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조제건설

Search Result 122,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Rising Tendencies of both Tidal Elevation and Surge Level at the Southwestern Coast (서남해안의 해수면 상승과 해일고 증가 경향)

  • Kang, Ju-Whan;Park, Seon-Jung;Park, Min-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0 no.1
    • /
    • pp.14-24
    • /
    • 2008
  • Recently, rising tendency of high water level is detected at southwestern coast. The result of harmonic analysis shows increasing trend of mean sea level, decreasing trend of the amplitudes of semi-diurnal tidal constituents, and increase of Sa tidal constituent, therefore, additional increase of high water level at Summer season. It shows also that maximum surge level has increased greatly, according to the frequent visit of big typhoon such as RUSA and MAEMI. Considering the correspondence of Sa and typhoon period, namely July${\sim}$September, extraordinary high water level would be more probable. Especially, Mokpo and Jeju would be considered to have many chances of extraordinary high water level in the future.

Estuary reservoir water-level management using robust decision making (로버스트 의사결정기법을 활용한 담수호 관리수위 산정)

  • Seokhyeon Kim;Sinae Kim;Hyunji Lee;Jihye Kwak;Jihye Kim;Moon Seong K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21-421
    • /
    • 2023
  • 하구담수호는 하천의 출구점이 해양과 만나는 곳에 방조제를 건설하고 이를 통해 형성되는 인공호수이다. 출구점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은 많은 수자원을 확보할 수 있지만 유역에서 발생하는 모든 유입량 및 오염물질이 유입되어 홍수위험 및 수질악화가 문제점으로 제시되고 있다. 담수호의 관리수위는 배수갑문 운영에 기초가 되는 수위로 용수공급, 홍수위험도를 고려하여 산정한다. 하지만 기후변화로 인해 가뭄, 홍수의 위험성이 커지고 있으며, 이를 고려하여 관리수위의 산정이 필요하다. 로버스트 의사결정 기법은 기후변화의 불확실성 하에서의 정책 결정을 위해 제시된 개념으로 불확실한 미래상황에 대하여 최적이 아닌 여러상황의 준수한 결과를 보이는 방법을 선정해 예상치 못한 상황에도 대비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담수호의 관리수위 산정을 위해 로버스트 의사결정 기법을 적용하였다. 관리수위 산정을 위해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CanESM5 GCM의 SSP1, 2, 3, 5 시나리오를 이용하였으며 담수호 관리수위는 기존 관리수위를 포함한 5개의 관리수위를 모의하였다. 각 시나리오에 따른 유입량, 호소수위 및 호소수질 변화를 모의하기위해 유역모형 HSPF와 호소모형인 EFDC-WASP 모형을 연계하여 활용하였다. 로버스트 의사결정 기법에 성능인자로는 신뢰도기반 이수, 치수, 수질지표를 활용하였으며, 결정인자으로 후회도를 활용하였다. 후회도는 로버스트의사 결정에서 널리 쓰이는 결정인자로 가장 좋은 성능인자와 그 대안의 성능인자의 차이를 의미한다. 최종적으로 최소의 최대 후회도를 갖는 시나리오를 1순위로 선정하였다.

  • PDF

Future changes in runoff characteristics of an estuarine reservoir watershed using CMIP6 multi-GCMs (CMIP6 다중 GCMs을 적용한 담수호 유역의 미래 유출특성 변화)

  • Sinae Kim;Seokhyeon Kim;Hyunji Lee;Jihye Kwak;Jihye Kim;Moon-Seong K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19-419
    • /
    • 2023
  • 하천의 최종 유출부와 해양이 만나는 지점을 하구라고 하며, 우리나라는 주로 서해안 지역에 하구 방조제 건설에 따른 담수호가 조성되어 다양한 목적으로 수자원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하구 담수호는 바다로 유입되기 직전의 물을 저류시켜 수자원 확보에 긍정적이나, 일반적으로 유역의 최하류에 위치해 있어 오염물질 유입, 부영양화, 염분 침출로 인한 오염물질 용출 등에 취약하다. 따라서 담수호의 회복탄력성 향상과 지속가능한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는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 분석이 필수적이다. 특히 기후변화는 거대규모의 홍수과 같은 자연재난, 농업가뭄 및 식생가뭄 등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해서는 미래 기후조건에 따른 하천의 미래 유출량 변화 예측이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한 미래 수문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CMIP6(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6) GCMs(Global Climate Models)의 SSP(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시나리오를 유역 유출모델에 적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유출특성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충청남도 서산시에 위치한 간월호 유역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고, HSPF(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FORTRAN) 모형을 적용하여 상류유역의 과거 및 미래 장기유출량 모의를 수행하였다. 모의된 시나리오별 유출량을 기반으로 최빈유량곡선법을 적용하여 미래의 기준유량 발생시점 및 지속기간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CVDs(Center-of-volume dates)의 변화를 통해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기의 시기적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래 유역 환경변화를 고려한 담수호의 수자원 보전관리계획 수립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ssessment of Irrigation Water Demand Changes Based on CMIP6 Scenario (CMIP6 시나리오 기반 담수호 유역 농업용수 수요량 변화 평가)

