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언(方言)

Search Result 105,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Implementation of Korean dialect Retrieval Program (한국 방언 검색 프로그램 개발)

  • 이동광;안동언;정성종;두길수;김호영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2.06c
    • /
    • pp.95-98
    • /
    • 2002
  • 한국 방언 검색 프로그램은 21세기 세종계획 프로젝트의 한민족 언어 정보화 분과에서 개발한 것으로 남한의 방언과 북한의 방언 및 해외 동포가 살고 있는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방언을 컴퓨터로 검색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국 방언 검색 프로그램은 검색된 방언들의 정보를 HTML 문서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방언의 각 지역별 사용 분포를 지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 방언 검색 프로그램의 기능과 방언 지도의 도시를 위한 지도 도시 알고리즘에 대해서 논한다.

  • PDF

Deep Learning based Korean Dialect Machine Translation Research (딥러닝 기반 한국어 방언 기계번역 연구)

  • Lim, Sangbeom;Park, Chanjun;Jo, Jaechoon;Yang, Yeongwo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490-495
    • /
    • 2021
  • 표준어와 방언사이에는 위계가 존재하지 않고 열등하지 않다는 사상을 기반으로 방언을 보존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있다. 또한 동일한 국가내에서 표준어와 방언간의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져야한다. 본 논문은 방언 연구보존과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한국어 방언 기계번역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표적인 방언 중 하나인 제주어와 더불어 강원어, 경상어, 전라어, 충청어 기반의 기계번역 연구를 진행하였다. 공개된 AI Hub 데이터를 바탕으로 Transformer기반 copy mechanism을 적용하여 방언 기계번역의 성능을 높이는 모델링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모델배포의 효율성을 위하여 Many-to-one기반 universal한 방언 기계번역기를 개발하였고 이를 one-to-one 모델과의 성능비교를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copy mechanism이 방언 기계번역 모델에 매우 효과적인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A Development of Retrieval Program for North Korea Dialect (북한 방언 검색 프로그램 개발)

  • 두길수;황호천;김법균;안동언;정성종;이신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501-503
    • /
    • 2003
  • 이 연구는 남한의 방언과 북한의 방언 및 세계의 여러 나라에서 쓰이고 있는 한국어 방언을 컴퓨터로 검색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여, 21세기 지식 기반 사회에서 우리 민족 구성원들이 상호 의사소통을 신속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또 통일 이후에는 남북한 주민들이 의사소통을 원만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서 민족 구성원간의 유대를 다지고 나아가 민족의 정체성을 확립하며 민족문화의 창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 방언 검색 프로그램 개발 과제의 일부로서 2001년에 남한 방언 검색 시스템을 개발하고, 2002년에 북한 방언 검색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북한 방언 검색 시스템의 개발 개요와 방언 검색 방식에 대해서 다룬다.

  • PDF

Study on the Influence of Watching Dialectic Dominant Television Drama to the Emotion, Recognition & Action of Regional Youth : In-Depth Interview with the Viewer of tvN Drama (드라마의 주된 언어 사용이 지역출신 청년의 감정, 인식, 행동에 미치는 영향 : tvN 드라마 <톱스타 유백이> 수용자 심층인터뷰)

  • Hong, Kyung 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9
    • /
    • pp.366-375
    • /
    • 2019
  • Unlike the conventional dramas, most of characters of tvN drama speak dialectic from Chonnam province. I could predict that watching this drama would influence the feelings, cognitions and behaviors of youth from that province. By interviewing 7 participants, I found that they felt strong familiarity with little exceptions. They recognized the being of dialectic and discovered the attractiveness of dialectic, and the necessity of preservation also. After watching the drama participants made a resolution to speak dialectic more, and made active actions to meet contents and people about dialectic. In conclusion, dialectic could be developed as an important element for interesting contents. The drama has a power to influence youths to change the feelings, recognitions, and actions. So I assert that the use of dialectic in the drama should be considered discretely and positively.

Development of Tourism Contents of Jeju Dialect Running in Multiplatforms (다중플랫폼에서 운용되는 제주방언 관광콘텐츠 제작)

  • Kang, Bong-Jo;Kim, Tae-Wan;Han, Soo-Kyung;Park, Chan-J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7 no.3
    • /
    • pp.152-159
    • /
    • 2007
  • Because of geographical reason, Jeju dialect has more unique features than other cities' dialects. In addition, Jeju dialect is one of the important research topics in Korean Linguistics due to archaic words before 15th century. However, the research works about Jeju dialect related to tourism are rare unfortunately Also, the tourism contents of Jeju dialect are rare. Thus, in order to activate and inform the tourists about Jeju dialect, the development of tourism contents about Jeju dialect is necessary. In this paper, we develop the tourism contents about Jeju dialect which are divided into several situations to help the tourists' understanding. The developed digital contents run in multiplatforrns such as PDAs, cellular phones, and the Internet web site.

