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송.통신융합

Search Result 79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SHVC 기반 UHD 방송·통신 융합방송 서비스 기술

  • O, Jong-Gyu;Kim, Jun-Tae;Baek, Jong-Ho;Gwon, Gi-W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3 no.7
    • /
    • pp.32-38
    • /
    • 2016
  • 본고에서는 방송과 통신 기반의 융합형 방송 서비스를 사용자가 고정 & 이동 환경에서 방송망 및 통신망을 통해 최적화된 고품질의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SHVC기반 UHD 방송 통신 융합방송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융합방송을 전송하기에 적합한 전송 프로토콜인 MMT, 원 영상 데이터를 계층적으로 압축하는 기술인 SHVC, 계층적으로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방송망 단일 채널을 통해 전송 가능한 전송 기술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리고 이러한 요소 기술들을 이용한 SHVC기반 UHD 방송 통신 융합방송 서비스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방송 통신 융합방송 시스템의 기술 개발 방향을 제시하면서 마무리를 짓는다.

본격적인 통신방송 융합 시대 개막

  • Korean Associaton of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 정보화사회
    • /
    • s.174
    • /
    • pp.16-17
    • /
    • 2005
  • 휴대전화로 방송을 보고 TV로 인터넷을 하는 등 통신과 방송의 융합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동 중에도 방송을 볼 수 있는 위성DMB가 이미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고, 인터넷 방송으로 불리는 IPTV도 올해 안에 모습을 드러낼 예정이다. 위성방송 스카이라이프는 얼마 전 'TV 주문 서비스'를 시작했다. 가입자가 리모콘으로 피자의 종류와 가격 등을 검색해 주문하면 거주지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 배달해 준다. 통신과 방송의 융합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고 있는 것이다.

  • PDF

Regulatory Issues on Broadcasting and Telecoms. Convergence (통신.방송융합 현상과 과제)

  • Byun, J.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4 no.1 s.55
    • /
    • pp.61-73
    • /
    • 1999
  • 1980년대 이후 계속된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영상처리 기술의 발전은 전통적으로 엄격히 분리 운영되어 온 통신과 방송의 융합화를 촉진하고 있으며, 기존의 미디어 질서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 영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최근의 기술발전 추세와 산업계의 동향을 반영하여 통신사업자와 방송사업자간 상호진입 허용, 규제기구의 통합 등 기존의 규제제도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계적인 흐름과 비교하여 볼 때 우리나라의 법, 제도 정비 및 정책적 대응은 매우 미진한 상태이다. 현행법은 아직까지 통신망과 방송망간 융합, 사업자간 융합을 엄격히 규제하고 있으며, 서비스의 규제방식 등 통신.방송융합시대에 대비한 규제제도 정비가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본 고에서는 통신, 방송융합의 배경과 전개과정, 국내외 융합추진 현황을 살펴보고, 통신.방송융합 현상에 따른 규제제도상의 과제를 검토하고자 한다.

New Framework for Convergent Services between Tele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Public Goods and Interactivity (방송.통신 융합서비스의 적정 규제 방안: 서비스의 공공재적 속성과 양방향적 특성을 중심으로)

  • Lee, Sang-Woo;Kwak, Dong-Kyun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27
    • /
    • pp.213-245
    • /
    • 2004
  • As we know, broadcasting implies a unilateral transmission by one sender to several recipients of information generally produced by third parties. Contrary to that, telecommunications implies an exchange between participants. Participants exchange information they produce during an interaction. However, in the age of convergence between tele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it becomes difficult to determine exactly the boundary between services classified under telecommunications and those classified under broadcasting services. This means that new regulatory regime should be introduced to meet the convergence between tele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In this article, we try to overcome the existing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nd regulating convergent services. In order to develop more powerful and useful framework for dealing with new convergent services, we focus on the original characteristic of "cast services," which could give us very significant basis for further discussion. "Cast services," such as traditional broadcasting service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both public goods (non-exclusivity and non-rivalry in consumption) and non-interactivity.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these three characteristics, we are able to apply different regulatory regime to those convergent services.

