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태산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9초

아고산대 사스래나무군락의 식물군집구조 분석 연구 (The Structure Analysis of Plant Communities of Betula ermanii Community in Subalpine)

  • 윤다움;오충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38-350
    • /
    • 2024
  • 강원도 가리왕산, 발왕산, 방태산, 함백산의 아고산대에서 출현하는 사스래나무군락 25개 조사구를 대상으로 식생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TWINSPAN 및 DCA 분석 결과, 사스래나무-신갈나무군락(Group I), 사스래나무-당단풍나무군락(Group II), 사스래나무군락(Group III)의 총 3개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사스래나무-신갈나무군락(Group I)은 해발 1,082~1,192m 방태산 등산로 주변에 위치하고, 사스래나무-당단풍나무군락(Group II)은 해발 1,230~1,373m 방태산, 가리왕산, 함백산의 능선과 사면에 위치한다. 사스래나무-신갈나무군락과 사스래나무-당단풍나무군락은 현재 교목층에 사스래나무가 우점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경쟁 관계인 신갈나무가 우점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스래나무군락(Group III)은 해발 1,428~1,464m 함백산과 발왕산 정상부 전석지에 위치한다. 현재 사스래나무 세력이 매우 우세하고 차세대 형성도 활발하여 앞으로도 사스래나무가 우점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스래나무군락은 일반적으로 해발 1,000m 이상에서 출현하며, 해발고도가 높을수록 사스래나무의 세력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 분석 결과, 설악산 대청봉 및 지리산 반야봉 아고산대 지역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군락별 종다양도는 1.210~1.293, 균재도는 0.698~0.795, 우점도는 0.208~0.302로 나타났다.

방태산의 식생

  • 김창환;길봉섭;김영식;윤경원;유현경
    • 한국동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학회 1997년도 한국생물과학협회 학술발표대회
    • /
    • pp.172.2-172
    • /
    • 1997
  • PDF

강원도 방태산의 지표성 딱정벌레류(딱정벌레목: 딱정벌레과)의 군집구조 및 분포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Ground Beetles (Coleoptera: Carabidae) of Mt. Bangtaesan in Gangwon-do, Korea)

  • 정종국;김승태;이수연;유정선;이준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07-317
    • /
    • 2011
  • 강원도 인제군 소재 방태산 자연휴양림 일대에서 2010년 6월부터 10월까지 채집한 1,041개체의 지표성 딱정벌레류는 7아과 18속 34종으로 동정되었다. 아과별 종 수(species richness)는 길쭉먼지벌레아과 15종(44.1%), 딱정벌레아과 7종(20.6%), 먼지벌레아과 4종(11.8%), 가슴먼지벌레아과 3종(8.8%) 및 기타 아과 5종(14.7%) 등의 순이었다. 우점종은 Synuchs속 일종(260개체, 25.0%), 민줄딱정벌레(218개체, 20.9%) 및 수도길쭉먼지벌레(205개체, 19.7%)이었다. 고유종은 11종 564개체가 채집되었다.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결과, 서식처의 식생 및 주변 환경의 특성에 따라 종 구성 및 발생 밀도에 차이가 있었다. 특히 딱정벌레아과 및 길쭉먼지벌레아과와 같은 산지에 서식하는 지표성 딱정벌레들은 방태산 자연휴양림 내의 활엽수림 및 침엽수림을 선호한 반면, 무늬먼지벌레아과 및 먼지벌레아과 대부분은 초지와 인접한 지점에서만 출현하여 숲과 인접한 초지의 유무 등 서식환경의 차이가 지표성 딱정벌레류 분포에 중요한 요인이었다. 산림에서의 지표성 딱정벌레 군집 및 분포에 관한 분석 결과는 앞으로 환경변화에 따른 장기모니터링 및 산지 보존프로그램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생산비방(生産秘方)』과 『태산심법(胎産心法)』, 『태산비서(胎産秘書)』, 『대생요지(大生要旨)』, 『달생편(達生編)』의 편제(編制)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Formation of 『Saengsanbibang』 and 『Taesansimbub』, 『Taesanbiseo』, 『Daesaengyoji』, 『Dalsaengpyeon』)

  • 장아령;금경수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1-78
    • /
    • 2016
  • "Saengsanbibang" is Obsterics technical books published in 1915. After the publishing of first edition, it was published 15 times so I supposed that this book was very popular in that times. And this book is also valuable because Obsterics books written in Korea are uncommon. But there had not been enough detailed study on this book, so I tried to study on the formation of this book. For that, I compared the formation between this book and 4 kinds of typical Obsterics technical books in Qing dynasty, "Taesansimbub", "Taesanbiseo", "Daesaengyoji", and "Dalsaengpyeon". As the result, "Saengsanbibang" refered to "Dalsaengpyeon" for the contents that the reason and prevention of distocia, the basic principle for antenatal care, and the formulae to tonify blood. The contents that the taking methods of Saenhwatang (生化湯) accroding to the diseases, are mainly affected by "Taesanbiseo". Some contents which had been refered in "Taesansimbub", "Daesaengyoji" weren't refered to "Saengsanbibang". So "Saengsanbibang" is valuable because this book easily summarized the medical knowledge for spreading it to ordinary people. I look forward to more specific study for "Saengsanbibang".

한국산 고등균류기(XII) (Notes on the Korean Higher Fungi(XII))

  • 조덕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1-39
    • /
    • 1996
  • 많은 고등균류를 1995년 4월부터 10월까지 모악산 도립공원(전라북도), 방태산(강원도), 변산반도 국립공원에서 채집해여 동정하였다. 그 결과 젖꼭지졸각버섯(Laccaria ohiensis), 자주빛애주름버섯(Mycena clavularis), 삔애주름버섯(M.acicula), 가지낙엽버섯(Marasmius ramealis), 나막낙엽버섯(M.calopus), 요리맛솔방울버섯(Strobilurusesculentus), 반구 볏짚버섯(Agrocybe sphaleromorpha) 그리고 띠끈적버섯(Cortinarius fasciatus)은 한국산 미기록종으로 확인 되었다.

