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위력개선

Search Result 55,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A Study on Improvement of Rationality and Stability of Allocation and Procurement of Defense Capability Improvement Cost -Focused on the Yearly Allocation and Procurement of Mid-Term Defense Plan- (방위력개선사업비 편성.확보의 합리성과 안정성 제고방안 -국방중기계획 연부액의 편성 및 확보방안을 중심으로-)

  • Choi, Joon-Hyouck;Lee, Pil-Jung
    • Journal of the military operations research society of Korea
    • /
    • v.34 no.1
    • /
    • pp.117-135
    • /
    • 2008
  • The ROK's military is attempting to change to advanced information science force through 'the Defense Reform 2020', which essentially creates the requirements of new military force. Therefore, the importance of defense industry and defense budget have been emphasized in order to successfully promote military build-up. However, the ROK defence industry has been going serious difficulties in the present day, and what is worse, unreliable rationality stability of Defense Capability Improvement Cost put the industry in the harder situation. In this circumstances, the improvement measures of the rationality stability of Defense Capability Improvement Cost should be immediately studied to satisfy the requirements of ROK military force in a suitable time and the development of ROK defense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reinforcement measures to improve the arrangement system of yearly allocation for Mid-term Defense Plan of defense capability improvement programs and connect Mid-term Defense Plan to National Fiscal Management Plan to raise the rationality stability of ROK Defense Capability Improvement Cost.

비용절감을 위한 방위력개선사업의 시스템적 접근

  • Wi, Gyeom-Bok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8 s.234
    • /
    • pp.56-63
    • /
    • 1998
  •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국방비용절감 요구가 거세어질 것이고 방위력 개선 분야도 예외일 수 는 없을 것이다. 차제에 보다 혁신적인 시스템 변화를 가져오는 공격적 사업관리를 해보는 것이 군과 업체에 탁월한 선택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본다. 정부와 계약업체간 적대적 관계해소를 위해 하청업체까지 포함하는 기능적으로 유연한 사업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Defense Industry Competitiveness Study for the private sector participation (방위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민수업체 참여 방안 연구)

  • Lee, Hyeong-Jin;Jeong, Seon-Y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279-291
    • /
    • 2012
  • 1970년초 '자주국방'으로 시작한 방위산업의 역량은 재래식 무기의 국산화 단계를 넘어서 일부 첨단무기를 독자 개발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하였다. 하지만 그동안 방위산업 정책은 내수시장을 중심으로 이뤄졌었고, 방위산업체를 중심으로 한 제한된 경쟁체제였다. 그 결과 국방과학기술 경쟁력은 11위인 반면에 민수분야 과학기술경쟁력은 4위로 눈부신 발전을 하였다. 또한 2009년 스톡홀롬 국제평화연구소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무기 수입국 3위인 반면, 수출은 17위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시작하였으며, 특히 민수업체의 방산분야 참여를 통해 국내시장의 규모를 넓히고, 국내경쟁력 향상하고, 더 나아가 방위산업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여 국가 방위력개선 뿐만 아니라 수출 선도 산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개방형 기술혁신체계 구축 방법을 모색하였다. 또한 민수분야의 조사를 통해 방위산업 진입장벽을 파악하였으며, 진입장벽 해소를 통해 방위산업 경쟁력 강화를 할 수 있는 방법을 고찰하였다. 국방분야의 개방형 기술혁신체계 구축은 국가과학기술을 선도하고, 군 전력증강 및 국가경제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 PDF

일본 자위대 1989년 사업계획

  • Kim, Hyeon-Bo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5 s.123
    • /
    • pp.58-70
    • /
    • 1989
  • 일본은 '86년부터 중기방위력 증강계획을 착실히 추진해가고 있다. 제4차년도인 1989년의 사업계획은 내빈화 및 질높은 방위력 정비에 주안점을 두고 8개 부문으로 나뉘어 구성되었다. 이에 따라 정면에 대해 지휘통신.정보기능등 상당한 개선책을 강구할수 있게 되었다. 전체적으로 균형이 잡혀있는 것으로 보인다

  • PDF

국방조달계약과 방산물자 원가관리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4)

  • Jang, Dae-Hun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12 s.274
    • /
    • pp.54-67
    • /
    • 2001
  • 현재와 같이 남북이 대치되어 있는 상황하에서는 국가 방위력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방산업체는 국가 방위력에 지대한 공헌을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방산업체는 정부를 상대로, 제한된 시장에서 생산업무를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완전경쟁 시장과는 다른 특수한 상황에 직면하고 있어 그 동안 정부와 방산업체 간에는 상반된 이해관계로 인해 많은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 글은 이러한 맥락에서 방산업체가 불신하고 있는 정부의 조달계약제도와 정부가 불신하고 있는 업체의 원가산정 및 관리 측면을 분석하여 제값을 주고 양질의 제품을 정부가 확보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찾고자 했다.

  • PDF

국방조달계약과 방산물자 원가관리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3)

  • Jang, Dae-Hun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11 s.273
    • /
    • pp.58-67
    • /
    • 2001
  • 현재와 같이 남북이 대치되어 있는 상황하에서는 국가 방위력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방산업체는 국가 방위력에 지대한 공헌을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방산업체는 정부를 상대로, 제한된 시장에서 생산업무를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완전경쟁 시장과는 다른 특수한 상황에 직면하고 있어 그 동안 정부와 방산업체 간에는 상반된 이해관계로 인해 많은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 글은 이러한 맥락에서 방산업체가 불신하고 있는 정부의 조달계약제도와 정부가 불신하고 있는 업체의 원가산정 및 관리 측면을 분석하여 제값을 주고 양질의 제품을 정부가 확보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찾고자 했다.

  • PDF

국방조달계약과 방산물자 원가관리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2)

  • Jang, Dae-Hun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10 s.272
    • /
    • pp.72-83
    • /
    • 2001
  • 현재와 같이 남북이 대치되어 있는 상황하에서는 국가 방위력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방산업체는 국가 방위력에 지대한 공헌을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방산업체는 정부를 상대로, 제한된 시장에서 생산업무를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완전경쟁 시장과는 다른 특수한 상황에 직면하고 있어 그 동안 정부와 방산업체 간에는 상반된 이해관계로 인해 많은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 글은 이러한 맥락에서 방산업체가 불신하고 있는 정부의 조달계약제도와 정부가 불신하고 있는 업체의 원가산정 및 관리 측면을 분석하여 제값을 주고 양질의 제품을 정부가 확보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찾고자 했다.

  • PDF

현대전과 전자기술

  • Lee, Deok-Hun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2 s.228
    • /
    • pp.38-47
    • /
    • 1998
  • 현대전 및 미래전에서 전쟁의 승패를 좌우하는 것이 첨단 무기체계라는 점을 고려하면, 국가 방위력의 개선 방향은 국방력의 양적 증가보다, 군을 과학 기술군으로 전환하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첨단 기술 확보 위주의 국방 전략 추진이 필요할 것이다.

  • PDF

방위산업의 현주소와 발전방향

  • Park, Tae-Jin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12 s.274
    • /
    • pp.28-33
    • /
    • 2001
  • 현재 우리 나라의 방위산업이 처해 있는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업체들로 하여금 방위산업 참여에 대한 동기를 부여해 주어야 한다. 또한 디지털 시대에 부합하는 정부의 제도 및 규정 등에 대한 적극적인 개선의지, 방산업체의 자발적인 경영효율화 추진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로 국내 방위산업의 분위기를 일대 쇄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