An acoustic study on the intonation pattern of Cheju dialects in Korean (제주방언 억양패턴의 실험음성학적 연구)

  • Lee Sook-hyang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369-372
    • /
    • 1999
  • 본 연구는 제주방언의 억양 패턴에 대하여 실험음성학적 분석을 하였다. 이전의 제주방언에 대한 음성 음운론적 연구는 거의 분절음 연구에 국한되었다. 억양 패턴 분석은 K-ToBI 레이블링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성조기호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제주 방언의 운율구는 서울말, 전남방언과 같이 억양구와, 그 하위 층에 악센트구 두 개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는 크게 억양구의 경계성조 유형 연구와 악센트구의 성조 연구를 수행하였다. 억양구 경계성조로는 서울말과 같이 $L\%,\;H\%$를 기본으로 하여 $HL\%,\;LHL\%,\;HLHL\%,\;LHLHL\%,\;LH\%,\;HLH\%,\;LHLH\%,\;HLTLH\%$ 등의 유형과 그 외 제주방언만의 유형 또한 관찰되었다. 악센트구의 성조패턴 연구는 음절수와 억양구내 악센트구의 위치를 변수로 하여 살펴보았다. 제주방언의 악센트구 기본 성조는 'LH'로서 마지막 음절에서 ?'가 실현되는 패턴이다. 음절수가 많아지면 마지막 둘째음절에 아주 완만한 피치상승을 보이긴 하나 'H'로 기술하기에는 부적절하였다 유성음화의 범위는 서울방언에서와 같이 악센트구로 나타났다. 강자음이 악센트구 초에 올 때 ?'성조로 시작이 되었으며 피험자에 따라 'H'성조가 첫째음절에서만 실현되고 바로 하강하던가 또는 둘째음절까지 지속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the Mobile Content about Jeju Dialect for Tourists (관광객을 위한 제주방언 모바일 콘텐츠 제작)

  • Kang, Bong-Jo;Kim, Tae-Wan;Kim, Jae-Hyung;Park, Chan-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11a
    • /
    • pp.351-354
    • /
    • 2006
  • Because of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Jeju Island, the degree of usage of dialect in Jeju is higher than those of other cities. In addition, Jeju dialect is one of the important research topics in Korean Linguistics due to archaic words before 15th century. However, the research works about Jeju dialect related to tourism are rare unfortunately. In other words, since the content about Jeju dialect for tourists are rare, in order to activate and inform the tourists about Jeju dialect, the development of mobile content about Jeju dialect is necessary. In this paper, we develop the mobile content about Jeju dialect which are divided into several situations to help the tourists' understanding.

  • PDF

Deep Learning-based Korean Dialect Machine Translation Research Considering Linguistics Features and Service (언어적 특성과 서비스를 고려한 딥러닝 기반 한국어 방언 기계번역 연구)

  • Lim, Sangbeom;Park, Chanjun;Yang, Yeongwoo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3 no.2
    • /
    • pp.21-29
    • /
    • 2022
  • Based on the importance of dialect research, preservation, and communication, this paper conducted a study on machine translation of Korean dialects for dialect users who may be marginalized. For the dialect data used, AIHUB dialect data distributed based on the highest administrative district was used. We propose a many-to-one dialect machine translation that promotes the efficiency of model distribution and modeling research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dialect machine translation by applying Copy mechanism. This paper evaluates the performance of the one-to-one model and the many-to-one model as a BLEU score, and analyzes the performance of the many-to-one model in the Korean dialect from a linguistic perspective.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one-to-one machine translation by applying the methodology proposed in this paper and the significant high performance of the many-to-one machine translation were derived.

Regimal Translator Using Chatbot (챗봇을 이용한 방언 번역기)

  • Oh, Se-Min;Moon, Mik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379-380
    • /
    • 2020
  • 지역여행이나 타 지역 방문 등 해당 지방 방언을 사용하는 사람과 대화를 할 시, 단어의 뜻을 이해하지 못해 대화를 진행하기 어려운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챗봇에게 음성이나 단어, 문장을 입력하면 표준어로 번역 및 뜻을 알려주는 방언 번역기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카카오톡과 연동되어 누구나 이용 가능하며, 사용자가 발화한 단어를 입력하면 챗봇이 해당 내용을 표준어로 번역하여 해당 방언의 뜻, 내용, 사용지역을 알려주며, 예문이 존재 시, 해당 방언이 들어간 예문을 보여준다. 또한 문장을 작성할 시 해당 문장을 표준어로 번역된 문장으로 바꾸어주고 시각화하여 사용자는 이를 보고 상대방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PDF

An acoustic study of feeling between standard language and dialect (표준어와 방언간의 감정변화에 대한 음성적 연구)

  • Lee, Yeon-Soo;Park, Young-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63-66
    • /
    • 2009
  • 사람의 감정 변화에는 크게 기쁨, 슬픔, 흥분, 보통 4가지 상태로 말할 수 있다. 이 4가지 상태에서 기쁨과 슬픔, 흥분과 기쁨 상태가 음성학적으로 비슷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흥분과 기쁨의 상태에서 방언의 노말 상태가 표준어의 기쁨, 흥분상태와 비슷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표준어와 방언 간의 특징 때문에 흥분 상태를 인지하는 경우 방언의 보통상태가 흥분상태로 잘못 인식되는 경우가 발생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는 음성학적인 차이를 구분 하고자 한다. 이들을 비교하기 위해 Pitch, Formant와 Formant RMS error 3가지 요소를 통하여 표준어와 방언간의 흥분 상태를 연구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