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언(方言)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 방언 검색 프로그램 개발 (Implementation of Korean dialect Retrieval Program)

  • 이동광;안동언;정성종;두길수;김호영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3)
    • /
    • pp.95-98
    • /
    • 2002
  • 한국 방언 검색 프로그램은 21세기 세종계획 프로젝트의 한민족 언어 정보화 분과에서 개발한 것으로 남한의 방언과 북한의 방언 및 해외 동포가 살고 있는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방언을 컴퓨터로 검색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국 방언 검색 프로그램은 검색된 방언들의 정보를 HTML 문서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방언의 각 지역별 사용 분포를 지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 방언 검색 프로그램의 기능과 방언 지도의 도시를 위한 지도 도시 알고리즘에 대해서 논한다.

  • PDF

딥러닝 기반 한국어 방언 기계번역 연구 (Deep Learning based Korean Dialect Machine Translation Research)

  • 임상범;박찬준;조재춘;양영욱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1년도 제33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490-495
    • /
    • 2021
  • 표준어와 방언사이에는 위계가 존재하지 않고 열등하지 않다는 사상을 기반으로 방언을 보존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있다. 또한 동일한 국가내에서 표준어와 방언간의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져야한다. 본 논문은 방언 연구보존과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한국어 방언 기계번역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표적인 방언 중 하나인 제주어와 더불어 강원어, 경상어, 전라어, 충청어 기반의 기계번역 연구를 진행하였다. 공개된 AI Hub 데이터를 바탕으로 Transformer기반 copy mechanism을 적용하여 방언 기계번역의 성능을 높이는 모델링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모델배포의 효율성을 위하여 Many-to-one기반 universal한 방언 기계번역기를 개발하였고 이를 one-to-one 모델과의 성능비교를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copy mechanism이 방언 기계번역 모델에 매우 효과적인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북한 방언 검색 프로그램 개발 (A Development of Retrieval Program for North Korea Dialect)

  • 두길수;황호천;김법균;안동언;정성종;이신원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 (B)
    • /
    • pp.501-503
    • /
    • 2003
  • 이 연구는 남한의 방언과 북한의 방언 및 세계의 여러 나라에서 쓰이고 있는 한국어 방언을 컴퓨터로 검색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여, 21세기 지식 기반 사회에서 우리 민족 구성원들이 상호 의사소통을 신속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또 통일 이후에는 남북한 주민들이 의사소통을 원만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서 민족 구성원간의 유대를 다지고 나아가 민족의 정체성을 확립하며 민족문화의 창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 방언 검색 프로그램 개발 과제의 일부로서 2001년에 남한 방언 검색 시스템을 개발하고, 2002년에 북한 방언 검색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북한 방언 검색 시스템의 개발 개요와 방언 검색 방식에 대해서 다룬다.

  • PDF

드라마의 주된 언어 사용이 지역출신 청년의 감정, 인식, 행동에 미치는 영향 : tvN 드라마 <톱스타 유백이> 수용자 심층인터뷰 (Study on the Influence of Watching Dialectic Dominant Television Drama to the Emotion, Recognition & Action of Regional Youth : In-Depth Interview with the Viewer of tvN Drama )

  • 홍경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366-375
    • /
    • 2019
  • 기존의 드라마와는 반대로 tvN 드라마 <톱스타 유백이>에서는 출연자의 대다수가 전남 방언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고향을 떠나 공부하고 있는 전남 출신 청년들에게 이 드라마의 시청이 방언에 대한 감정, 인식, 행동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예상할 수 있었고, 실제 심층인터뷰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은 하나같이 친근함에 대해 호소했으며, 일부는 방언이 낯설게 느껴졌다고 답했다. 또한 방언에 대해 새롭게 인식하고 객관적인 매력을 발견했으며, 사라져가는 방언을 보존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드라마 시청 이후 방언을 더 적극적으로 사용하겠다는 다짐을 했으며, 미디어와 사람을 통해서 방언과 더 적극적으로 만나고 싶다는 변화를 체험했다고 답했다. 이와 같은 결론을 종합할 때, 방언은 새롭게 개발될 재미의 요소라고 할 수 있으며, 방언을 주된 언어로 사용한 드라마의 방언이 해당 지역출신 청년들에게 방언의 가치를 재인식시키고, 방언을 더 적극적으로 사용하게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방송에서의 방언을 매우 신중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결론내릴 수 있겠다.

다중플랫폼에서 운용되는 제주방언 관광콘텐츠 제작 (Development of Tourism Contents of Jeju Dialect Running in Multiplatforms)

  • 강봉조;김태완;한수경;박찬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52-159
    • /
    • 2007
  • 제주는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타 지역에 비해서 독특한 방언이 발달하였다. 또한, 15세기 이전의 고어들이 일부분 남아있어서 국어학 연구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제주의 문화인 방언을 관광에 이용하는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즉, 관광객들이 방언에 대해 정보를 얻으려 해도 이를 제공하는 콘텐츠가 개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주를 찾는 관광객들에게 제주방언을 홍보하고 제주 방언의 사용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관광 시 자주 사용되는 제주방언을 상황별로 나눠서 모바일 기기 및 웹 페이지를 통해 제공한다. 즉, 디지털화된 제주방언을 PDA, 휴대폰, 웹페이지로 관광객에게 제공하여 방언의 학습 및 실제 여행 시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콘텐츠를 제작한다.

