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염 시험

Search Result 37,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ire Resistant performance Test about onsite Treated Materials (현장방염처리물품의 성능검사 개선에 관한 연구)

  • Lee, Sung-Eun;Kim, Hwang-Jin;Oh, Kyu-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8.04a
    • /
    • pp.124-127
    • /
    • 2008
  • 현장방염처리 물품의 방염성능평가시 실내 인테리어 공사가 끝난 후 시험 시료를 채취하여 연소시험을 실시하게 되어있다. 그러나 이러한 절차로 인해 검사 소요시간이 길어지고 여러 민원이 발생하여 이를 대처할 시험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연소시험 대신 도막두께 측정 시험 방법을 도입하여 방염성능평가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한다. 도막두께 측정 시험의 경우 도막두께 측정용 라벨을 방염도료를 칠해야 하는 합판이나 목재 위에 붙이고 도료 작업이 끝나고 나면 관할 소방서에 이 라벨을 떼어서 제출하여 기준 도막 두께와 비교 측정하였을 때 기준 도막두께보다 두꺼우면 방염성능을 인정해주고 만약 기준 도막두께보다 얇게 칠해지면 현장 검사 또는 시료 채취 후 연소시험을 병행하여 검사함으로서 안전하고, 책임 있는 방염성능 시공을 할 수 있도록 관리 감독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방염도료의 신뢰성 평가법 개발

  • Choe, Jeong-Jin;Park, Yun-M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04a
    • /
    • pp.84-85
    • /
    • 2013
  • 방염제품의 내구신뢰성은 국민의 화재 안전성 확보를 위한 필수 불가결의 요소로 이들 제품의 내구성능 예측은 방염성능의 지속적 유지를 위한 방염시설물 유지 관리 측면에서도 상당히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방염도료의 내구신뢰성 예측 및 확보를 위한 방염도료 가속수명법에 관한 연구로써, 방염도료의 고장 원인분석을 진행하였으며, 현장시험 및 현장 모사 실내 가속촉진시험을 진행하였다. 실내 가속촉진시험은 방염도료의 현장 주고장모드인 온 습도 사이클 시험으로 진행하였으며, 시험 척도로서 화학발광을 분석하여 적용하였으며 현장 데이터와 실내 촉진데이터와의 상관성 규명을 위하여 Mitab 등의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고장유형 및 상관성을 규명하였다.

  • PDF

A Study on how to Evaluation the Performance of Flame Retardant for Wood Treated with Painting (단청처리 목재용 방염제의 성능평가방법에 대한 고찰)

  • Cha, Jeong-Min;Hyun, Seong-Ho;Kim, In-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498-50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방염제가 적용되는 방염대상물에 대한 검정기술기준과 목조문화재에 적용되는 방염제의 검정기준의 차이에 대해 비교하여 보았으며 이를 통해 단청 등이 도색되어 있는 대부분의 목조문화재에 적용되는 방염제의 성능과 방염 처리되어진 일반 목재의 방염성능평가방법에 대하여 생각해 보았다. 목조문화재용 방염제 검정기준 내의 방염성 평가는 소방방재청 고시 제 2009-31호의 "방염제의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과 비교하였을 때 목재를 비교대상으로 할 경우 방염성능 기준 및 측정방법과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하였으며 방염제의 물성 등에 대한 기본적인 평가방법 또한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험시편에 대한 규정에 있어서 목조문화재용 시험편의 경우 일정 두께이하로 규정하고 있어 시험하는 시편의 두께에 따라 방염성능 평가기준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 PDF

A Study on the Ignition Delay Effect in the Reduced-Scale Fire by Flame-Resistant Treated Plywood (유사 화재에 대한 방염처리 합판의 착화 지연효과 연구)

  • Lee, Seung-Hyun;Kim, Hwang-Jin;Lee, Sung-Eun;Oh, Kyu-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180-187
    • /
    • 2011
  • 본 논문은 다중이용업소와 목조건축물에 자주 사용되는 미송합판에 방염처리를 하여 유사 화재를 구현하고, 그 화염 세기에 따른 방염의 실효성을 실험한 것이다. 방염처리를 하면 화재 시 가연물의 초기착화시간을 지연시켜 화재성장속도를 늦출 수 있고, 원활한 소화활동을 가능하게 해준다. 하지만 어느 정도 화재가 진행되어 화염이 거세지면, 45도 연소시험을 통한 방염기준을 충족하여도 그 성능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한다. 따라서 45도 연소시험 시 사용되는 65mm의 불꽃보다 큰 화염상태(초기착화 이후의 상태)에서 방염처리한 내장재(미송합판)의 방염성능이 유지되는지의 여부를 실제로 입증하고 그 근거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실험에서는 화재의 규모(화염의 세기)를 달리하여 각기 다른 종류의 방염제로 방염 처리한 미송합판의 착화 시 화염온도, 복사열 유속 그리고 착화지연시간을 파악하였으며, 45도 연소시험과 관련하여 방염성능을 분석하였다. 45도 연소시험의 경우 실험에 사용한 방염 처리 합판은 방염성능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규모 유사 화재로 직경 10cm 연소용기를 사용한 연소실험에서는 방염 처리한 합판의 착화지연시간이 평균적으로 대규모 유사 화재실험보다 길어 어느 정도는 방염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규모 유사 화재로 1단위 유류화재 연소용기를 사용한 연소실험의 경우 열방출율이 커 형성된 탄화막이 무분별하게 박리되고 발화가 일어나 착화지연시간의 차이를 구별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방염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 PDF

