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위해상도

Search Result 13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Influences Analysis of SAS Azimuth Resolution on the UUV Trajectory Disturbances (수중 무인정 궤적 교란에 따른 SAS 방위해상도 영향에 대한 분석)

  • Kim, Boo-i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0 no.1
    • /
    • pp.222-229
    • /
    • 2016
  • Active synthetic aperture sonar on the small UUV is generated several trajectory disturbances under the influences of underwater environments, and causing a large error in the synthetic aperture processing.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effects of azimuth resolution for the phase mismatch of the synthetic aperture focus processing when the periodic or random trajectory disturbances was generated on the side direction.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ghost targets are generated and azimuth resolution is very deteriorated when disturbance amplitude is greater than $0.3{\lambda}$ and disturbance period is greater than $2L_{sa}$ in the periodic trajectory disturbances environments. And detection performance on the seabed small objects by the synthetic aperture processing is shown that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s on the azimuth resolution depending on the types and conditions of the platform trajectory disturbance variations.

이탈리아 미래 방위세부계획

  • Korea Defense Industry Association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7 s.125
    • /
    • pp.46-55
    • /
    • 1989
  • 이탈리아 국방전략연구센터는 초강대국 사이의 협상 전망과 INF협상이 국방정세에 미칠 결과에 대해 심도있는 연구를 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앞으로 10년동안 수행될 주요단계를 다룬 이탈리아 국방현대화계획을 수립하였다. 주요 관심분야는 대공 방위, 이탈리아 남부지방의 해상방위, 육군의 기동력 증강 그리고 모든 분야에 걸친 하부 조직의 개선이다. 소요기금은 국가 지출의 논리적 한계를 참작하여 수립한 계획표에 의해 조달될 것이다

  • PDF

미 해군의 해상초계기 전술지원소 체계 현대화 사업 (I)

  • Kim, Yeong-Gil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2 s.180
    • /
    • pp.42-49
    • /
    • 1994
  • 해상초계기 전술지원소의 기능은 해상초계기의 비행전, 비행중, 비행후 임무지원을 위한 전술전사와 통신 기능이다. 비행전 임무지원은 승무원 브리핑 및 임무수행중인 항공기 상황전시를, 비행중 임무지원은 임무항공기 상황전시 및 데이터링크 통신을, 비행후 임무지원은 임무재현, 음향 및 비음향 기록자료 분석을 포함한다.

  • PDF

기뢰의 발전추세와 각국 개발동향

  • Hwang, Gyeong-Seon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9 s.151
    • /
    • pp.48-55
    • /
    • 1991
  • 현대 해군 전략상 적국의 해상 수송 수단의 파괴 또는 봉쇄와 자국 해상교통로의 확보는 전쟁 지속능력의 확보 및 봉쇄여부와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어 왔다 또한 이러한 해상 통제작전을 수행하는데 가장 값싸고 효율적인 전략병기로서 기뢰의 중요성은 점차 증대되어 왔다 최근의 주요 전술적 발전추세는 부설 심도의 증가, 운용범위의 확대, 탐지파괴범위의 확대, MCCM 능력 강화전술운용 준비태세 향상에 있다

  • PDF

해상작전용 무인항공기

  • Yu, Jae-Il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2 s.240
    • /
    • pp.78-87
    • /
    • 1999
  • 해상 무인항공기 연구개발은 여러 요소들에 의해 대단히 중요시되고 있는데 그 요소들을 보면 연안 해상 작전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전 세계적으로 많은 국가들의 해군 세력이 중무장한 공격용 소형의 신형 코르벳함들로 등장하고 있으며, 함상탑재용 유인기의 비용이 지나치게 비싸다는 것과 대잠수함전(ASW)에서는 유인기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점 때문일 것이다

  • PDF

A Study on Automatic Correction Method of Electronic Compass Deviation Using the Geostationary Satellite Azimuth Information (정지위성 방위각 정보를 활용한 전자 컴퍼스 편차 자동보정기법 연구)

  • Lee, Jae-Won;Lee, Geon-Ho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1 no.4
    • /
    • pp.189-194
    • /
    • 2017
  • The Moving Search Radar System (MSRS) monitors sea areas by moving along the coast. Since the radar is initially aligned to the front of the vehicle, it is important to know the changes in the heading azimuth of the vehicle to quickly acquire the target azimuth from the radar after the MSRS has moved. The heading azimuth can be obtained using the gyro compass, the GPS compass or the electronic compass. The electronic compass is suitable for MSRS requiring fast maneuverability due to its small volume, short stabilization time and low price. However, using a geomagnetic sensor may result in an error due to the surrounding magnetic field. Errors can make early automatic tracking of the satellites difficult and can reduce the radar detection accuracy.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automatically compensate for the error reflecting the correction value on the radar obtained by comparing the reference azimuth calculated by solving the geodesic inverse problem using two coordinates between the radar and the geostationary satellite with the actually-directed azimuth angle of the satellite antenna. The feasibility and convenience of the proposed method were verified by applying it to the MSRS in the field.

혼잡해역 해상교통밀도 산출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Gwang-Il;Jeong, Jung-Sik;Park, Gye-Gak;Choe, Un-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71-73
    • /
    • 2013
  • 선박 및 VTS에서 선박교통량이 밀집되는 혼잡해역의 선박교통밀도 평가는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 충돌 회피를 위한 적절한 반경인 Ship Domain 영역과 혼잡구역 내 선박 체류시간 및 전 방위 통항류를 고려하여 혼잡해역의 항로가동률 및 실시간 해상교통밀도 산출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제안된 모델식을 기반으로 시뮬레이터를 프로그래밍하여, 실 해역 해상교통 데이터를 적용하여 제안한 모델식의 유효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