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전 및 방전가스

Search Result 262,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Study on Partial Discharge Characteristics under Insulating Material of Substation Facilities (변전기기 절연매질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신호 특성분석)

  • Han, Ki-Se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a
    • /
    • pp.153-154
    • /
    • 2008
  • 변전기기의 주요 절연매질인 절연유 및 $SF_6$ 가스에서 절연불량으로 부분방전이 발생할때 방사되는 전자기파 특성을 측정, 분석 하였다. 부분방전 발생기구로 부유전극을 제작하여 실험하였으며 부분 방전에 의한 전자기파 신호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변압기 주 절연물인 절연유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신호가 크고 높은 주파수의 신호가 발생하였고, 가스절연개폐장치 주 절연물인 $SF_6$ 가스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신호도 비교적 높은 주파수 신호가 발생하였다. 본 분석결과는 변전소 주요 설비인 변압기 및 가스절연개폐장치에서 발생가능한 절연이상을 진단하기 위한 전자기파를 이용한 부분방전 분석기술 개발에 응용할 예정이다.

  • PDF

The Effect of a small amount of Impurity gas on Luminance/Discharge Characteristics of AC PDP (ac PDP에서 미량 불순물 가스가 광학적 및 전기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 Heo, Jeong-Eun;Kim, Young-Kee;Choi, Joon-Young;Kim, Joon-Yeon;Shin, Joong-Hong;Lee, Ho-Jun;Park, Chung-H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07c
    • /
    • pp.1585-1587
    • /
    • 2001
  • ac PDP 동작에 있어 미량 불순물 가스는 panel 내의 휘도 및 방전 특성에 많은 영향을 미칠것으로 생각된다. $O_2$, O, C 및 $H_2$와 같은 불순물 가스는 ac PDP의 제조 공정 중에 발생하거나, 충전된 방전가스에 혼합되어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나타난다. 이 논문에서는, ac PDP의 동작 가스 중에 미량의 불순물 가스(Ar, $N_2$, $O_2$, $H_2$, $CO_2$)를 주입하여, 이 미량의 불순물 가스로 인한 ac PDP의 휘도 및 방전의 특성변화에 대한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O_2$ 가스의 분압이 $2{\times}10^{-3}$/He+Ne+Xe(4%)일 경우, 방전전압은 12% 증가하였고, 휘도는 60% 감소하였다. 또한, $CO_2$ 가스의 경우는 방전전압은 14% 증가하였고, 휘도는 44% 감소하였다.

  • PDF

The characteristics of ozone and discharge by ceramic dielectric for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유전체 장벽 방전에 의한 세라믹 유전체의 방전 및 오존 특성)

  • Lee, Chang-Ho;Kim, Jong-Hyun;Song, Hyun-Jig;Lee, Kwang-Si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5a
    • /
    • pp.123-124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반영구적인 세라믹 유전체를 이용하여 오존발생기를 제작하여, 유전체장벽 방전에 의한 방전관의 방전 및 오존생성특성을 검토하기위하여 원료가스의 유량 및 종류, 인가전압에 의한 방전전력에 따른 방전 특성 및 오존생성농도, 오존발생량 및 오존생성수율 특성의 기초연구를 하였다. 동일한 원료가스의 량에서 산소인 경우가 오존생성농도, 오존발생량 및 오존생성수율 특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 PDF

Ozone Generation and NO Gas Removal Characteristics a Silent-Surface Hybrid Discharge Type Ozonizer (무성-연면 복합방전형 오존발생기의 오존생성 및 NO 가스 제거특성)

  • Song, Hyun-Jig;Lee, Kwang-Si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9 no.7
    • /
    • pp.32-38
    • /
    • 2005
  • A hybrid discharge type ozonizer, which is superposed silent and surface discharges, has been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apply for Nitrogen Oxides(NO) gas removal. The ozonizer consists of three electrodes, and is classified three types of ozonizer by changing applied voltag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variance with the flow rate of supplied oxygen gas, discharge power and the sorts of superposed discharge type ozonizer. Moreover, NO(1200[ppm])/$N_2$ gas removal investigation was also conducted to apply for environment improvement field. Two kinds of NO gas removal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It distinguishes the investigations into NO gas reaction method. According to these studies, maximum removal rate of 100[%] in NO gas was obtained, and 8334[ppm] and 3249[mg/h] of maximum ozone concentration and generation were also obtained respectively.

