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염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4초

물유리의 농도와 첨가제 종류에 따른 방염제의 성능 (Flame Retardancy of Plywood Treated with Various Water Glass Concentration and Additives)

  • PARK, Sohyun;HAN, Yeonjung;SON, Dong Wo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44-56
    • /
    • 2021
  • 소방청의 방염성능기준에 제시된 45°멕켈 버어너법을 이용하여 물유리 농도와 첨가제 종류에 따른 합판의 탄화길이 및 면적 등의 방염성능을 측정하였다. 합판에 농도 20-50%의 물유리를 처리한 결과, 방염성능은 물유리의 농도와 비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30%를 넘는 고농도의 물유리로 처리된 합판의 표면에서 백화현상과 끈적임이 발생하여 농도 30%를 최적 조건으로 결정하였다. 농도 30%의 물유리에 서로 다른 비율의 첨가제를 추가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수산화칼륨 15% 조건과 수산화알루미늄 1-10%의 조건에서 방염성능 기준을 만족하였다. 반면에 황산마그네슘은 방염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물유리와 첨가제에 따른 방염성능의 결과는 방염제를 활용한 불연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면섬유의 방염.발수.항균 가공방법 (Flame Resistant.Water repellent.Antibacterial Finishing Method for Cotton Textiles)

  • 박성민;김지연;권일준;이재홍;윤남식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08년도 제39차 학술발표회
    • /
    • pp.125-126
    • /
    • 2008
  • 기존의 후가공에 의한 방염, 발수, 항균 가공물은 원단의 표면에 부착된 방염제로 인하여 다른 기능성 가공의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므로 항균성이나 발수성을 함께 나타내기 어려웠으나, 본 연구에서는 THPC-UREA와 암모니아 기상중합 기술을 이용하여 섬유의 내부 피브릴층에 고내구성 방염성을 부여한 후, 불소계 발수제와 침상구조의 4급 암모늄실란계 항균제를 섬유 표면에 고착시킴으로써 방염성과 발수성, 항균성을 동시에 가지면서 세탁내구성도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 PDF

저연기성 이액형 방염우레탄락카 백색도료 연구 (Study for Binary Liquid Type Fire Retardant White Paint of Polyurethane Lacquer)

  • 권경옥
    • 공업화학
    • /
    • 제18권5호
    • /
    • pp.527-530
    • /
    • 2007
  • 방염도료로 일액형 염화고무(Chlorinated Rubber) 백색도료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탄화시 검은 연기가 많이 발생되고 목재에 대한 표면강도와 접착력 등의 미흡한 단점이 있어 이러한 점 등을 고려한 Polyurethane Resin계(Alkyd Resin) 이액형 방염우레탄라카 백색도료를 개발하였다. 본 실험에서 개발한 목재용 Polyurethane Resin계 방염도료 조성의 물성은 기존의 방염백색도료보다 목재와의 친화력이 향상되고 다량의 연기발생은 억제하는 결과를 얻었다.

양모용 방염제의 합성과 그 방오효과 (Stain Blocking Effects of Dye Resist Agents for Wool)

  • Byong-Dae Jeon;Mike T. Pailthorpe;Hwan Cho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104-109
    • /
    • 1992
  • 양모의 반응성 방염처리제(DRB, DRM, DRS, DRN)를 합성하고 이들과 sulphamic acid(SA)를 방염(dye resist) mechanism을 이용하여 방오처리에 응용, 그 효과를 검토하였다. 방오효과는 SA>DRB>DRM>DRS>DRN의 순으로 우수하였다. DCCA처리 양모의 경우는 SA처리 양모만이 방오효과를 나타내었다. 4종류의 합성된 반응성 방염처리제는 DCCA 처리 앙모에 dye assist 효과를 나타내었다. 80% 이상의 방오효과만이 시각적으로 오염을 구분할 수 없었으므로 SA 처리방법은 방오가공에 응용 가능하나, DRB 처리법은 약간의 개선이 필요했다. 이러한 방염처리방법을 방오가공에 응용할 때에 양모 carpet 등의 습윤오염(커피나 쥬스 등 색소성 오염)의 감소효과가 기대 되어 진다.

  • PDF

친환경 인테리어용 벽포지의 방염성능시험 (Flame-retardant Performance Test of the Fabric Wallpaper for the Use of Environment-friendly Interior)

  • 권성필;김형권;윤헌주;리용운;손윤석;신동일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29-23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인테리어용으로 개발된 벽포지에 대해 방염성능이 시험되었다. 실제로 방염성능은 "45$^{\circ}$ 연소시험" 및 "접염시험", 그리고 "연기밀도시험"에 의해서 수행되었다. 벽포지의 주성분이 고온에서 쉽게 용융하는 PET(폴리에스터) 이다. PET의 이런 물성으로 인하여 "45$^{\circ}$ 연소시험"과 "연기밀도시험"의 요구조건들은 쉽게 만족시킬 수 있었지만, 용융 물품에 대해 추가로 요구되는 "접염시험"은 통과하기 어려웠다. 총 47종 109점에 대해 방염성능시험을 수행한 결과 18종 54점이 요구조건을 만족하였다. 일반적으로 보드에 배접된 상태로 시공되는 모듈의 난연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벽포지의 방염성능뿐만 아니라 보드, 접착제 등의 특성에 관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PDF

마이크로파 가열건조법에 의한 압축 구조용 목재의 방염 및 내구성 (Flame Resistance and Durability of Compressed Structural Wood through Microwave Heat Drying Method)

  • 임남기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62-170
    • /
    • 2011
  • 침엽수 구조재인 S.P.F 수종을 마이크로파로 단시간에 급속 건조시켜 액상의 인산염계 방염약제에 시간별로 침지시킨 후 2차 마이크로파 가열을 한 다음 3.8cm의 두께에서 1cm를 압축시켜 방염 후 처리물품 시험과 내구성 시험을 실시한 결과 1차 마이크로파 적정 가열시간은 5kW에서 7분 동안 가열할 경우 목표 함수율(4~5%)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산염계 방염약제에 침지, 건조 후 3kW로 9분 동안 가열시켜 연화된 상태에서 압축된 목재의 함수율 측정결과 시험편 모두 외부용 목재의 적정 함수율인 12~14%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압축된 목재의 방염후 처리물품 시험을 통한 방염성능은 방염약제에 30분간 침지된 시험편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압축된 목재의 성능 시험 결과 경도, 못뽑기 저항, 압축, 휨강도, 전단 강도 모두 약 2~3배 이상 역학적 특성이 향상되었다.