  • Hwang, Soonho;Jun, Sang Min;Kim, Seok Hyeon;Lee, Hyunji;Kim, Jaekyoung;Kim, Sinae;Kang, Moon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43-243
    • /
    • 2021
  • 담수호는 방조제 건설 및 담수화를 통해 다양한 용수공급을 위해 개발된 수자원으로서 담수화된 수자원은 농업용수로 활용이 가능하다. 특히 간월호의 경우, 담수호 주변이 주로 농경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담수화된 수자원은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간월호의 수자원 관리를 위한 장기적인 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간월호의 주요 용수공급 대상이 되는 농경지 물수요량의 미래 변화에 대한 평가가 우선되어야 한다. 최근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서는 기존 대표농도경로에 사회·경제 조건을 추가하여 공동 사회-경제 경로 (SSP,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라는 개념을 새롭게 제안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6차 평가보고서 (6th Assessment Report, AR6)를 발간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CMIP6 기후변화 자료를 기반으로 한 기후변화 자료를 통해 담수호 유역의 농업용수 수요량 변화를 평가하였으며, Makov chain 모형을 이용한 토지이용변화 자료를 검토하여 기후변화 뿐만 아니라 토지이용변화를 함께 고려한 미래 농업용수 수요량 변화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CMIP6 시나리오별 미래 농업용수 수요량 변화를 검토하고, 현재 간월호의 용수공급 능력과 비교를 통해 간월호의 수자원 관리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PDF

Analysis of time-series displacement using satellite SAR interferometry technique for Dam safety monitoring (댐 안전 관리를 위한 위성 SAR 간섭기법 활용 시계열 변위 분석)

  • Kang, Ki-mook;Hwang, Eui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40-440
    • /
    • 2022
  • 1970년대부터 집중 건설 된 우리나라의 다목적댐, 홍수조절댐, 용수전용댐 등의 대형 국가 수자원시설물들의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어 수리구조물에 대한 안정성을 주기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정밀안전모니터링 체계 구축이 시급한 시점이다. 주기적인 정밀안전모니터링 방법들 중에는 위성 등을 활용한 원격관측 기술들이 최근 시도되고 있다. 위성 영상레이더(SAR; Synthetic Aperture Radar)는 마이크로파 대역의 전자기파를 송·수신하는 능동센서로 날씨 및 주·야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지표면 관측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고정산란체 영상레이더 간섭(PSInSAR; Permanent Scatterer Interferometry SAR)기법은 영상레이더 영상에서 긴밀도(coherence)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자원시설물과 같은 고정산란체의 위상(phase) 정보를 이용하여 mm급의 측정민감도로 시계열 변위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여러 장의 InSAR 영상을 생성하였기 때문에 DEM 오차, 위성궤도 오차, 대기 성분에 의한 지연 오차 등을 보다 정밀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중대형 수자원시설물의 정밀안전모니터링을 위하여 고정산란체 영상레이더 간섭 기법을 영암금호방조제, 영주댐, 소양강댐 등에 적용하여 시계열 변위 분석을 수행하였다. 2014년 11월부터 2022년 3월(현재)까지 획득된 Sentinel-1 SLC(Single Look Complex) 위성자료의 상승(Ascending) 궤도 126장 및 하강(Descending)궤도 187장을 각각 활용하였다. 두 위성궤도를 모두 활용하여 수직, 수평 변위 등 3차원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특히 소양강댐 GPS 관측 자료와 정확도 검증에서 연평균 2mm의 RMSE를 보였다. 이를 통해 위성 원격탐사 기술로도 댐, 보, 방조제와 같은 수자원시설물에 대한 시계열 변위 분석을 통한 댐 안전관리가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2025년 발사될 국내 C-밴드 SAR 탑재 수자원위성 개발을 통해 한반도 재방문주기를 단축시킴으로써, 한반도 전역의 수자원시설물 정밀안전진단체계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tudy of the Saemangeum District Flood Level after Completion of Saemangeum Master Plan (새만금종합개발계획 완료 후 새만금 지구 홍수위 검토)