Closed Drift Ion Source 설계를 위한 전극 구조와 자장세기에 따른 방전 특성 연구

  • Kim, Gi-Taek;Lee, Seung-Hun;Gang, Yong-Jin;Kim, Jong-G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216.1-216.1
    • /
    • 2014
  • Closed drift ion source는 그 특성으로 인하여 강판 표면처리, 금속 표면 산화막 형성, 폴리머 혹은 기타 표면 개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이 되고 있다.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 되는 소스의 특성으로 인하여 각기 다른 공정에 대한 최적의 특성이 요구 되며, 이러한 공정 환경에 맞춘 소스를 설계하기 위해서 ion source내 전극의 구조 및 자기장 세기 등 이온소스의 구조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형 이온소스의 구조 설계를 위한 실험을 소형(이온빔 인출 슬릿 직경: 60 mm) 이온빔 인출 장치를 제작하여 전극 구조에 따른 방전 특성을 우선적으로 평가를 실시하여 소형 이온빔 인출 장치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0.3 m급 linear closed drift ion source 설계에 대한 변수를 조사 하였다. 실험은 양극-음극(C-A) 간 간격 및 음극 슬릿(C-C) 간격 그리고 자기장 세기 조건에서 방전 전류 및 인출 이온빔 전류량 측정하였으며, 이 결과를 전산모사 결과와 비교 하였다. 방전전압 1~5 kV, 가스유량 10~50 sccm 조건에서 Ar 이온빔 방전 특성을 평가한 결과, 양극-음극(C-A) 간격이 넓을수록, 음극-음극(C-C) 간격이 좁을수록 방전 전류량이 증가함을 확인 하였다. 또한, 공정 가스 압력 및 자기장 세기 변화에 따른 1~5 kV의 방전 전압에 대한 방전 특성의 관찰 결과, 압력 및 자기장 변화에 따라서 방전 전류의 변화를 관찰 할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통하여 이온 소스 구조 내부에서의 방전 영역에 대한 압력과 자기장 세기에 대한 영향을 분석 할 수 있었다.

  • PDF

Study on Spectrum of Partial Discharge under Air, $SF_6$ and Oil (기중, $SF_6$ 및 절연유 하에서의 방전신호 주파수 특성분석)

  • Goo, Sun-Geun;Ju, Hyung-Jun;Han, Ki-Seon;Park, Ki-Jun;Yoon, Jin-Yu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10a
    • /
    • pp.149-150
    • /
    • 2006
  • 기중, $SF_6$ 가스 및 절 연유에서 부분방전시 방사되는 전자파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였다. 비슷한 구성의 부분방전 발생장치(PD Cell)에서 절연유에서의 부분방전이 가장 최고 높은 주파수의 신호가 발생하였으며 $SF_6$ 가스 하에서 비교적 높은 주파수의 부분방전 신호가 발생하였다. 또한 부분 방전의 종류에 따라 전자파 방전신호가 수직 편파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나. 본 결과는 전자파를 이용한 변전기기의 부분방전 측정기술 개발에 응용할 예정이다.

  • PDF

Mutual Relation between Radiation Electro-Magnetic Wave and PD Current with PD Progress in $SF_6$ ($SF_6$ 가스 중 부분방전 진전에 따른 방사전자파와 방전전류의 상관관계)

  • Yoon, D.H.;Do, Y.H.;Lee, S.K.;Song, H.S.;Kim, J.H.;Lee, K.S.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6.05a
    • /
    • pp.330-333
    • /
    • 2006
  • 산업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전력기기에 결함이 발생하면 치명적인 사고로 진전되어 큰 경제적, 인적 손실을 가져온다. 본 논문은 GIS에 사용되는 절연가스인 $SF_6$의 압력 변화에 따른 부분방전을 모의하고, 발생되는 부분방전 신호를 절연 진단 방법 중 하나인 UHF법을 이용하여 부분방전 시 방사되는 방사전자파의 스펙트럼을 분석하고, 접지로 흐르는 방전 전류를 측정하여 방전진전 과정을 관측하였다. 본 연구는 GIS 및 $SF_6$ 가스를 절연물로 사용하는 전력설비에서 내부압력 변화 시 금속이 물질에 의해 발생되는 절연파괴 사고의 예방진단에 유용한 자료가 되리라 판단된다.