  • PDF

방송통신 융합 환경을 위한 MPEG-21 기술

  • 남제호;홍진우;김진웅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8 no.3
    • /
    • pp.4-18
    • /
    • 2003
  • 디지털방송의 도입과 이동통신기술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최근 국내외적으로 본격화되고 있는 방송통신 융합 추세는 정보통신환경에서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등장을 예고한다. 본 고에서는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 및 상이한 사용자 단말기들이 혼재되어질 방송통신 융합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생성, 저작, 전달, 소비, 보호, 관리 및 유통 등 콘텐츠 운용의 전 과정에 걸친 하부 기반구조 들을 총체적으로 통합, 관리, 체계화하는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MPEG-21 표준기술을 방송 통신 융합 관점에서 조망해본다.

Policy Suggestions for the Activation of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ervice (방송통신융합(IPTV)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모색과 대안)

  • Yang, Yong-Seok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5a
    • /
    • pp.503-508
    • /
    • 2009
  • 디지털기술의 발전과 전송망의 광대역화에 따라 기존에 통신과 방송으로 각각 분리되었던 콘텐츠, 네트워크, 단말기 및 서비스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융합화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방송분야와 통신분야의 경계가 모호해지며 통신과 방송 네트워크 및 서비스시장 간 융합현상이 나타나는 방송과 통신의 융합화, 즉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는 대표적인 융합화의 큰 흐름을 보여주는 현상이다. 하지만, 지난 수년간 법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각 부처 및 산업내의 이해관계가 상충되면서 이러한 사회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관련법 제정과 사업자 선정 이후에도 방송통신융합 산업이 활성화가 되기까지 많은 난관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에서는 방송통신융합(IPTV)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를 통해 모색과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Promotion Strategies for Examining Platforms of Convergence Contents (방송.통신 융합 환경에 적합한 다중 플랫폼 융합 콘텐츠 육성 전략)

  • Park, Soo-Ile;Shin, Dong-Pil;Chun, Sang-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09.01a
    • /
    • pp.197-202
    • /
    • 2009
  •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한 사회 문화적 트렌드의 변화는 새로운 기회와 가능성을 제공해 주며, 정보통신기술은 통신과 방송, 통신과 콘텐츠 등 영역간의 경계를 허물며 융합을 가능하게 하고, 우리의 감성과 상상력을 자극하여 새로운 문화적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이러한 상황들은 방송 통신 융합이라는 이름으로 방송과 통신, TV와 PC 온라인과 오프라인 등의 모든 영역에서 다양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방송과 통신의 융합은 마치 역사상 신대륙의 개척 과정처럼 새로운 제품과 새로운 시장을 창출해내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국내는 물론 세계의 모든 비즈니스 업체들은 이 기회의 땅을 향해 전력 질주하고 있다. 또한, 이에 따르는 콘텐츠의 융합 역시 괄목할만하며, 게임과 영화, 다큐멘터리와 드라마 등의 콘텐츠 간의 융합은 물론이고, 최근에는 모바일에서 영화를 제작하고, 게임과 소설 네트워크가 결합하고, 심지어는 게임 안에서 음악을 유통시키는 유통의 융합까지도 이뤄지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융합의 확산은 미디어와 플랫폼의 등장뿐만 아니라 플랫폼 간 교차와 연결 및 통합이 가능한 미디어 전경(landscape)을 창출해 내고 있으며, 인터넷과 TV의 결합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는 전송 메커니즘을 서로 연결시켜 수많은 형태의 다중 플랫폼을 등장시키고 있다. 이로 인하여 방송 서비스와 인터넷 서비스가 네트워크나 전송 플랫폼의 구별 없이, 그리고 디바이스의 선택과 상관없이 활용되는 통합 플랫폼 환경이 폭 넓게 조성되고 있다. 따라서, 방송 통신 융합 환경에 적합한 다중 플랫폼 융합 콘텐츠는 사용자의 요구 및 새로운 비즈니스 모텔에 대한 요구를 만족할 수 있어야 하며, 일관된 기술로 통선 및 서비스간의 호환성을 유지하는 인터페이스의 표준화가 이루어져야한다. 방송 통신 융합 환경에 적합한 다중 플랫폼 융합 콘텐츠는 초고속 데이터 통신망을 활용하는 멀티미디어 및 IP 멀티캐스트 기능을 활용한 서비스들과 연계하여, 관련된 소재 산업들의 파급효과가 매우 크며, 관련 분야에 미치는 효과가 막대하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육성전략을 고찰해보도록 한다.