  • Jeong, Seok Il;Ryu, Kwang Hyun;Lee, Seung 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48-248
    • /
    • 2018
  • 새만금 종합개발계획(정부, 2011)에 따른 내부개발의 완료시점은 2030년이며, 방수제 공사와 준설 등과 같이 만경강 및 동진강 유역 내 흐름을 변화시킬 수 있는 공사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현재와 2030년의 하천 및 호의 수리특성은 다를 것이라 예상된다. 2030년까지 준설상황 등을 예측하여 반영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새만금 종합개발계획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부개발의 완료시점을 기준으로 홍수사상을 모의하였다. 새만금 호의 물리적인 변화는 수리특성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상류지역으로 전파가 될 수 있으므로 호내 뿐만 아니라 만경강과 동진강 전역에 대한 홍수시의 수리특성을 검토하였다. 새만금 호와 연결된 만경강과 동진강의 설계홍수량은 대부분의 구간에서 100년 빈도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100년 빈도 홍수사상에 대한 분석을 기초로 홍수위 검토를 수행하였고, RCP8.5 시나리오를 적용한 100년 빈도 홍수량과 500년 빈도 홍수량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 결과를 토대로 취약지구 분석 및 대책 등을 제시하였다. 수치모의는 Delft3D를 이용하였으며, 새만금 유역의 동진강 지구의 실측치와 비교함으로써 모델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서해안 조위 특성상 새만금 방조제는 조위 영향이 크므로,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조위의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새만금 유역 주변의 12개 조화상수(tidal harmonic constant)를 이용하여 조위에 대한 모의를 별도로 수행하고, 이 결과를 배수갑문의 경계조건으로 이용하였다. 상류 경계조건은 하천기본계획상에 제시된 하천은 이를 이용하였으며, 그 외의 소하천은 유역면적을 이용한 계산법을 사용하여, 선형적 면적 비유량(Specific Discharge, SD) 방법을 적용하여 본류의 유량에 부가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준설 구간의 수위는 전반적으로 저하되었으며, 거리에 따른 수면의 경사를 분석한 결과 기존의 하천구역이 준설 등으로 인하여 호수의 특성으로 변화된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취약지구는 홍수위가 제방고의 약 80% 이상 되는 지역으로 결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취약지구 분석을 수행한 결과 기존 100년 빈도에서 1지점, RCP 8.5 시나리오가 적용된 100년 빈도에서 88지점, 500년 빈도에서 125지점이 잠재적인 치수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기존의 1차원 연구결과와는 차이가 있는 부분은, 다수의 취약지구가 만곡부 또는 합류부 인근에 위치한 것이다. 향후 이러한 상대적인 치수 취약지점에 대해 정밀하고 국부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정확한 홍수위 예측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 PDF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os in the Subtidal Soft Bottom in Semi- enclosed Youngsan River Estuarine Bay, Southwest Coast of Korea (반폐쇄적인 영산강 하구역 조하대 연성저질의 저서동물 군집)

  • LIM Hyun-Sig;PARK Kyung-Yang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32 no.3
    • /
    • pp.320-332
    • /
    • 1999
  • Investigations were made on the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os in the subtidal soft bottom around semi-enclosed Youngsan River estuarine bay, southwest coast of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1995 to February 1996. Three macrobenthos samples were collected at 40 stations using a van Veen grab(0.1 m^2)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of 206 species of macrobenthos was identified. Their mean density and biomass (wet-weight, wwt) were $1,137 ind./m^2$ and $65.28 gwwt/m^2$, respectively. Of these, there were 74 species of polychaetes ($36\%$), 60 molluscs ($39\%$), 51 crustaceans ($25\%$) and 21 miscellaneous taxa. Molluscs were represented as a density- and biomass-dominant faunal group with a mean density of $601 ind./m^2$($53\%$ of the total benthic animals) and biomass of $25.37 gwwt/m^2$($39\%$ of total biomass): It was followed by polychaetes with $405 ind./m^2$($40\%$ of the total density). Total number of species and diversity were Bow in the inner estuarine bay containing high mud content and organic matter, whereas they were high in the outer stations containing low mud content and organic matter. Major dominant species were one biralve, Theora fragilis and three Polychaetes, Tharyx sp., Poeciloceatus johnonni and Lumbrineris lontifolia whose mean densities were $490ind./m^2$, $96ind./m^2$, $74ind./m^2$and $52 ind./m^2$, respectively. Cluster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tudy area could be divided into four station groups: two innermost station groups, a central bay and an outer station group. The species diversity increased from the inner station group toward the outer groups.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both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distribution of benthic community.

