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출밸브

Search Result 81,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Prediction of the Structural Safety of a Relief Valve Using Metamodel (메타모델을 이용한 압력방출밸브의 구조안전성 예측)

  • Kim, Nam-Hee;Lee, Kwon-He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9
    • /
    • pp.5763-5768
    • /
    • 2015
  • A relief valve is a mechanical element to keep safety by controlling high pressure. Usually, the high pressure is relieved by using the spring force and letting the fluid to flow from another way out of system. When its normal pressure is reached, the relief valve can return to initial state. The relief valve should be designed for smooth operation and should satisfy the structural safety requirement under operating condition. The commercial software ANSYS/WORKBENCH is utilized for flow and structural analysis. Very high pressure may cause structural problem due to severe stress. The study suggests the design satisfying the structural design requirement

RELAP5/MOD3 Analysis for Hydraulic Load Calculation of the SEBIM POSRV Discharge Riping System (SEBIM POSRV 방출배관계통의 수력학적 하중계산을 위한 RELAP5 / MOD3 분석)

  • Han, Kee-Soo;Song, Jin-Ho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6 no.2
    • /
    • pp.225-236
    • /
    • 1994
  • The sudden discharge of the loop seal water, which is present upstream of the SEBIM POSRV, creates large momentum and inertia forces on the downstream of the discharge piping system. This study provides the procedures and results of analysis of the thermal-hydraulic transient in the SEBIM POSRV discharge piping during the valve opening. The analysis is peformed by RELAP5/MOD3. The appropriate modeling of the discharge piping system, SEBIM POSRV opening characteristics, and loop seal water discharge for the RELAP5/MOD3 analysis is suggested. Also performed is the sensitivity study for the selection of proper options for the junction and volume control. flags. The analysis results demonstrate the adequacy of the RELAP5/HOD3 for the thermal-hydraulic transient analysis of the loop seal water discharge of the SEBIM POSRV discharge piping system. From the sensitivity analysis results, it is shown that the smooth area change option with reasonable geometric pressure drop distribution, non-equilibrium option, and proper time step should be selected for loop seal water discharge analysis.

  • PDF

A Study on fluid leak detection technique for Safety valve (안전밸브 유체 누설 감지 기법에 대한 연구)

  • Kim, Dong soo;Ryu, Ho geun;Jang, Hoon;Chai, Jang bo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4.04a
    • /
    • pp.215-215
    • /
    • 2014
  •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스프링식 안전밸브는 스프링과 설정치 드리프트, 누설 취약성, 채터링에 의한 시트 파손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안전밸브 디스크에서 발생하는 유체 누설은 안전밸브 설정압력 개방에 영향을 주며, 시트(Seat)면의 이물질 삽입, 균열 및 유체에 의한 침식(Erosion) 등에 의해 밸브 핵심 부품이 쉽게 손상되어 기기 성능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유체 누설을 조기에 탐지하고 정량화하여 해당 기기의 상태정보 제공을 통한 누설 감지 기법 연구가 요구된다. 원자력 발전소의 경우 밸브에서 유체가 누설되면 밸브의 오작동 및 운전 안정성 저해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음향방출법을 이용하여 안전밸브의 유체 누설을 평가하고, 안전밸브의 음향신호 측정 위치 선정 및 누설량에 따른 음향신호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기술현황분석 - 원전 압력방출장치의 용량인증기관 현황

  • Son, Sang-Ho
    • 기계와재료
    • /
    • v.26 no.1
    • /
    • pp.50-62
    • /
    • 2014
  • 원전발전소에 납품되는 원전용 안전밸브의 성능은 ASME나 KEPIC와 같은 기술기준코드에 따라 설정압력, 블로우다운(blowdown), 풀리프트(Full lift), 누설(leakage), 방출용량(discharge flow rate)등과 같은 특성인자로 평가된다. 그 중에서도 방출용량은 ASME SEC III NB 7000 코드에 따라 ASME 용량인증이 요구되지만, 아직 국내에는 국제적으로 공인되니 압력방출장치 용량시험기관이 부재하여 외화유출 및 국내 PRD 기술개발에 많은 어려움이 있어왔으며, 이에 따라 원전 PRD 인증기관 개발을 통하여 세계적인 인프라 구축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PRD 인증기관 구축은 국내 원전 핵심기자재의 고급기술 국산화에 이바지 할 수 있고, PRD 성능 및 용량시험지원을 통하여 국내 밸브기술 경쟁력 확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영광 3/4호기 Midloop 운전중 RHR 기능 상실사고시 CATHARE2 코드를 이용한 열수력 현상 해석 및 증기발생기 열제거 능력 평가