  • PDF

Definition of Open API Metadata for Media Convergence Service Platform (방송통신 융합서비스 플랫폼 구축을 위한 Open API 메타데이터 정의)

  • Kim, Sang-il;Kim, Hwa-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4.11a
    • /
    • pp.72-73
    • /
    • 2014
  • 최근 통신 분야에서는 새로운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다양한 융합 서비스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융합서비스 개발은 통신 망이 갖고 있는 다양한 기능을 API 형태로 개방한 Open API 기술을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API의 특징상 통신망의 프로토콜을 모르더라도 인터넷을 기반으로 다양한 융합 서비스를 쉽고 빠르게 제작할 수 있다. 최근에는 통신 뿐만 아니라, 통신과 방송이 융합된 서비스 개발을 위해 통신 분야의 Open API와, 방송 분야의 Open API를 융합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이러한 Open API를 체계적으로 지원 해주는 플랫폼이 존재 하지 않기 때문에, 개발자들이 손쉽게 Open API를 사용하기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방송통신 융합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한 사전 연구로써, 현재 제공되고 있는 Open API들의 정보들을 공통적으로 정의하기 위해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정의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 PDF

2013년 방송통신 정책방향

  • Ra, Bong-Ha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1
    • /
    • pp.10-16
    • /
    • 2012
  • 모바일 혁명으로 대변되는 제2의 인터넷혁명시대의 도래에 따라 방송통신산업에도 큰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구글, 애플 등 플랫폼 사업자를 중심으로 생태계 경쟁이 심화되면서, SW 콘텐츠 개발자 등에게 새로운 성장기회가 형성되고 있고 정보의 생성 및 유통속도가 가속화되면서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신산업이 부상하고 있다. 또한, 인터넷 중심으로 방송통신망이 융합되면서 스마트TV 등 인터넷 동영상서비스가 확산되고, 방송시장 내에서도 유료방송서비스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스마트 생태계 구축경쟁과 인터넷 중심 융합으로 특징지워지는 새로운 방송통신 패러다임은 기존 방송통신산업구조와 규제체계의 전환을 촉구하고 있으며, 방송통신 융합을 촉진하고 방송통신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C(콘텐츠)-P(플랫폼)-N(네트워크)-T(기기)를 아우르는 종합적인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우선 방송통신 분야의 정책환경 변화를 살펴본 후 네트워크 고도화, 방송통신 R&D, ICT 중소 벤처기업 육성, 방송통신콘텐츠산업 경쟁력 제고 등 방송통신 산업이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 필요한 주요 정책과제들을 살펴본다.

미래융합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차세대 방송 통신 전송 기술 발전방향

  • Kim, Jeong-Chang;Park, Seong-Ik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6 no.1
    • /
    • pp.19-30
    • /
    • 2021
  • 전 세계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 중 상당 부분을 모바일 비디오 서비스가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최근 방송 및 통신 전송 기술에서 전송용량 및 대역폭의 증대와 스펙트럼 이용의 유연성 및 효율성이 크게 개선됨에 따라 다양한 모바일 방송 서비스에 대한 기대가 고조되고 있다. 증가하는 모바일 방송 수요와 더불어 미래에는 이동통신 및 차세대 방송 기술의 융합을 통하여 초고화질 콘텐츠, VR/AR 등 다양한 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본 고에서는 새로운 미디어 서비스를 위하여 이동통신과 지상파 방송에서 전송 기술들을 살펴보고, 이들 기술이 새로운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발전 및 융합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