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제기

Search Result 459,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Pigment Distribution Analysis of High Speed Fan for Dusting Large Pasture at Livestock Farms (축산농가를 위한 대규모 목초지 방제용 고속 팬의 실험을 통한 색소 분포에 따른 분석)

  • Kim, C.S.;Min, B.R.;Seo, K.W.;Lee, D.W.
    • Journal of Animal Environmental Science
    • /
    • v.15 no.2
    • /
    • pp.99-106
    • /
    • 2009
  • We conducted a comparison experiment of our wide-area spraying high speed fan with a fan which was developed by Japan MARUYAMA Inc. have been much recognized for it's history and skills in a field of spraying machine. In result, MARUYAMA Inc. fan sprayed up to 120 m and, on the other hand, wide-area spraying high speed fan of our own making was able to spray up to more than 160 m. Wide-area spraying machine have been supplied to domestic demands by importing from Japan, but it is determined to be possible that home products will occupy market for it's ability, price and A/S environment in future.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below. Some plastic cups which are in the open market are used for our experiment. After distributing 90 cups in a range of 10m vertically with localizing 5 cups horizontally and 18 cups vertically, spraying machine was moved and finally we make distribution charts by estimating the sprayed amounts on each cup. Vertical distance was set up to 5m and we calculated average values by using sprayed amount and data of 4 observers. In result our fan showed much sprayed amounts than MARUYAMA Inc. all over the field except situations of vehicle departing and stopping.

  • PDF

Study for Boom type speed sprayer Development (I) - Survey for Boom type speed sprayer development - (붐식 스피드 스프레이어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I) - 붐식 스피드 스프레이어 개발을 위한 현황 조사 -)

  • Choi, Hwon;Shin, ChangSeop;Kim, Tae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5-5
    • /
    • 2017
  • 방제 작업은 병해충을 줄여 농산물의 품질과 생산량을 높이기 위한 필수 작업이다. 하지만 방제 작업은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작업하여 고된 작업 강도와 농민의 농약 중독 문제, 고령화 여성화로 인한 농가 일손 부족 문제로 농촌에서는 기피하고 있는 작업 중 하나이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동력 살포기와 같은 기계를 이용하여 살포 작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경우 2015년 기준 2,073 대가 농가에 공급되어졌다. 스피드 스프레이어를 사용하는 농가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살포 방식의 경우 농약을 다량 살포함으로써, 농약의 낭비, 환경오염의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방제 작업의 방식이 붐을 이용한 방제 작업으로 바뀌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붐 방제기의 경우 붐에 노즐을 배치하여 작물에 근접한 위치에서 농약을 정밀 살포하며, 스피드 스프레이어와 다르게 농약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농약의 살포량을 제어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트랙터 부착형 붐 방제기가 아닌 스피드 스프레이어를 개선한 붐식 스피드 스프레이어를 개발하기 위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붐 방제기의 연구 동향 및 제품을 소개하고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기존의 붐 방제기는 트랙터에 부착하는 형태로 개발되어졌으며 트랙터의 부착위치에 따라 전륜, 후륜형으로 나뉘고, 작물의 크기에 따라서 붐의 높이 및 붐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조로 제작하여 사용되고 있다.

  • PDF

Management Strategies for Apolygus spinolae(Hemiptera: Miridae) in Grapevine Yards (포도원에서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Apolygus spinolae(Meyer-Dur))방제체계)