  • PDF

Distribution and Growth of Bacteria in the Hypertrophic Lake Shiwha (과영양성 시화호에서 박테리아의 분포 및 성장)

  • Choi, Dong-Han;Kang, Sulk-Won;Song, Ki-Don;Huh, Sung-Hoi;Cho, Byung-Cheol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2 no.2
    • /
    • pp.92-100
    • /
    • 1997
  • Distribution of bacterial abundance and production was investigated during October, 1995-August, 1996 in Lake Shiwha constructed artificially in 1994. Its water column was distinguished by two layers: the brackish surface layer with salinity ranged from 6 to 20‰ and the saline hypoxic/anoxic bottom layer with salinity of 17 to 27‰ Except for samples collected in March, 1996 (on average 13 ${\mu}g\;l^{-1}$), chlorophyll a concentration ranged from 27.6 to 249.5 ${\mu}g\;l^{-1}$ in the euphotic zone, indicating the hypertrophic condition of Lake Shiwha during most of the studied period. In this study, bacterial productions measured by $^3H$-thymidine incorporation method were similar to those by $^{14}C$-leucine incorporation method. In hypertrophic, surface waters of Lake Shiwha, bacterial abundance and production ranged from 1.4 to $19.5{\times}10^9\;cells\;l^{-1}$ and from 1.6 to $126.5{\times}10^7\;cells\;l^{-1}\;h^{-1}$ respectively; 2 to 4 fold and 2 to 30 fold higher than those in eutrophic coastal waters outside of Lake Shiwha, respectively. Turnover times of bacterial community in the surface layer of Lake Shiwha ranged from 0.2 to 8.9 day, indicating that bacteria in the lake seemed to adapt to the hypertrophic condition. In the hypoxic bottom layer, bacterial abundance and production was up to 3 fold and 20 fold lower than those in the surface layer, and showed slow bacterial growth.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bacterial abundance, production, and community turnover time with water temperature indicate water temperature was the important factor controlling distribution and growth of bacteria. However, during summer season, bacterial production seemed to be regulated by supply of substrates.

  • PDF

Implementation of Saemangeum Coastal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Using GIS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새만금 해양환경정보시스템 구축)

  • Kim, Jin-Ah;Kim, Chang-Sik;Park, Jin-Ah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4 no.4
    • /
    • pp.128-136
    • /
    • 2011
  • To monitor and predict the change of coast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of Saemangeum sea dyke and the development of land reclamation, we have done real-time and periodic ocean observation and numerical simulation since 2002. Saemangeum coastal environmental data can be largely classified to marine meteorology, ocean physics and circulation, water quality, marine geology and marine ecosystem and each part of data has been generated continuously and accumulated over about 10 years. The collected coastal environmental data are huge amounts of heterogeneous dataset and have some characteristics of multi-dimension, multivariate and spatio-temporal distribution. Thus the implementation of information system possible to data collection, processing, management and service is necessary. In this study,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Saemangeum coastal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t enables the integral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and the data querying and analysis of enormous and high-complexity data through the design of intuitive and effective web user interface and scientific data visualization using statistical graphs and thematic cartography. Furthermore, through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rend changed over long-term by the geo-spatial analysis with geo- processing, it's being used as a tool for provide a scientific basi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decision support in Saemangeum coast. Moreover, for the effective web-based information service, multi-level map cache, multi-layer architecture and geospatial database were implemented together.

Numerical Modeling of Sediment Transport during the 2011 Summer Flood in the Youngsan River Estuary, Korea (영산강 하구의 2011년 하계 홍수시 퇴적물이동 수치모의)

  • Bang, Ki-Young;Kim, Tae In;Song, Yong Sik;Lee, Jung Hyun;Kim, Shin Woong;Cho, Jae-Gab;Kim, Jong Wook;Woo, Seung Buhm;Oh, Jae Ky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5 no.2
    • /
    • pp.76-93
    • /
    • 2013
  • The hydrodynamics in the Youngsan River Estuary has changed due to coastal developments such as the estuary dam and two tidal barriers. As the freshwater discharge is artificially controlled, the circulation pattern is different from those of natural estuaries and the river-born sediment supply is restricted. 3D numerical modeling system EFDC was applied to investigate the sediment transport pattern and budget in summer with river floods. The real-time driving forces and the fluvial sediment discharges from the watershed modeling were assigned for the simulation period. The size classes of sand, silt and clay were adopted based on the grain-size distribution of bottom sediments. The modeling results were calibrated and validated with the observed tides, tidal currents and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s. The suspended sediments are transported to the offshore at surface layer, whereas upstream toward the dam at mid- and bottom layers in August 2011. The characteristic estuarine circulation induced by the freshwater discharge from the dam, causes the deposition of silt-sized sediments on the whole and the sustained suspension of clay-sized sedi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