  • PDF

Characteristic Analysis of $SF_6$ Gas Partial Discharge with Conductive Particles (도전성 이물질 존재 시 $SF_6$ 가스의 부분방전 특성 분석)

  • Yoon, D.H.;Kim, H.W.;Bae, J.H.;Song, H.J.;Kim, M.H.;Lee, K.S.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7.11a
    • /
    • pp.221-223
    • /
    • 2007
  • 산업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전력기기에 결함이 발생하면 치명적인 사고로 진전되어 경제적, 인적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논문은 현재 대전력기기에서 많이 사용되는 $SF_6$ 절연가스의 압력 변화에 따른 부분방전을 모의하고, UHF법을 이용한 모의 GIS 내부 부분방전 신호 측정 및 접지 전류를 측정하여 부분방전 시 방사되는 방사전자파의 스펙트럼 특성과 접지 전류 파형 특성을 분석하여, 챔버 내의 압력 변화가 $SF_6$ 가스 부분방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현장 GIS 및 $SF_6$ 가스 절연 전력설비에서 내부 압력 변화가 원인이 되어 발생되는 절연파괴 사고의 방지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대기압 저온 플라즈마 발생 장치에 대한 연구

  • Kim, Yun-Jung;Han, Guk-Hui;Kim, Jung-Gil;Kim, Yeon-Jeong;Jo, Hyeon;Gang, Gyeong-Hun;Jo, Gwa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204-204
    • /
    • 2016
  • 다양한 형태의 대기압 저온 플라즈마 장치를 개발하고 특성을 연구하였다. 최근 대기압 저온 플라즈마를 의료 및 미용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기압 플라즈마 장치의 생체 적용을 위해 전기적, 열적 피해가 없는 플라즈마 발생 장치를 개발하였다. 대기압 플라즈마 발생 장치는 크게 플라즈마 제트와 유전 격벽 방전(DBD) 플라즈마의 형태로 나눌 수 있다. 대기압 플라즈마 제트는 고압 전극의 역할을 하는 주사 바늘과 바늘을 감싸고 있는 유리관, 유리관의 외부에 위치하는 접지 전극의 구조로 되어 있다. 방전 기체는 방전이 용이한 불활성 가스가 주로 사용되지만, 필요에 따라 $N_2$나 Air같이 방전이 어려운 분자 및 혼합 기체도 사용 한다. 방전 기체에 따라 대기압 플라즈마 제트의 전극 구조를 다르게 적용하였으며, 각 구조에서의 플라즈마 방전 특성을 연구 하였다. 유전 격벽 방전 플라즈마 장치는 고압 전극과 접지 전극 사이에 유전체가 위치하는 구조이다. 방전 가스를 불어주지 않아도 대기중에서 방전이 가능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용도에 맞는 다양한 형태로 방전이 가능하다. 이러한 대기압 저온 플라즈마의 특성 연구를 바탕으로 전기적, 열적 피해가 없으며 사용자 편의성을 갖춘 다양한 형태의 대기압 플라즈마 장치를 개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대기압 저온 플라즈마 발생 장치의 개발과 활용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Characteristics of Various PD Signatures due to Defects in GIS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결함별 부분방전 신호 특성)

  • Goo, Sun-Geun;Lim, Jae-Sup;Park, Ki-Jun;Yoon, Jin-Yu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7c
    • /
    • pp.1991-1993
    • /
    • 2004
  • 가스절연개폐장치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방전 위치 및 방전원인을 방전신호로부터 유추하는 것이 핵심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방전원에 대한 신호 유형을 정리하고 방전원별 특성을 추출하여 실제 부분방전 발생시 방전원을 쉽게 유추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