  • 김동순;조명래;전흥용;임명순;최용문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41 no.1
    • /
    • pp.67-73
    • /
    • 2002
  • Stud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trol effects of several insecticides on Apolygus(=Lygocoris) spinolae(Meyer-Dur) and to develop its management strategies in grapevine yards. Of insecticides which were applied by farmers in commercial grapevine yards, chlorpyrifos, parathion, fenvalerate, and esfenvalerate$.$fenitrothion showed good control effects against A. spinolae. In designed field experiments of fenitrothion and chlorpyrifos for the evaluation of A. spinolae control, both insecticides showed high control efficacy of 94.8 and 91.6%, respectively. The damage of A. spinolae was examined in a grapevine yard, where five different combinations of application timing and number were treated with fenitrothion to assess yield losses (average cluster weight) by A. spinola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verage cluster weights of sprayed vines; 466.0 g in sprayed vines on 2 to 3 leaves unfolded stage, 460.7g in sprayed vines on flower separating stage, 465.0 g in sprayed vines each on 2 to 3 leaves unfolded and flowers separating stage, and 487.4 g in sprayed vines each on 2 to 3 leaves unfolded, flowers separating and fruit set stage. Weights of fruit clusters of unsprayed vin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sprayed vines. Based on yield and spray cost, chemical control on 2 to 3 leaves unfolded stage produced higher net income than each spray on 2 to 3 leaves unfolded and flower separating stage (i.e., two times of spray), and produced similar net income as each spray on 2 to 3 leaves unfolded, flowers separating and fruit set stage (i.e., three times of spray). Thus, the 2 to 3 leaves unfolded stage was economical spray timing to controlA. spinolae in grapevine yards. Also, management strategies for A. spinolae were discussed.

Performance Test and Image Processing Analysis of a Small and Medium Sized Sprayer for Pests Control for Fruit Trees and Roadside Trees (과수 및 가로수 병해충 방제를 위한 중소형 살포기의 성능실험 및 영상처리를 이용한 분석)

  • Min, Byeong-Ro;Choi, Jin-Ho;Lee, Kyou-Seung;Kim, Woong;Lee, Dae-Weon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20 no.2
    • /
    • pp.101-108
    • /
    • 2011
  • The small and medium sprayer has developed to spray well fruit trees and roadside trees with pesticides for pests control within 60 meter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and evaluate its performance using image processing. While it sprayed with pesticides on the area of 20m in width and 60m in length, it was experimented 5 places by 5m from 0 to 25m width and 6 places by 10m from 10 to 60m length. The experimental image data of each sheet on places were averaged after binariz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image data, it was sprayed on all working area. However, when sprayer moved 0.3m/s velocity, the place at 15m of width and 30m of length was sprayed more than any other sprayed area, but the place at 15m of width and 60m of length was sprayed less.

Guidance pipeline following Ginseng field Sprayer (파이프 가이드라인 추적식 인삼밭 방제기 개발)

  • Gang, Tae-Gyeong;Kim, Seung-Hui;Lee, Gong-In;Lee, Chae-Sik;Park, U-Pung;Hwang, Seong-Jun;Jeong, Gi-Ch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v.10 no.2
    • /
    • pp.32-35
    • /
    • 2005
  • 밭고랑 옆의 해가림시설 지주목에 파이프라인을 설치하고 방제장치를 탑재한 주행장치가 자동으로 파이프를 추적하면서 농약을 살포 할 수 있는 방제기를 개발하여 인삼재배포장에서 성능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다음과 같다. 가. 인삼재배용 방제기의 주행장치는 동력원으로 축전지를 사용하는 DC모터에 의한 4륜 구동형으로 제작하였고, 방제장치는 수직 붐노즐 방식으로 쌍선형 노즐을 좌우에 3개씩 부착하고 살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으며, 인력으로 골간 이동시키는 방식이다 나. 성능시험결과 주행속도는 0.3m/s이고, 장애물이나 요철부의 통과 가능높이는 4cm였고, 작업성능은 38분/10a로 나타났다. 다. 방제성능은 피복면적비를 측정한 결과 인삼 잎 앞면은 100%, 뒷면은 40%이상으로 분무입자의 부착률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Flow Characteristics of Injected Concentrates in Spray Booms (주입식 붐 방제기의 농약 혼합 유동특성)