  • 김원석;하귀석;정재준;장원표;유건중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05a
    • /
    • pp.525-530
    • /
    • 1995
  • 최적 열수력 전산 코드인 CATHARE2 Vl.3u 코드를 이용하여 영광 3/4호기 midloop 운전중 잔열제거(RHR) 기능 상실사고를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사고시 계통에서 발생하는 열수력 현상의 이해 향상 및 증기발생기 열제거 능력 평가에 있다. 사고 복구 절차 관점에서 노심 비등, 노출 시점 및 계통압력 등이 중요한 인자이다. 본 계산 수행시 사용한 가정은 다음과 같다. 가) 초기 계통 수위는 고온관 중간에 위치하며 그 윗 부분은 질소 가스로 차 있다. 나) 3/4 인치 크기의 방출 밸브가 원자로 용기 상부 및 가압기 상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RHR 흡입구에 수위지시계가 설치되어 있다. 다) 증기발생기의 이차측은 U-튜브가 잠기도록 물로 차있다. 라) 두 증기발생기의 대기 방출 밸브(ADV)는 항상 열려 있어 사고시 이차측 압력을 대기압으로 유지하기에 충분하다. 사고는 원자로 정지 2일 후 발생하였다고 가정한다. 이와 같은 조건하에서 사고시 주된 계통 열제거 수단은 증기발생기 U-튜브내의 응축 작용이며 이는 전체 열제거량의 94%로 나타났다. 노심 비등 시점온 사고후∼300초 이후이며, 계통압력은 10,800초 이후에 최고 압력인 0.25MPa에 도달한 후 그 값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 RHR 배관에 연결된 수위지 시계를 통해 10,200초 이후부터 냉각수가 방출되었다. 2개의 방출밸브 및 수위지시계를 통하여 방출된 유량에 근거하여 원자로 용기 냉각재 수위가 고온관 바닦까지 낮아지는 시점을 계산하면 사고 약 6.4 시간 이후가 된다.

  • PDF

In-Situ Application Study on the Power Plant Valve Leak Diagnosis Using Acoustic Emission Technology (음향방출을 이용한 발전용 밸브 누설 진단 현장 적용 연구)

  • Lee, Sang-Gu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28 no.4
    • /
    • pp.315-322
    • /
    • 2008
  • Valves in power plants are leaking internally by various damages including insertion of foreign objects on seat, seat crack, defects and fatigue crack of stem packing or welds etc. due to severe operating conditions such as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for extended period time. Acoustic emission(AE) technology should be applied in order to diagnose precisely and evaluate these valve internal leak. In this paper, results of studies which have accomplished in actual power plant are presented. We have analyzed background noise, AE signal level and frequency spectrum through laboratory tests on the basis of various actual conditions in power plant, and also have considered evaluation methods on the background noise, AE properties and the detectable minimum leak rate according to valve leak conditions through comparing with results of field tests in power plant. As a result of these studies, we conformed that evaluation of internal leak conditions including discrimination of leak or not, and the detectable minimum leak rate is possible, and also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afe operation and prevention of energy loss in power plants.

The Sensitivity Analysis for LRV Opening Pressure in CANDU (중수로 원전에서 액체방출밸브의 개방압력에 대한 민감도평가)

  • Kim, S.M.;Kho, D.W.;You, S.C.;Kim, J.H.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4 no.2
    • /
    • pp.40-44
    • /
    • 2015
  • Sensitivity on the reactor safety was evaluated for the safety margin and time delay applied to the opening pressure of liquid relief valve(LRV) of the primary heat transport system(PHTS) in the pressurized heavy water reactor(PHWR) type nuclear power plant. Since the LRV is the pressure boundary for the PHTS in the safety analysis, the operating of LRV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afety analysis results. Therefore it is required during the regulatory review of Wolsong Unit 1 safety analysis to find the safety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safety margin and time delay to the LRV opening pressure for the safety analysis of PHTS pressurizing events.

The Analysis of Dynamic Characteristics and the Control of Compressed Gas Expulsion System Using Electro-Hydraulic Servo Valve (전기.유압 서보밸브를 이용한 압축가스 방출시스템의 동특성 해석 및 제어)

  • Kim Y.M.;Kim J.K.;Han M.C.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5.10a
    • /
    • pp.710-714
    • /
    • 2005
  • A dynamical analysis and PID control of a compressed gas expulsion system is perform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mpressed gas discharging system an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system. The electro-hydraulic servo valve is modeled as a 3th order transfer function to calculate flow force affecting expulsion valve is significantly considered. The friction force in the expulsion valve is considered as a nonliner model of stribeck effect.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is system is examined by the computer simulation. The position control of the expulsion valve is performed by PID controll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