Flame-retardant Performance Test of the Fabric Wallpaper for the Use of Environment-friendly Interior (친환경 인테리어용 벽포지의 방염성능시험)

  • Kwon, Seong-Pil;Kim, Hyeong-Gweon;Yoon, Heon-Joo;Ra, Yong-Woon;Sohn, Yoon-Suk;Shin,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04a
    • /
    • pp.229-23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인테리어용으로 개발된 벽포지에 대해 방염성능이 시험되었다. 실제로 방염성능은 "45$^{\circ}$ 연소시험" 및 "접염시험", 그리고 "연기밀도시험"에 의해서 수행되었다. 벽포지의 주성분이 고온에서 쉽게 용융하는 PET(폴리에스터) 이다. PET의 이런 물성으로 인하여 "45$^{\circ}$ 연소시험"과 "연기밀도시험"의 요구조건들은 쉽게 만족시킬 수 있었지만, 용융 물품에 대해 추가로 요구되는 "접염시험"은 통과하기 어려웠다. 총 47종 109점에 대해 방염성능시험을 수행한 결과 18종 54점이 요구조건을 만족하였다. 일반적으로 보드에 배접된 상태로 시공되는 모듈의 난연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벽포지의 방염성능뿐만 아니라 보드, 접착제 등의 특성에 관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PDF

Effect of Flame Resistant Treatment on The Sound Absorption Capability of Sawdust-mandarin Peel Composite Particleboard (방염처리가 톱밥-귤박 혼합파티클보드의 흡음성능에 미치는 영향)

  • Kang, Chunwon;Jin, Taiquan;Kang, Ho-Ya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3 no.4
    • /
    • pp.511-517
    • /
    • 2015
  • Sound absorption capability of the flame resistant treated sawdust-mandarin peel composite particleboard was were estimated by two microphone transfer function methods. The weight of flame resistant treated board slightly increased by the treatment. The treatment improved fire retardant performance by decreasing the charred area of flame resistant treated board. Sound absorption capabilities of flame resistant treated sawdust-mandarin peel composite particleboard, in the entire estimated frequency range of 500-6,400 Hz was sligh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specimen. Sound absorption capability of both the control and flame resistant treated sawdust-mandarin peel composite particleboards were higher than that of commercial gypsum boards, being widely used as a sound absorber for ceiling at the estimated frequency.

Flame Resistance and Durability of Compressed Structural Wood through Microwave Heat Drying Method (마이크로파 가열건조법에 의한 압축 구조용 목재의 방염 및 내구성)

  • Lim, Nam-Gi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1 no.2
    • /
    • pp.162-170
    • /
    • 2011
  • As the result of implementing a treated material test and durability test after quickly drying S.P.F. species, a type of softwood structural material, within a short period time, soaking it in liquid phosphate flame proof agent for an hour, microwave heating it, and compressing it from 3.8cm to 1cm, when setting the appropriate heating time of microwave heating at 7 minutes at 5kW, it is observed that it satisfies the target water content (4~5%). It is shown that in a water content measurement of the wood that is compressed after being softened by soaking in the flame proof agent, drying and heating at 3kW for 9 minutes, all specimens satisfied 12~14%, the appropriate water content for exterior wood. Also, it is shown that in terms of the flame performance obtained through a flame resistance treatment of the compressed wood and a treated material test, the specimen soaked in flame proof agent for 30 minutes was the most excellent, and that the performance test result of the compressed wood in all areas, such as nail withdrawal resistance, compression, bending strength, and shearing strength, were all improved in their mechanical features to twice to three times better performances.

A Study on the On-site Flame Resistant Inspection Method by X-ray Fluorescence Spectrometer (X-선 형광분석기를 이용한 현장방염검사방법에 관한 연구)

  • Kim, Hwang-Jin;Lee, Sung-Eu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0 no.5
    • /
    • pp.124-129
    • /
    • 2016
  • According to the current law, on-site flame resistant-treated interior decorations should pass the flame resistant performance test through a 45 degree combustion test from the district fire department. Although a 45 degree combustion test is the most accurate method for determining the flame resistant performance, it can be unreliable when tested on unauthorized samples. To avoid unauthorized sampling, this study suggests on-site flame resistant inspection by X-ray fluorescence spectrometer. Ten types of flame resistant paint were spread on plywoods and MDFs and the components were analyzed by X-ray fluorescence spectrometer. As a result, due to a difference amounts of substances in each paint, each flame resistant paints showed its own characteristic spectrum and the contents of each substance could be determined. On-site flame resistant inspections can be used efficiently when institutional procedures are created.

A study on the problem of performance of fire retardant flame retardant treatment of plywood (목재합판의 방염처리방법에 따른 방염성능평가의 문제점에 관한 고찰)

  • Cha, Jeong-Min;Kim, In-Beom;Hyun, S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388-392
    • /
    • 2011
  • 화재 발생 시 연소확대 방지 및 이를 지연시켜 재실자의 피난시간을 확보하고자 실시하는 방염처리의 성능평가는 연소시험방법을 통해 잔염시간, 잔신시간, 탄화면적, 탄화길이가 일정기준에 적합하여야만 방염성능을 부여받게 되며 목재나 MDF와 같은 합판은 방염도료나 방염필름을 부착하여 사용하는 현장방염처리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비방염 접착필름, 방염 필름, 방염 도료 등을 MDF 합판에 적용하여 방염처리 하였을 때의 연소특성 및 방염성능을 측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