  • 구영모;스티븐영;데니스쿨만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21 no.2
    • /
    • pp.146-154
    • /
    • 1996
  • 농약의 직주입 혼합방식은 작업자의 안전에 기여하며 남은 농약은 용기와 함께 수거되어 재사용 되므로 환경보전 및 경제적 이점이 있다. 그러나 주입식 방제기의 분관내 농약혼합액이 노즐에 이르는 시간까지의 유동특성인 지연시간은 농약 살포량에 오차를 유발한다. 본 연구는 이 지연시간이 미치는 실제 살포오차의 정도를 파악하려 시뮬레이션을 행하였다. 시뮬레이션의 결과에 의하면 오차는 상당히 심각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지연시간을 단축하려는 여러 방법을 검토하였다. 분관의 직경을 줄여 유동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혼입 농약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방제속도를 가능한 목표속도에 맞추는 방법 등은 약간의 오차를 줄일 수 있을 뿐이었고, 농약을 각 노즐에 주입함으로써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으나 미소계략의 문제를 내포하였다. 따라서 농도의 변화에 따른 지연시간을 없앤 직주입 총유량 제어방식을 통하여 노즐 배출유량을 방제속도의 변이에 따라 보상하며 비례적으로 농약을 주입하여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pray and De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Electrostatics Nozzle for Spraying Agricultural Chemicals (정전대전 농약살포용 노즐의 분무 및 부착특성)

  • 강태경;이동현;이채식;김충길;노수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7a
    • /
    • pp.156-161
    • /
    • 2003
  • 농약과 방제기가 개발되면서 적은 노력과 비용으로 넓은 면적의 작물을 병과 해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되어 수확량이 대폭 늘어나고 농사도 안정적으로 지을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방제작업이 손쉽게 되었으나 농약을 필요량보다 적게 뿌릴 경우 병해충을 충분히 방제할 수 없고, 많이 뿌릴 경우 비용과 환경오염을 증가시키는 또 다른 문제점에 부닥치게 되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방제기로 농약을 살포할 경우 노출된 작물의 잎에서는 농약이 흘러내리는 반면 수관내부에 감추어진 잎이나 병해충이 주로 발생되는 잎 뒷면은 농약 부착이 미흡하다. (중략)

  • PDF

비래해충 - 8월 기온 높으면 피해증가 그 생태와 방제적기 - 벼멸구$\cdot$흰등멸구$\cdot$혹명나방$\cdot$멸강나방

  • 한국농약공업협회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3 no.8
    • /
    • pp.67-75
    • /
    • 1982
  • 병충해의 방제목적은 벼의 생육기간 중 벼를 병충해로부터 보호하여 피해를 아주 적게 함으로써 경제적 손실을 막는 데 있다. 이른 봄부터 벼농사 준비를 하여 모기르기, 모내기, 초중기 병충해방제를 잘하여 수확을 눈앞에 두게 되었는데 벼농사 후기에 기상재해 특히 병충해방제 소홀로 예상치 못한 피해를 보아 흉년을 보는 예가 흔히 있다. 특히 비래성 해충은 갑자기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혹독한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예찰정보 및 병충해 발생경보등에 귀를 기우려 사전방제에 철저를 기해야 하겠다.

  • PDF

Efficacy by Application Schedule of Fungicides before Harvest Stage for Control of Strawberry Powdery Mildew (딸기 흰가루병 방제를 위한 수확전 약제 처리 시기)

  • Nam, Myeong-Hyeon;Jung, Suck-Kee;Jang, Chang-Soon;Song, Jeong-Young;Kim, Hong-Gi
    • Research in Plant Disease
    • /
    • v.11 no.1
    • /
    • pp.39-42
    • /
    • 2005
  • Powdery mildew, caused by Sphaerotheca aphanis var. aphanis, is an economically significant disease of strawberry in Korea. When powdery mildew is not controlled adequately, it often spreads rapidly through strawberry plants and damage is associated with reduced yields. Proper timing of fungicide applications is, therefore, essential for effective disease control. This study evaluated the efficacy by application schedule of fungicides before harvest stage for preventing powdery mildew in 2001-2003. The systemic fungicides, azoxystrobin, kresoxim-methyl, and cupper fungicide DBEDC were applied preventively during the first part of the cultivating season. Preventative applications of DBEDC by dipping treatment before transplanting and kresoxim-methyl by foliar spray before blooming stage were one of the most effective control schedule tested to prevent and manage this disease. This research demonstrated the significance of application time to control of powdery mildew, particularly provided elimination unnecessary sprays of agrochemicals and reduction costs for strawberry grow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