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제자원

Search Result 16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Response Resource Model of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Based on the Risks of Marine Accidents in Korea (위험도에 기반한 HNS 방제자원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Lee, Eun-Bang;Yun, Jong-Hwui;Chung, Sang-Tae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6 no.10
    • /
    • pp.857-864
    • /
    • 2012
  • Reviewing the statistics of harbor shipment of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 and the past spill accidents of HNS enabled us to assess the potential risks of transportation of HNS through the major harbors in Korea. Ulsan, Yeosu, Daesan port are relatively evaluated high risk in fire, health and environment disaster. Through the analysis of domestic preparedness to HNS accidents, the supplement of expertise resource to respond the vulnerability of the explosion, the fire and the physiological hazard, is required. Based on this risk assessment and review of the advanced case of Japan in building up HNS response system, a resource model at a national level was proposed which differentiates the sea areas for the proper allocation of resources to respond effectively to HNS accidents in the future.

HNS 선박 승무원 Risk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 Hong, Gyeong-Ui;Yun, Jong-Hwi;Jeong, Min-Gi;Lee, Mun-Jin;Gang, Won-Su;Lee, Eun-B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1-1
    • /
    • 2018
  • 위험 유해물질(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과 유출에 및 그 대응 기술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졌지만 HNS 선박 승무원 안전 관리 연구는 미흡한 면이 있다. 승무원은 HNS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고, 대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고의 초등 대응 책임자로서 재해 감소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승무원 재해를 분류 및 구조화하고 Risk 평가하였다. 현 HNS 선박의 방제자원을 분석하여 승무원 Risk를 기반으로 사고 초기 대비 대응력 강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HNS 선박의 방제자원 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해 나갈 예정이다.

  • PDF

HNS 사고 대비/대응 전용 방제자원 적정배치에 관한 연구

  • Kim, Tae-Hyeong;Yun, Jong-Hwi;Ha, Min-Jae;Jeong, Min-Gi;Lee, Mun-Jin;Lee, Eun-B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7.11a
    • /
    • pp.5-5
    • /
    • 2017
  • 중국의 텐진항 시안화나트륨 폭발과 같이 적절치 않은 대응은 추가 폭발 및 막대한 피해로 이어지게 된다. HNS물질은 600여가지 이상으로 그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물질마다의 특성이 제각각이다. HNS 물질의 특성을 정확히 분석하지 않고 대응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텐진항의 사고와 같은 대형재난을 야기시킬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HNS 물질을 IMDG 코드의 기준에 따라 물질의 특성을 구분하고, 종류별 대응방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된 대응방법을 토대로 물질 유형별 필요/필수 방제자원을 Matrix화하여 제시하였다.

  • PDF

Effect of Various Organic Materials on Weed Control in Environment-friendly Rice Paddy Fields (벼 친환경재배에서 다양한 유기자원별 잡초방제효과)

  • Kwon, Oh-Do;Park, Heung-Gyu;An, Kyu-Nam;Lee, Yeen;Shin, Seo-Ho;Shin, Gil-Ho;Shin, Hae-Ryoung;Kuk, Yong-In
    •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 /
    • v.30 no.3
    • /
    • pp.272-281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the weed management techniques in environment-friendly rice paddy fields through the study on herbicidal effects and problems of various organic materials.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of weed species and weed densities in environment-friendly rice paddy fields. There was no difference in weedy efficacy on golden apple snail (GAS), paper mulching (PM), and machine weeding (MW) between low and high weed densities. However, the effect of weed control in rice bran (RB) and effective microorganism (EM) + molasses was higher in high weed density than in low weed density. In general, the effect of weed control as affected by various organic materials was in the order of GAS (97-100%) > PM (93-98%) > RB (15-80%) > EM (7-31%). GAS provided excellent control of all weed species tested except for Persicaria hydropiper. PM gave acceptable control of the weed species except for Echinochloa crus-galli, Ludwigia prostrata, and Eleocharis kuroguwai. However, MW gave fair control (70% biomass reduction) of all weed species tested. BR followed by MW or EM followed by MW treatments had similar effect on weed control compared to each treatment alone. However, BR followed by GAS or EM followed by GAS provided 100% control of weed species tested. The level of rice foliar injury caused by various organic materials was in the order of GAS and MW (10-20%) > RB (10-15%) > PM and EM (5-7%). Typical symptoms of organic materials are wilting, inhibition of growth, missing hill, and reduction of tiller. Cost for weed control of GAS, RB, EM, and PM were 2.1, 3.1, 2.3, and 13.2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herbicide. These data indicate that GAS was the best method for weed management in environmentfriendly rice paddy fields.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elucidate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rice injury as affected by GAS.

Biological Control Effects of Hedera helix, Lantana camara, Solanum pseudocapsicum (아이비, 란타나, 예루살렘체리 추출물의 생물적 방제 효과)

  • Lee, Kyu Hoi;Kim, Ju Hyoung;Kim, Hyun Ju;Choi, Won Ho;Jang, Tae-Won;Choi, Ji-Soo;Park, Min-Jeong;Mun, Jeong-Yun;Im, Jong-Yun;Kim, Do-Wan;Park, Jae-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76-76
    • /
    • 2018
  • 화학적 살충제는 빠르고 정확하게 해충을 방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지만, 인간과 다른 유기체에 대한 살충제 잔류의 위험성, 화학적 살충에 대한 저항성을 가진 해충의 출현, 생태계의 교란 등 다양한 부작용이 있다. 이 때문에 생물적 방제를 통한 해충 방제는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 특히 채소 작물 등에 주로 발생하는 응애는 생산량 저하 및 품질 저하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진딧물이나 점박이응애는 화학적 살충제에 대해 높은 저항성이 발달되어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이비(Hedera helix), 란타나(Lantana camara), 예루살렘체리(Solanum pseudocapsicum)를 통한 천연 식물 추출물의 응애에 대한 생물적 방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각 추출물은 0.5%, 0.05% 주정 및 메탄올로 추출하였으며, 응애 방제 효과(%)는 아이비>란타나>예루살렘체리로 나타났다. 각 추출물은 GC/MS 분석을 통해 생리활성 후보 물질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농업 이익 증대, 생산량 유지와 더불어 환경 및 인간과 다른 유기체에 피해를 주지 않으며 효과적으로 응애를 방제 할 수 있는 천연 생물적 방제제로의 가치를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