용접 불티 차단막 개발을 위한 섬유류의 적정 방염처리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Treatment of Suitable Flame Retardant to the Fibers for Welding Blanket Development)

  • 이근원;김관응;이두형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48-55
    • /
    • 2002
  • 본 연구는 용접불티 차단막 개발을 위해 섬유류의 방염처리 후 화재성능 평가를 통해 적정한 방염 처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실험재료는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섬유류이며, 방염처리는 난연제와 방화도료를 사용하였다. 화재성능 실험은 한국과 일본 기준에 따라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방염처리된 섬유류는 방염 및 난연성능이 충분하였으며, 그들의 난연등급은 A급에서 C급으로 나타났다. 최소산소지수는 방염제로 처리된 모든 시료가 국제기준을 만족하였다. 용접불티 차단막을 수평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작업대 높이에 관계없이 난연 A급에서 C급의 성능을 가진 제품을, 수직으로 설치할 경우 난연 C급 성능을 갖는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용접불티에 의한 화재확산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내장재의 연소 및 독성가스 발생 특성 -방염 카페트, 방염 후처리 합판, 쇼파 내자를 중심으로- (Combustive Characteristic and Toxic Gases Generation of Interior Materials -The focus for resist-carpet, resist-after-tretment plywood, sofa leather-)

  • 김일수;류경옥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43-59
    • /
    • 1998
  • 화재위험성이 큰 유흥업소에서 주로 사용하는 내장재중 방염 카퍼l트, 방영 후처리 합환, 쇼파 례자동 3가지 시료에 대한 연소특성과 CO, CO2, 02, NO., S02, HCN, HCl둥 독성가스를 검출하여 화재 위험 성을 비교명가 하였다. 연소특성에 있어 방염 카페트가 방염 후처리 합판, 쇼파 레자 보다 연소가 잘 되 었고, 폭연 연소가 일어났다. 모든 시료에서 CO의 발생은 연소시작 후 1분 이내에 치사농도를 상회(上 ) 하였으나 NOx와 S02는 치사농도를 상회(上 ) 하지 않았지만. HCN는 카페트에서 쇼파 레자 보 다 20.6배, 방염 후처리 합판 보다 4.6배가 검출 되었고. HCl은 차페트에서 쇼파 례자 보다 4.48배, 방 염 후처리 합판 보다 2.47배가 검출 되었다. 이상과 같이 3종의 내장재중 방염 차페트가 화재위험성이 가장 높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국내 현장방염 시공의 실태분석 연구 (A Study on the On-site Flame Resistant Treatment in Domestic)

  • 김황진;이성은;오규형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33-38
    • /
    • 2011
  • 본 연구는 초기 착화지연으로 화재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방염처리제도에 대한 실태 분석연구로서 현장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들을 각 시도 소방공무원과 방염업자들과의 회의 및 시공현장 방문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 째, 수요가 작은 시장에서 너무 많은 업체들이 경쟁을 하고 있고 이로 인해 방염에 대한 전문성이 없는 일부 업자들은 원가절감을 위해 부실시공을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둘 째, 현재 실시되고 있는 현장방염처리 검사제도는 검사자가 현장에서 직접 성능검사를 실시하지 못하고 시공자가 제출한 샘플로 방염성능검사를 실시하기 때문에 시료채취의 문제점과 제출된 시료의 신뢰성 및 현장의 방염성능 확보에 의문을 갖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방염처리 방법에 따른 목재의 연소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Wood According to Flame Resistant Treatment)

  • 박성현;백은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1호
    • /
    • pp.12-1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실내장식 및 가구류 등에 이용되고 있는 편백루바와 파티클보드를 이용하여 방염처리 방법에 따른 방염성능 및 연소특성을 비교하는 실험을 하였다. 편백루바의 방염성능검사 결과 진공가압처리를 이용하여 난연수지를 주입한 편백루바가 표면에 염화고무수지 성분의 방염도료처리를 한 편백루바 보다 탄화면적은 9.55%, 탄화길이에서는 22.91%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파티클보드는 파티클보드에 방염필름을 부착한 시편이 비방염필름을 부착한 시편보다 탄화면적 40.10%, 탄화길이에서는 43.40% 우수한 것으로 파악 되었다. Cone calorimeter를 이용한 연소특성 결과 편백루바 표면에 방염도료 처리를 한 시편이 진공가압처리를 이용한 난연수지 주입방식의 편백루바 보다 착화가 빨리 발생하였고, 총방출열량에서는 진공가압처리를 이용한 난연수지 주입방식의 편백루바가 $68.2MJ/m^2$, 편백루바 표면에 방염도료 처리를 한 시편이 $111.52MJ/m^2$을 나타내었으며, 파티클보드의 경우 착화시간에서는 미소한 차이를 보인 반면 총 방출열량에서는 파티클보드에 방염필름을 부착한 시편이 $90.1MJ/m^2$, 비방염필름을 부착한 시편은 $107.6MJ/m^2$의 총열방출량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