모 항만국가공사 대부분은 대수심, 고파랑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대안설계 진행시는 해당 해역의 특성을 고려한 설계파 산정, 평면 및 단면계획, 구조물의 안정성 검토 등의 사항을 기존설계 대비 상향시켜 설계에 반영하고 있는 사례를 최근 발주된 동해항 3단계 방파호안 축조공사를 사례를 들어 최근 설계방향성을 검토함.

  • PDF

A Case Study on the North Seawall Construction of Ulsan Newport (울산신항 북항 방파호안 축조공사 시공사례)

  • Yun, Gi-Seung;Jeong, Uk-Jin;Kim, Yong-Gyun;Hong, J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206-208
    • /
    • 2018
  • 울산신항의 활발한 개발로 인하여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온산항북방파제는 원래의 목적인 방파제로서의 기능은 사라지고, 울산항 3항로에 간섭된 지장물이 됨에 따라, 기존방파제의 철거를 수행하였으며 철거순서는 상치 콘크리트 깨기, 속채움 제거, 케이슨 절단 및 천공, 인양 및 제거, 케이슨 파쇄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특히, 파쇄한 콘크리트는 크라싱 작업을 통해 재생골재로 생산하였으며, 향후 신설케이슨의 속채움 재료로 재활용하는 것으로 하여 경제적 자원재활용에도 기여하고 있다.

  • PDF

이중곡면반파공을 이용한 월파저감 방파호안

  • Kim, Geon-U;Seo, Chang-Wan;Park, Gu-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7.12a
    • /
    • pp.173-175
    • /
    • 2007
  • 부산신항 남컨 배후지준설토 투기장은 국제도시 부산의 관문이 될 부산신항만 입구부에 위치한 관계로 아름답고 튼튼한 호안이 될 수 있도록 하고, 입찰안내서에 제시된 호안법선변경 금지, 호안마루높이 DL.(+)7.50m 유지 조건을 준수하면서 최적의 구조물이 되도록 하였다. 본사업지는 지형적 특성상 복잡한 형태의 고파랑 작용으로 수리학적으로 월파, 반사파, 연파를 제어하는 경사호안 구조물을 도입하였고, 초연약지반이 대심도로 분포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개선된 S.C.P 연약지반 처리공법을 적용하여 기초굴착 없는 친환경적이고 배수기능을 향상시킨 융기토 유용형 S.C.P공법을 적용하였다. 호안전구간은 친수개념을 도입하였으며, 호남도 주변 해양생태계 보호를 위하여 미티게이션(mitigation) 개념을 도입하여 환경복원 계획 및 생태형 친수호안을 구상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