제주방언 억양패턴의 실험음성학적 연구 (An acoustic study on the intonation pattern of Cheju dialects in Korean)

  • 이숙향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9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8권 2호
    • /
    • pp.369-372
    • /
    • 1999
  • 본 연구는 제주방언의 억양 패턴에 대하여 실험음성학적 분석을 하였다. 이전의 제주방언에 대한 음성 음운론적 연구는 거의 분절음 연구에 국한되었다. 억양 패턴 분석은 K-ToBI 레이블링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성조기호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제주 방언의 운율구는 서울말, 전남방언과 같이 억양구와, 그 하위 층에 악센트구 두 개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는 크게 억양구의 경계성조 유형 연구와 악센트구의 성조 연구를 수행하였다. 억양구 경계성조로는 서울말과 같이 $L\%,\;H\%$를 기본으로 하여 $HL\%,\;LHL\%,\;HLHL\%,\;LHLHL\%,\;LH\%,\;HLH\%,\;LHLH\%,\;HLTLH\%$ 등의 유형과 그 외 제주방언만의 유형 또한 관찰되었다. 악센트구의 성조패턴 연구는 음절수와 억양구내 악센트구의 위치를 변수로 하여 살펴보았다. 제주방언의 악센트구 기본 성조는 'LH'로서 마지막 음절에서 ?'가 실현되는 패턴이다. 음절수가 많아지면 마지막 둘째음절에 아주 완만한 피치상승을 보이긴 하나 'H'로 기술하기에는 부적절하였다 유성음화의 범위는 서울방언에서와 같이 악센트구로 나타났다. 강자음이 악센트구 초에 올 때 ?'성조로 시작이 되었으며 피험자에 따라 'H'성조가 첫째음절에서만 실현되고 바로 하강하던가 또는 둘째음절까지 지속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 PDF

관광객을 위한 제주방언 모바일 콘텐츠 제작 (Development of the Mobile Content about Jeju Dialect for Tourists)

  • 강봉조;김태완;김재형;박찬정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1-354
    • /
    • 2006
  • 제주는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타 지역에 비해서 독특한 방언이 발달하였다. 더구나 15세기 이전의 고어들이 일부분 남아있어서 국어학 연구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제주의 문화인 방언을 관광에 이용하는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즉 관광객들이 방언에 대해 정보를 얻으려 해도 이를 제공해줄 콘텐츠가 개발되어 있지 않아, 제주를 찾는 관광객들에게 제주 방언을 홍보하고 제주방언의 사용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광 시 자주 사용되는 제주방언을 상황별로 나눠서 텍스트와 음성 정보로 관광객에게 제공하여 방언의 학습 및 실제 여행 시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콘텐츠를 제작한다.

  • PDF

언어적 특성과 서비스를 고려한 딥러닝 기반 한국어 방언 기계번역 연구 (Deep Learning-based Korean Dialect Machine Translation Research Considering Linguistics Features and Service)

  • 임상범;박찬준;양영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1-29
    • /
    • 2022
  • 본 논문은 방언 연구, 보존,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소외될 수 있는 방언 사용자들을 위한 한국어 방언 기계번역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용한 방언 데이터는 최상위 행정구역을 기반으로 배포된 AIHUB 방언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방언 데이터를 바탕으로 Transformer 기반의 copy mechanism을 적용하여 방언 기계번역기의 성능 향상을 도모하는 모델링 연구와 모델 배포의 효율성을 도모하는 Many-to-one 기반의 방언 기계 번역기를 제안한다. 본 논문은 one-to-one 모델과 many-to-one 모델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다양한 언어학적 시각으로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BLEU점수를 기준으로 본 논문이 제안하는 방법론을 적용한 one-to-one 기계번역기의 성능 향상과 many-to-one 기계번역기의 유의미한 성능을 도출하였다.

챗봇을 이용한 방언 번역기 (Regimal Translator Using Chatbot)

  • 오세민;문미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379-380
    • /
    • 2020
  • 지역여행이나 타 지역 방문 등 해당 지방 방언을 사용하는 사람과 대화를 할 시, 단어의 뜻을 이해하지 못해 대화를 진행하기 어려운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챗봇에게 음성이나 단어, 문장을 입력하면 표준어로 번역 및 뜻을 알려주는 방언 번역기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카카오톡과 연동되어 누구나 이용 가능하며, 사용자가 발화한 단어를 입력하면 챗봇이 해당 내용을 표준어로 번역하여 해당 방언의 뜻, 내용, 사용지역을 알려주며, 예문이 존재 시, 해당 방언이 들어간 예문을 보여준다. 또한 문장을 작성할 시 해당 문장을 표준어로 번역된 문장으로 바꾸어주고 시각화하여 사용자는 이를 보고 상대방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PDF

표준어와 방언간의 감정변화에 대한 음성적 연구 (An acoustic study of feeling between standard language and dialect)

  • 이연수;박용범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3-66
    • /
    • 2009
  • 사람의 감정 변화에는 크게 기쁨, 슬픔, 흥분, 보통 4가지 상태로 말할 수 있다. 이 4가지 상태에서 기쁨과 슬픔, 흥분과 기쁨 상태가 음성학적으로 비슷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흥분과 기쁨의 상태에서 방언의 노말 상태가 표준어의 기쁨, 흥분상태와 비슷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표준어와 방언 간의 특징 때문에 흥분 상태를 인지하는 경우 방언의 보통상태가 흥분상태로 잘못 인식되는 경우가 발생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는 음성학적인 차이를 구분 하고자 한다. 이들을 비교하기 위해 Pitch, Formant와 Formant RMS error 3가지 요소를 통하여 표준어와 방언간의 흥분 상태를 연구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