  • PDF

한국산자낭균류기 (V) (Notes on the Korean Ascomycetes(V))

  • 조덕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69-374
    • /
    • 1997
  • 1995년 6월부터 1996년 10월까지 지리산국립공원, 변산반도국립공원, 강원도의 방태산 전라북도의 모악산도립공원, 만덕산에서 많은 자낭균류를 채집하였다. 이것들을 동정한 결과 잔 받침버섯속(Calycellina), 요버섯속(Diatrype), 쇠요버석속(Diatrypella)은 한국미기록속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그늘접시버섯(Scutellinia umbrarum), 그늘접시버섯아재비(S. pseudoumbarum), 처녀털컵버섯(Dasyscyphus virgineus), 작은잔받침버섯(Calycellina punctiformis), 열매콩꼬투리버섯(Xylaria oxyacanthae), 접시요버섯(Diatrype disciformis), 참나무 쇠요버섯(Diatrypella quercina) 그리고 사마귀쇠요버섯(D. verrucaeformis)은 한국 미기록 중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한국미기록속과 미기록종에 대하여 한국 보통명을 신청하였다.

  • PDF

야생동물의 행동권을 고려한 설악산 국립공원과 오대산 국립공원간 서식지 연결 (Habitat Connectivity between Soraksan and Odaesan National Parks with a Consideration of Wildlife Home Range)

  • 강혜순;김진영;박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0-161
    • /
    • 2005
  • 설악산국립공원과 오대산국립공원은 20.7km 떨어져 있으나 백두대간의 중심에 위치하기 때 문에 야생동식물의 서식지와 이통통로로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협소한 크기, 조각화, 지 리적 격리와 같은 경관적 특성에 의해 이 두 국립공원은 적절한 생태적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IS 기법을 이용하여 두 국립공원과 인근 속초시, 고성군, 인제군, 양양군, 홍천군 일대 총 면적 $4573.6 km^2$인 지역을 대상으로 조각화 현상을 파악하였다. 또한 육식동물이며 보호종으로 지정된 삵의 서식지조건에 부합하는 경관조각을 파악하고 삵의 이동이 가능한 경관조각들의 연결망과 연결지점을 설정하였다. 다양한 도로와 인위적 시설로 인해 조사지역은 총 24,701개의 경관조각으로 단절되어 있었다. 식생과 최소 서식지면적, 조각간 거리와 같은 서식지 조건을 고려하였을 때 이 중 39개 경관조각이 삵의 잠재서식지로 선택되었다. 나아가 계방산과 방태산 일대의 3개 조각이 국립공원의 조각화와 고립화를 완화시킬 수 있는 연결망의 중심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또한 점봉산과 방태산 일대의 조각이 삵이 두 국립공원으로 분산할 수 있는, 공급지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거의 모든 국립공원이 조사된 두 국립공원과 유사한 경관적 문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야생 생물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국립 공원과 인근 지역에서의 조각화 현상과 경관조각의 연결성을 평가하는 과제가 매우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한국산 변형균류의 다양성의 출현(I) (Biodiversity of Korean Myxomycetes(I))

  • 조덕현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3호
    • /
    • pp.267-271
    • /
    • 2000
  • 1996년 6월부터 1997년 8월까지 모악산도립공원, 지리산국립공원, 전주근교의 만덕산, 강원도의 방태산에서 출현하는 많은 변형균류들을 채집하여 동정하였다. 그 결과 한국산 미기록 종으로 확인된 것은 찻잔붉은고리먼지(Badhamia macrocrapa), 흰주발먼지(Craterium leucocephalum), 밝은체먼지(Cribraria splendens), 검은방먼지(Didymium melanospermum), 작은방먼지(D. minus), 황금주모먼지(Perichaena chrysosperma), 꿀색자루먼지(Physarum melleum), 녹색자루먼지(P. viride) 등이다. 이들은 전부 썩는 고목과 낙엽에 출현하고 있었다.

  • PDF

한국산 Crepidophorus 속 (딱정벌레목, 방아벌레과, 주홍방아벌레아과)의 1 신종 보고 (A New Species of the Genus Crepidophorus Mulsant and Guillebeau, 1853 (Coleoptera, Elateridae, Denticollinae) from Korea)

  • 한태만;이승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513-516
    • /
    • 2016
  • 강원도 방태산에서 채집된 방아벌레과의 1 신종, Crepidophorus bangtaesanensis sp. nov. 를 보고한다. 본 신종에 대한 기재 및 형태사진을 제공하며, 이종을 기초로 하여 Crepidophorus 속은 국내에 처음 보고된다.

한국미기록 Pseudanostirus ecarinatus (Stepanov, 1930) (딱정벌레목: 방아벌레과)의 보고 (A New Record of Pseudanostirus ecarinatus (Stepanov, 1930) (Coleoptera: Elateridae) in Korea)

  • 한태만;박해철;이봉우;이승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79-82
    • /
    • 2012
  • 방아벌레과의 Pseudanostirus ecarinatus (Stepanov, 1930)의 국내분포를 처음으로 보고한다. 강원도 방태산에서 채집된 수컷 표본을 근거로 본 종의 형태를 재기재하고 사진자료를 제공하였다. 또한 국내 신기록인 본 속의 형태적 진단형질을 근연 분류군인 Calambus속 및 Anostrius 속과 비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